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디지털 파워 2021

디지털 파워 2021

(SW가 주도하는 미래사회의 비전)

강송희, 김상규, 김수환, 김은, 김정민, 김준연, 김진숙, 김진형, 김한성, 김형철, 김휘영, 민상윤, 박강민, 박국흠, 박현제, 송경재, 송민정, 송지환, 여현, 유재흥, 이승환, 이연희, 조영임, 차성덕, 최공필, 최준균 (지은이)
하다(HadA)
19,8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7,820원 -10% 0원
990원
16,830원 >
17,820원 -10% 2,500원
0원
20,32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디지털 파워 2021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디지털 파워 2021 (SW가 주도하는 미래사회의 비전)
· 분류 : 국내도서 > 컴퓨터/모바일 > 컴퓨터 공학 > 소프트웨어 공학
· ISBN : 9788997170623
· 쪽수 : 365쪽
· 출판일 : 2021-01-22

책 소개

우리의 삶을 위협하고 있는 코로나19는 아이러니하게도 사회 다방면을 급속도로 변화시켰다. 『디지털 파워 2021』은 정치, 경제, 사회, 교육, 기술, 노동, 윤리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디지털 대전환을 탐구하고, 이에 따른 사회 변화의 다각적인 모습을 살펴본다.

목차

프롤로그
1장 디지털과 미래 경제
1부 데이터 이코노미로의 여정
2부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플랫폼 이코노미
3부 코로나19와 공유 이코노미
4부 비대면 시대, XR 이코노미를 주목하라

2장 AI와 미래 기술생태계
1부 AI가 펼치는 뉴노멀의 패러다임
2부 2021년 SW 기술, 무엇이 이슈인가?
3부 클라우드와 엣지 컴퓨팅 만드는 생태계
4부 미래의 금, 사이버 물리시스템
5부 AI 기술을 둘러싼 글로벌 두뇌정잰
6부 AI 패러다임과 글로벌 기술패권

3장 디지털 전환과 미래 산업
1부 디지털 전환과 미래 제조
2부 스마트한 세상, 모빌리티의 미래
3부 분권화된 금융과 미래 화폐
4부 SW로 변환되는 의료와 헬스케어
5부 성큼 다가온 미래의 미디어
6부 스마트 농업, 먹거리 산업의 미래

4장 AI 시대의 미래 일자리
1부 플랫폼 이코노미 시대를 살아가는 프리랜서, 노동의 미래
2부 코로나19와 일하는 방식의 변화
3부 AI,코로나19 그리고 미래 일자리

5장 SW와 미래 교육
1부 우리 아이를 위한 SW·AI 교육
2부 에듀테크가 가져 올 교육의 미래
3부 미래 세대를 위한 리터러시 교육

6장 SW와 미래 사회
1부 디지털 전환과 전자민주주의
2부 디지털데믹과 안전사회
3부 AI가 창출하는 도시의 미래
4부 AI가 요구하는 새로운 윤리
각주

저자소개

송민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스위스 취리히대학교에서 커뮤니케이션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고, 현 재 한세대학교 미디어영상광고학과 부교수로서 학과장을 맡고 있다. 1995~1996년 스 위스 바젤에 있는 경영경제 컨설팅 기업인 프로그노스(Prognos AG)에서 [미디어와 통신(Media and communication)] 부서의 전문 연구위원을 시작으로 1996~2014년 KT경제경영연구소 수석연구원으로 연구원 생활을 하였고, 2014년 성균관대학교 휴 먼ICT융합학과 대학원의 산학협력교수를 거쳐 2015년부터 한세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며, 동시에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에서 객원교수로서 미디어산업론의 이론과 실제에 대해 강의하고 있다. 한국방송학회 기획이사 및 편집위원,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협력이사, 한국미디 어경영학회 감사, 한국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감사 및 부회장, 대한경영학회, 디지털 경영학회 부회장, 프로그램심의조정위원회 위원, 정보통신부 자체 평가위원, ITU전권 회의 자문위원, ITU-T SG13 멤버, KTV 온라인자문위원회 위원장 등을 역임했고, 현 재는 스마트사이니지포럼 감사, 제주콘텐츠진흥원 이사, KTV 자문위원회 위원, 화성 시 관광진흥위원회 위원, 서울교통공사위원회 자문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대표적인 저서를 최근부터 보면, 크리에이터 미디어 실전(공저, 2023), OTT 미디어 산업론(2022), 디지털 전환 시대의 미디어경영론(2021), 디지털파워(공저, 2021), 에 너지데이터경영론(2020), 미디어 공진화(공저, 2019), 디지털미디어경영론(2015), 빅 데이터경영론(공저, 2014, 2019), 스마트 미디어의 이해(공저, 2014), 빅데이터가 만 드는 비즈니스 미래지도(2012), 모바일 컨버전스는 세상을 어떻게 바꾸는가(2011), 차세대 디지털 컨버전스(공저, 2005), 디지털 미디어와 콘텐츠의 이해(2003), 인터넷 콘텐츠 산업론(2001), 독일 언론학 연구(공저, 2001), 미디어의 실제(공저, 2001), 정 보 콘텐트 산업의 이해(공저, 1999), 정보화 시대와 방송교육(공저, 1999), 디지털이 경제다(공저, 1998), 출판매체론(공저, 1991) 등이 있다. 웹3.0 미디어 관련 영어 논문으로 Business Model Types of Web3.0 Social Token Shaped by Tokenomics(2024), Web3.0 Metaverse Business Model Innovation of Sports Media(2024), Web 3.0 Business Model Canvas of Metaverse Gaming Platform, The Sandbox(2024), Web3.0 Video Streaming Platform from the Perspective of Technology, Tokenization & 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2024), European Creator Economy's Web3.0 Business Model Case Study(2024), Web3 Business Model Innovation Approach and Cases of Korean Game Giants(2024), Meta's Metaverse Platform Design in the Pre-launch and Ignition Life Stage(2022), A Study on NaverZ's Metaverse Platform Scaling Strategy(2022) 등이 있다. 그 외의 미디어 관련 영어 논문으로는 A Study on the Organizational Resilience of Netflix(2022), A Study on the Business Model of a Fan Community Platform 'Weverse'(2021), A Study on the Predictive Analytics Powered by the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Movie Industry(2021), Over-The- Top (OTT) Platforms' Strategies for Two-Sided Markets in Korea(2021), A Comparative Study on Over-The-Tops, Netflix & Amazon Prime Video: Based on the Success Factors of Innovation(2021), A Case Study on Partnership Types between Network Operators & Netflix: Based on Corporate Investment Model(2020), A Study on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Business Models of Media Firms(2019), Trust-based business model in trust economy: External interaction, data orchestration and ecosystem recognition(2018), A Study on Trust ICT Business Models: Based on Disruptive Innovation Theory(2018), A Case Study on Kakao's Resilience: Based on Five Levers of Resilience Theory(2017), A Study of Media Business Innovation of Korea Telecom(2016), Global Online Distribution Strategies for K-Pop: A case of "Gangnam Style"(2015), A Case Study on Korea Telecom Skylife's (KTS's) Business Model Innovation - Based on the Business Model Framework(2013), Case Study on Hybrid Business Model: kt's Olleh TV Skylife(2012) 등이 있다. 주요 국문 논문으로는 한류의 비즈니스 확장에 관한 연구: 창의성 유형 모델 기반으 로(2018), IoT 기반 스마트사이니지 비즈니스모델 개념화: 4대 스마트커넥티드프로 덕트(SCP) 역량 중심으로(2017), 글로벌 5대 MCN 미디어기업들의 비즈니스모델 연 구: 파괴적혁신 이론을 토대로(2016), IoT 기반 스마트홈 비즈니스 유형 연구: 플랫폼 유형론을 근간으로(2016), 동영상스트리밍 기업인 넷플릭스의 비즈니스모델 최적화 연구: 비즈니스모델혁신 이론을 토대로(2015), 국내 스마트헬스케어 기업들의 파괴적 비즈니스 혁신 연구: 파괴적 혁신 이론을 토대로(2015), 빅데이터를 활용한 통신기업 의 혁신전략(2014), 망중립성 갈등의 대안인 비즈니스모델 연구: 양면시장 플랫폼전략 의 6가지 전략 요소를 근간으로(2013), 비즈니스모델 혁신 관점에서 살펴본 스마트TV 진화에 관한 연구(2012), 플랫폼흡수 사례로 본 미디어플랫폼전략 연구: 플랫폼흡수이 론을 토대로(2010), IPTV의 오픈형 플랫폼 전략에 대한 연구: 플랫폼 유형화 이론을 기반으로(2010), DMB 사업자의 경쟁전략 방향 연구: 산업구조 분석을 토대로(2003), IT혁명이 문화콘텐츠산업구조에 미치는 영향(2002), 양방향 서비스의 주요 특징인 상 호작용성(Interactivity)의 이론적 개념화(2002), 다채널 시대의 상업적인 공익 프로그 램 공급 가능성에 대한 연구(2001), 인터넷 콘텐트산업의 경제적, 사회적 파급효과 연 구(2000), 유료(有料)TV 산업의 경쟁전략: 클러스터 이론과 연계하여 살펴본 BSkyB 사례를 중심으로(2000) 등이 있다
펼치기
최공필 (지은이)    정보 더보기
금융감독원 블록체인 자문단장이다. 아시아 자산의 신뢰기반을 넓히기 위한 아세안+3ASEAN+3의 아시아적격담보포럼APCF 이사로도 활동하고 있다. 미국 미시간대학교와 버지니아대학교에서 경제학 석·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샌프란시스코 연방준비은행에서 조사부 연구위원 및 은행감독국 선임자문역, 세계은행 아시아개발은행 컨설턴트를 역임했다. 국내에서는 국정원 경제 담당 국가정보관(차관보급), 우리금융지주 최고전략책임자CSO 및 리스크관리CRO 담당 전무, 재경부 IMF-OECD 자문위원 등을 역임했다. 현재는 수출입은행 비상임이사, 한국금융연구원 미래금융연구센터장을 맡고 있다.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는 엄격하게 관리되어 왔던 신뢰토대의 확장과 함께 인간의 생활양식과 사회 전반에 거대한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고 전망한다. 따라서 일반 시민들이 나서서 암호화폐의 생태계를 이끌어나가는 것이야말로 암호화폐의 본질에 부합하는 것이라는 신념을 갖고 있다. 기존의 법적 신뢰주체와 기득권 위주의 지배구조가 분산장부 기술과 암호화폐를 통한 또 다른 형태의 중앙집권화로 이어지고 있기에 신뢰기반의 확장과 분산이 어렵다고 비판한다. 무엇보다도 초연결 환경에서의 새로운 가치창출을 위해 기득권들은 사회적 책임에 눈뜬 민간의 진정한 주인 역할을 가로막지 말고 다수의 참여에 바탕을 둔 새로운 개방 생태계 조성에 주력해야 함을 강조한다. 지은 책으로는 공저로 《빅데이터 4.0》《한국경제, 벽을 넘어서》《날자, 날아보자 한국 경제》가 있다.
펼치기
강송희 (옮긴이)    정보 더보기
KAIST 전산학과 학부를 졸업하고 오라클 아시아 첨단 기술연구소 및 한국오라클, 삼성전자에서 근무한 후 현재 오픈스택 커뮤니티 공헌자이자 기술 작가로 활동하며 서울대 기술경영정책에서 석사 과정을 밟고 있다. 클라우드 아키텍트이자 엔지니어이며, CISA 자격증을 취득했고, NAND 플래시 메모리 최적화 모바일 및 임베디드 DBMS 미국 특허(7856522)를 고안한 바 있다. 오라클 월간 매거진에 데이터베이스 성능 최적화 방법론을 기고했고, 에이콘출판사에서 『한눈에 보는 실전 클라우드 프로젝트』(2013)를 저술하고, 『반응형 디자인 실무』(2014)를 번역했다. 한국IT비즈니스진흥협회(koIPA)에서 클라우드 전문가 자문 역할을 하고 있다.
펼치기
김수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14년부터 총신대학교에서 근무하고 있습니다. 경인교육대학교에서 컴퓨터교육 석사, 고려대학교에서 컴퓨터교육 박사를 취득하였습니다. 초등학교에서 15년간 교사로 재직하였고, 인천정보영재중학교에서 2년간 강의를 하였으며, 경인교육대학교 미래인재연구소에서 겸임교수로 근무하였습니다. 2009년부터 국내 ‘스크래치 데이’ 행사를 주관하였고, 2012년, 2014년 미국 MIT 컨퍼런스 presenter로 참가하였습니다. 삼성 주니어 소프트웨어 아카데미 교재를 집필하였으며, 미국 Scratch 팀의 'Creative Computing'을 번역하여 무료로 보급하였습니다. 네이버 ‘소프트웨어야 놀자’와 EBS가 공동 개발한 ‘코딩, 소프트웨어 세상’ 제작에도 참여하였습니다. 현재 한국컴퓨터교육학회 이사를 맡아 SW 교육 관련 초중등 교사협회를 지원하면서 무료 워크숍 및 세미나를 주관하고 있습니다. “좋은 기술(정보)은 공유되어야 한다.”는 팀 버너스 리의 주장을 실천하고 싶어 합니다.
펼치기
김진형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인공지능 분야 과학자로 현재 인천재능대 총장 및 KAIST 명예교수로 활동 중이다. 주력 연구 분야는 인공지능, 그중에서도 베이지안 네트워크, 신경망, 패턴인식이다. 1세대 소프트웨어 개발자로서 1973년부터 KIST에서 개발자로 일했다. UCLA에서 컴퓨터과학 박사 학위를 받은 후 미국 휴즈연구소에서 인공지능을 연구했다. 1985년부터 KAIST 전산학과 인공지능연구실을 이끌며 약 100명의 석·박사 전문 인력을 양성했다. KAIST에서 학과장, 인공지능연구센터 소장, 소프트웨어 대학원장을 역임했다. 정보과학회 인공지능연구회 초대 연구회장, 정보과학회장, 과학기술정보연구원장,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초대 소장, 공공데이터전략위원회 초대 위원장, 인공지능연구원 초대 원장 등을 지냈다. 저서로 이 책의 기본이 된 베스트셀러 《AI 최강의 수업》이 있다.
펼치기
조영임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가천대학교 컴퓨터공학과 교수, 前 대통령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 스마트시티특별위원회 위원, 고려대학교 컴퓨터학과 졸업, 고려대학교 컴퓨터학 박사(인공지능)
펼치기
김상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양대학교 학술연구교수,한양대학교 중어중문학과 졸업, 한양대학교 국제학 석사, 칭화대학교 국제정치학 박사, 파리정치대학 국제관계연구소(CERI) 방문연구원, 한양대학교 박사 후 연구원
펼치기
김은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스마트제조연구조합 이사장, 한국디지털혁신협회 상근부회장, (주)EPIC CDI&CTO, 한국산업기술대학교/한독협력센터 연구교수, UNIST 겸임교수, 前 KAIST 초빙교수, 前 SAP Korea 상무, 前 한국정보화진흥원 IT성과관리단장, 쾰른대학교 경영학과 석사·박사
펼치기
김정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선임연구원, 前 한국고용정보원 ML기반 일자리 매칭 ISP 자문위원, 중앙대학교 컴퓨터공학부 졸업, 중앙대학교 소프트웨어공학 박사 수료
펼치기
김준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양대학교 국제학대학원에서 SW산업에서 후발국 추격과 혁신을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SW정책연구소 책임연구원과 한양대학교 국제학대학원 겸임교수로 근무하고 있으며 외교통상부와 행정안전부 정책자문위원을 역임했다. 주요 저서로는 『디지털 혁신으로 이루는 미래비전』 『한국경제대전망』 『디지털파워』 『미중경쟁과 글로벌 디지털 거버넌스』 『미래 산업의 전략 보고서』 『중국과 인도의 혁신과 추격』 등이 있고 해외 학술지에 디지털 혁신 분야 논문을 다수 발표했다.
펼치기
김진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수석연구위원, 국가교육회의 중장기교육정책전문위원, 교육부 한국형원격교육 정책자문단, 과학기술정보통신부 5G전략점검단 위원,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공학과 졸업,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공학전공 석사·박사
펼치기
김한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에서 컴퓨터교육학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에서 선임연구원으로 근무하고 있으며,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 겸임교수로도 재직 중이다. 2013년부터 약 7년간 교육부 산하 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서 선임연구원으로 근무하였으며, 소프트웨어교육 운영지침, 디지털 교과서, 디지털 리터러시 등의 연구를 담당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컴퓨터 교과 교육을 포함한 SW/AI 교육이다.
펼치기
김형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SW·클라우드 PM(정보통신기획평가원), 前 씬멀티미디어 부사장, 前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선임연구원, KAIST 전산학 석사·박사
펼치기
김휘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병원에서 의사들과 함께 의료 인공지능을 연구하는 과학자입니다. KAIST에서 전산학을 공부한 후에 보다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는 연구를 하고자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박사학위 과정에 진학하여 암 환자의 방사선 치료를 위한 의학물리학 연구를 하였습니다. 현재는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에서 연구조교수로 근무하며 어렸을 적 꿈이었던 인공지능 연구를 의학에 적용하며 즐겁게 일하고 있습니다.
펼치기
민상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솔루션링크 대표이사, (사)소프트웨어와사회안전협회 협회장, 소프트웨어안전포럼 운영위원/공동추진 위원장, KAIST 전산학부 겸직교수, 샌프란시스코주립대학교 전산학과 졸업, KAIST 전산학 석사·박사
펼치기
박국흠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경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前 KIST 부설 시스템공학연구소 연구원, 피츠버그대학교 방문연구원, 고려대학교 행정학 박사
펼치기
송경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상지대학교 사회적경제학과 교수 경희대학교 정치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연구 분야로는 디지털 민주주의(민주주의 기술), 디지털 사회혁신, 디지털 기술의 정치과정, 지역 거버넌스와 민주주의에 관한 연구 등이다. 대표 저서로는 『20개의 핵심 개념으로 읽는 디지털 기술사회』(공저, 2022, 사회평론아카데미), 『디지털 파워 2021: SW가 주도하는 미래사회의 비전』(공저, 2021, HadA) 등이 있다.
펼치기
송경재의 다른 책 >
송지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책임연구원, 前 Microsoft Research Asia 리서치인턴, 前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책임연구원, 서강대학교 전산학과 졸업, 카네기멜론대학교 방문학생, KAIST 전산학 석사·박사
펼치기
여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순천대학교 정보통신공학과 교수, 지능형 스마트농업 그랜드ICT연구센터 센터장, 스마트팜산업협회 부회장, 前 KT통신망연구소 전임연구원
펼치기
유재흥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과학 기술 정보 통신부 산하 소프트웨어 정책 연구소(SPRi)의 책임 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AI 산업, 융합, AI 안전 · 신뢰성 정책 연구를 담당하고 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디지털 기술의 수용 문제를 사용자의 저항, 사회적 영향력의 관점에서 살펴보는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IT 기업의 혁신 전략, IT 기술의 활용 확산 관련 연구를 수행했다. 과학 기술 정보 통신부의 소프트웨어 육성 정책과 인공지능 국가 전략 수립을 위한 다양한 정책 연구에 참여했다. 정부 부처, 지자체, 공공 기관, 민간 기업 등의 자문 역할을 맡고 있다. 『디지털 파워』(2021, 2022, 2023)를 공저했다.
펼치기
이승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지능데이터팀 팀장, KIST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 KIST KT Corporate 매니저, 한양대학교 경영학부 졸업, KAIST IT 경영 석사, 한양대학교 경영학 박사
펼치기
이연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상대학교 강사, 서울교육대학교 강사, 한국교통대학교 강사, 동국대학교 철학 박사
펼치기
차성덕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정보대학 컴퓨터학과 교수, 前 KAIST 전산학과 교수, 캘리포니아대학교 어바인캠퍼스 박사
펼치기
최준균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KAIST-메가존클라우드 지능형 클라우드 융합기술 연구센터 소장이자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1986~1997까지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의 실장 및 책임 연구원으로 근무하였으며 1990~1991년까지 캐나다 토론토 대학교 교환 연구원을 지냈다. 국제표준화 관련 ITU-T의 Rapporteur 및 IPTV Focus Group의 WG1 의장을 역임하였으며, 국내 대표단 의장으로써 활동하는 동안 NGN(BcN) 및 IPTV 관련 국제 표준화를 주도하였다. 최근 CPS 환경에서 AI를 접목함으로써 효율화를 꾀하는 것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 중에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빅데이터와 4차 산업혁명이라는 용어로 상징되는 데이터 이코노미의 진전에 큰 기대를 모으고 있고, 세계 각국은 데이터 이코노미 생태계 조성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데이터 이코노미의 병목은 기술이 아닌 제도에 있다. 어쩌면 데이터 이코노미의 시장실패는 이미 왔는지도 모른다. 데이터 이코노미가 가장 앞서 있는 미국에서 데이터 브로커 시장이 발달해 있다는 것이 그 증거이다.


1969년 7월 21일, 닐 암스트롱은 달에 역사적인 인류의 첫 발자국을 남기면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이것은 한 인간에게는 작은 한 걸음이지만, 인류에게는 위대한 도약이다.” 이미 시작된 비대면 시대, 현실(Reality)에 갇혀 손 놓고, 두려워하는 것이 아니라, 현실을 넘어 확장해야 한다(Extended Reality). 우리의 경제, 사회, 문화 영역을 XR로 넓혀 새로운 기회를 찾아 발자국을 남겨야 한다. 이는 미래에 위대한 도약으로 남게 될 것이다.


인공지능 시대에는 사람과 인공지능이 팀으로 일할 것이다. 사람 혼자서는 못하던 일을 인공지능의 도움으로 성취하게 될 것이다. 사람과 인공지능이 분업하는 것이다. 인공지능의 능력이 점차 좋아지면서 더 많은 업무를 기계에게 넘겨줄 것이다. 학습해야 할 것이 있으면 기계가 먼저 배워 사람에게 전수해 줄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근로자에게 가장 필요한 능력은 인공지능을 활용하는 능력이다. 근로자의 급여는 인공지능을 활욜할 수 있는 능력으로 결정될 것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