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동아시아 염불결사의 연구

동아시아 염불결사의 연구

(천태교단을 중심으로)

김성우 (엮은이)
비움과소통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3,500원 -10% 2,500원
750원
15,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8,800원 -10% 440원 7,480원 >

책 이미지

동아시아 염불결사의 연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동아시아 염불결사의 연구 (천태교단을 중심으로)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명상/수행
· ISBN : 9788997188444
· 쪽수 : 440쪽
· 출판일 : 2014-01-01

책 소개

동아시아 불교결사의 주요 실천으로서 아미타내영신앙, 참회의식, 경전신앙, 지계, 선정쌍수적 수행론 그리고 실천의 배경이 되는 정토신앙의 교의로서 말법사상, 염불, 천태교단의 제종융합적 성격 등을 제시하고 있다.

목차

지은이의 말

Ⅰ. 서 론 1
1. 문제 제기 1
2. 연구의 목적 3
3. 연구사의 검토 4
4. 연구의 범위와 방법 10

Ⅱ. 여산혜원(廬山慧遠)의 백련사(白蓮社): 동아시아 불교결사의 원형
17
1. 여산 백련사의 결성 18
1-1. 동진시대의 불교 이해 20
1-2. 정토를 향한 은일(隱逸)의 수행 24
2. 혜원이 열어 놓은 결사의 문 28
2-1. 백련사의 은사와 승려 29
2-2. 백련사의 규율과 연대성 33
3. 여산 백련사의 실천: 반주삼매와 견불 39
3-1. 염불삼매와 견불의 방법론 42
3-2. 염불삼매의 개인성과 결사의 연대성 48
3-3. 염불결사의 원형 54

Ⅲ. 동아시아 천태교단의 염불결사들의 전개 57
1. 일본: 이십오삼매회의 임종행의(臨終行儀)와 영강(迎講) 58
1-1. 결사의 근본결중(根本結衆)과 결연중(結緣衆) 60
1-2. 지옥과 정토에 대한 중세적 이해 67
1-3. 이십오삼매회의 기청(起請)과 임종행의 73
1-4. 결사의 확장과 수행론의 변화 82
1-5. 영강의 민간신도들과 칭명염불 87
1-6. 구야(空也)의 거리포교와 겐신의 염불 97
2. 중국 : 북송대 천태교단의 정토결사들 102
2-1. 자운준식(慈雲遵式)의 채사(菜社): 채식과 참법 104
(1) 자운준식의 첫 번째 결사 105
(2) 항주 동액산의 염불삼매회(念佛三昧會) 111
(3) 민간신앙에 대한 포교와 채사(菜社) 117
(4) 결사의 일상 수행론과 참법 124
2-2. 사명지례(四明知禮)의 염불시계회(念佛施戒會): 염불참 (念佛懺)과 수계식 128
(1) 거대결사와 분사(分社) 130
(2) 수계식(受戒式)과 염불참(念佛懺) 138
(3) 결사의 수행과 공덕의 회향 146
2-3. 모자원(茅子元)의 백련채(白蓮菜)-채식과 참회염불 148
(1) 백련채의 수행론과 그 차별성 150
(2) 끽채사마(喫菜事魔) 혐의와 교단 밖의 수행론 158
(3) 북송대 천태교단의 결사와 모자원의 위치 167
3. 한국: 백련사의 법화참법과 경전신앙 170
3-1. 북송대 천태교단의 영향과 고려의 상황 172
3-2. 백련사의 주요 구성원과 수행론 180
3-3. 경전 독송과 배포의 공덕신앙 184
3-4. 법화삼매참법과 정토왕생의 염불 195
3-5. 탈 개경(開京)과 유심정토 205

Ⅳ. 동아시아 염불결사의 수행론과 그 교의적 배경 213
1. 동아시아 염불결사의 실천과 교의 214
1-1. 아미타내영신앙과 임종의식 214
1-2. 죄업소멸을 위한 참회의식 222
1-3. 지계(持戒)와 채식에 나타난 자비 230
1-4. 경전신앙의 공덕 238
1-5. 선정쌍수(禪定雙修)와 제종융합의 수행론 245
2. 동아시아 염불결사에 나타난 정토사상 253
2-1. 반주삼매(般舟三昧)와 칭명염불(稱名念佛) 254
(1) 반주삼매와 염불삼매 255
(2) 칭명염불 262
2-2. 말법사상 270
2-3. 천태교의와 정토신앙의 만남 275

Ⅴ. 결 론 283
참고문헌 291
Abstract 306

저자소개

김성우 (엮은이)    정보 더보기
경북 안동 생(生). 금오공고 전자공학과, 성균관대 동양철학과를 졸업한 뒤 현대불교신문사에서 취재부 기자 및 차장, 취재부장을 역임하면서 국ㆍ내외 고승, 선지식을 친견하며 많은 가르침을 받았다. 현재는 도서출판 비움과소통 대표를 맡아 문서포 교에 매진하는 한편, 다음카페 무량수여래회 cafe. daum.net/MRSB 카페지기로 매월 2회 이상 아미 타불 염불 철야정진법회를 주관하면서 정업(淨業)을 닦고 있다. 저서에 <문없는 문, 빗장을 열다>, <저 건너 산을 보라>, <여보게, 설거지는 했는가>, <천하에 내가 사랑 하지 않는 사람이 없기를>, <선답(禪答)> 등과 역서에 <아침 명상록>이 있다. 아호는 창해(蒼海ㆍ푸른 바다), 당호는 자항(慈航ㆍ자비의 배), 필명은 김성 우(聖祐), 본명은 김재경. buddhapia5@daum.net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