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88997396245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13-07-15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 우리 아이들을 위해 미래를 공부해야 하는 이유
Part 1. 우리 아이들이 만날 미래; 18가지 변화 키워드
Chapter 1. 미래 사회는 이렇게 달라진다
1. 정보화시대에서 개념시대로
2. ICT기술은 시간과 공간의 제한을 없앤다
3. ICT환경은 도시를 바꾼다
4. 자본주의는 종말 대신 변화를 맞는다
Chapter 2. 미래 직업은 이렇게 달라진다
5. 로봇과 자동화가 인간의 일자리를 빼앗다
6. 신기술은 새로운 일자리를 만든다
7. 소비자가 곧 생산자가 되는 프로슈머 사회로의 진입
8. 하이컨셉·하이터치 시대, 미래의 주역은 인사이트 노동자
Chapter 3. 미래 가치관은 이렇게 달라진다
9. 부는 행복을 누리는 능력을 빼앗아 간다
10. 회사 존재의 의미가 달라진다
11. 실리콘밸리의 젊은 인재들, 새로운 가치관을 찾다
12. 일이 곧 행복이 되는 굿컴퍼니가 늘고 있다
13. 인생의 성공에 대한 의미가 달라진다
14. 나의 ‘열정과 희망’이 미래 핵심 가치가 아니다
Chapter 4. 미래 교육은 이렇게 달라진다
15. 공장형 대중교육 시스템의 변화는 시작됐다
16. 변화의 속도를 따라가는 바이럴 교육의 시대다
17. 학교와 선생님, 교육의 철학까지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다
18. 미래를 준비하는 부모의 역할이 달라진다
Part 2. 미래를 지배할 인재; 3가지 유형 & 6가지 조건
Chapter 1. 통섭형 인재의 시대: ‘한 우물’만 파다가는 우물에 갇힌다
1. 좌뇌와 우뇌를 모두 활용할 수 있는 인재
2. ‘무조건 열심히’가 아니라 ‘넓고 많이’ 보는 시대
Chapter 2. 협업형 인재의 시대: ‘메디치 효과’를 극대화하라
3. 픽사의 교훈 ‘나는 더 이상 혼자가 아니다’
4. 창의성은 사회적 관계와 감성의 결합
Chapter 3. 네트워크형 인재의 시대: 쌓지 말고 흐르게 하라
5. 버닝맨의 교훈 ‘구경꾼은 없다, 모두가 참가자다’
6. 네트워크를 통한 연결고리형 인재가 필요하다
Part 3.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미래 인재를 양육하는 13가지 대안
Chapter 1. 놀이와 열정을 연결하는 교육: 노는 아이가 성공한다
1. ‘놀이’의 반대는 ‘일’이 아니라 ‘우울’이다
2. 평가가 창의성을 구속한다
3. 또래집단에서 건강한 소통의 장이 필요하다
4. 열정을 발견하고 열정에 불을 붙이는 것이 교육이다
5. Do It Yourself, 창조적인 교육이 세상을 바꾼다
Chapter 2. 게임과 교육의 공생: 게임, 약이 될 수도 있다
6. 게임과 스마트폰 중독, 차단만이 길은 아니다
7. 게임을 학습에 도입한 혁신 교육이 새 모델이 되다
8. 게임을 대하는 부모들의 시각이 변해야 한다
Chapter 3. 기업가 정신 교육: 자신의 앞날을 직접 만들어 가다
9. 스티브 잡스와 마크 주커버그를 만들어 낸 기업가 정신
10. 25명 초등학생들의 연구 결과가 유명 과학저널에 실리다
11. 인도네시아의 아이들, 배움의 농장에서 길을 찾다
Chapter 4. 외국어 교육: 소통을 위한 필요에 의해 습득하라
12. ‘글로벌 시티즌십’을 가진 ‘세계시민’으로 양육하라
13. 동기부여를 통해 자발적으로 공부하게 하라
Part 4.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미래 교육을 위한 11가지 현실적 제안
Chapter 1. 나무가 아닌 숲을 보는 교육
1. 디지털 네이티브의 사고를 이해하라
2. 단문 세대, 숲과 나무를 같이 보는 균형이 중요하다
3. 문과? 이과? 구분은 없어지고 융합은 빨라진다
4. 루소, 페스탈로치, 프뢰벨, 그리고 존 듀이가 제시한 새로운 교육
Chapter 2. 공부도 놀이도 DIY!: 자기주도학습
5. 학생들이 직접 학교를 만든다면?
6. 디지털 기술이 가져온 교육 혁신은 새 시스템에 담아야 한다
Chapter 3. 새로운 미래 학교, 그 실험과 고민
7. 어떤 곳이 꿈의 학교일까?
8. 100조 원이 투여된 영국의 미래 학교 프로젝트
9. 기존 교육의 종말을 예고한 플로리다의 가상 학교 등장
10. 온라인 교육이 학교를 대체할 수 있을까?
11. 디자인적 사고로 교육을 혁신한 닥터 Z의 버티 카운티 실험
Part 5. 미래를 위한 부모의 역할; 혁신을 준비하는 7가지 실험
Chapter 1. 미래의 혁신을 준비하는 것이 교육의 목적이다
1. 공장형 학교 교육에 대한 반발 “학교가 창의력을 죽인다”
2. 아이들이 스스로 자신의 이야기를 하게 내버려 두라
Chapter 2. 부모 및 친구, 많은 사람이 참여하는 즐거운 교육
3. 교실에서 현장 체험을 하는 ‘런츠’
4. 많은 사람의 지혜를 모으는 ‘위키 프로젝트’
5. 교육과 호기심 두 마리 토끼를 한 번에 ‘레고 로봇 키트’
6. 힙합을 이용해 과학을 전파하는 ‘사이언스 지니우스’
7. 스토리로 꿈과 인성을 만드는 ‘스토리 창의 교육’
에필로그 | 지금의 ‘정답’이 통하지 않는 미래, 함께 준비해야 한다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미래 사회의 변화에 대해서는 다양한 시각들이 있다. 변화의 속도도 그 어느 때보다 빠르다. 중요한 것은 이렇게 변하는 미래를 인정하는 데 있다. 교육자의 입장에서 본다면, 우리 부모들이 교육을 받았던 시대의 규칙은 그 이전 시대의 것을 반영하는데, 즉 부모의 부모세대, 20년 전 세대들의 시스템과 생각을 교육받은 것이다. 지금 교육을 받고 있는 아이들은 또 앞으로 20년이 지나야 사회에서 여러 가지 역할을 맡기 시작할 것이다. 아이들에게 묵은 낡고 고루한 지식을 강요할 것인가? 미래에 대해 고민하지 않고 과거 부모 세대의 경험으로 모든 것을 지레짐작하고 밀어붙이는 것이 옳을까? 내 아이를 위한, 우리 아이들이 살아갈 미래에 대한 공부가 필요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프롤로그> 중에서
미래의 인재에게 필요한 것은 사회적인 가치를 알아보고 실제 의미가 있는 문제 해결 방법을 만들어 내는 능력과, 사람들의 합의를 도출하고 이들에게 영감을 불어넣는 공감 능력이다. 이를 위해서는 자신의 전문 영역에 대한 지식이 풍부한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우리가 함께하는 사회에 대한 이해와, 자신의 전문 영역을 넘어설 수 있는 모험심, 새로운 관계를 받아들이고 과감한 협업을 시도할 수 있는 유연함이 있어야 한다.
-
형식의 파괴는 아이들의 특권이다. 아이들은 같은 물건이나 내용을 보아도 다양한 것을 상상한다. 새로운 것을 보면서 우리가 알고 있는 정보 등을 대입시키고 그것으로 인지하도록 훈련시키는 것은 창의력을 제한한다. 많이 알면 알수록 새로운 무엇인가를 생각하기가 어렵다. 아이러니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아이들은 단순한 박스나 몇 가지 줄, 종이만 가지고도 다양한 방식으로 노는 방법을 안다. 이런저런 상상을 곁들여 새로운 것을 만들어 낸다. 어쩌면 우리의 창의력을 끌어내기 위해서는 다시 아이 때의 뇌 상태로 돌아가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인지도 모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