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장자, 치유지향

장자, 치유지향

왕방슝 (지은이), 전병술 (옮긴이)
모시는사람들
1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2,350원 -5% 2,500원
650원
14,2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장자, 치유지향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장자, 치유지향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도가철학/노장철학 > 장자철학
· ISBN : 9788997472635
· 쪽수 : 280쪽
· 출판일 : 2014-04-10

책 소개

모들아카데미 2권. 이 책은 장자의 주요 사상을 담고 있는 익숙한 여러 우화들을 현실과 접목시켜 해설하였다. 독자들은 이 책을 통해 인생의 참된 의미를 깨닫고 성숙한 삶의 자세로 돌아가는 계기를 만들 뿐 아니라, 지친 삶에 치유가 되는 시간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목차

01 『장자』 우화에 담긴 뜻
1. 대붕의 비상
2. 참새와 대붕
3. 만 구멍이 내뿜는 소리
4. 소리를 내뿜는 주체는 누구인가?
5. 장주는 여전히 장주다
6. 그림자의 그림자와 그림자의 대화
7. 양생(養生)의 길은 양심(養心)에 있다
8. 소를 해체하는 길은 자신을 해체함에 있다
9. 신령한 나무는 쓸모가 없다
10. 누가 공자를 구할 수 있단 말인가?
11. 그대는 어찌하여 다리가 하나 더 많은가?
12. 누군들 원망이 없으리오
13. 요·순이 되려다 오히려 걸·주가 된다
14. 도(道) 안에서 함께 만나고 함께 잊는다
15. 삶과 죽음의 경계를 허물고 친구로 삼자
16. 하늘에 무엇을 물으리오
17. 혼돈을 뚫고 생기를 되살리자
18. 재목인가 아닌가?
19. 똥 속에 도가 있는 것이지 똥이 도는 아니다

02 소요에서 제왕까지
1. 소요유
2. 제물론
3. 양생주
4. 인간세
5. 덕충부
6. 대종사
7. 응제왕

저자소개

왕방슝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만사범대학 국문과와 대만 문화대학 철학연구소를 졸업하고 국가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대만 중앙대학 철학연구소 소장, 담강대학 중문과 교수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 『한비자의 철학』,『노자의 철학』, 『유가와 도가 사이』, 『인연과 운명』, 『장자 소요의 길을 걸으면서』, 『노자 십이강』, 『노자 도덕경의 현대적 독해』, 『장자의 현대적 독해』 등이 있다.
펼치기
전병술 (옮긴이)    정보 더보기
건국대학교 철학과와 대만 문화대학 철학연구소를 졸업하고 양명학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건국대학교와 단국대학교에 출강하고 있다. 저서로 『생태문화와 학』(공저), 『종교근본주의』(공저),『한국인의 웰다잉 가이드라인』(공저), 『식탁의 영성』(공저), 『철학의 시대』(공저), 『죽음맞이』(공저) 등이 있고, 역서로 『죽음 그 마지막 성장』, 『죽음학』, 『심체와 성체』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꽃 피는 봄에도 소요할 수 있고, 삭풍이 부는 추운 겨울에도 소요할 수 있다. 푸르디푸른 하늘 저 멀리 소요할 수 있고, 어둠에 휩싸인 하늘에서도 소요할 수 있다. 남쪽 나라 초록빛 평원에서 소요할 수 있고, 북쪽 메마른 사막에서도 소요할 수 있다.


즐겁게 살자. 스스로에게 자신의 한 표라도 자신 있게 던지자. 믿음을 가지고 살자. 좋은 날이 곧 올 것이다. 자신을 뽐내지 말라, 덕을 드러내지 말라 하였다. 고요한 호수같이 마음의 평정을 이루라 한다. 그러면 그 어떤 것도 마음을 흔들 수 없다. 그러면 모두가 정겹게 느껴질 것이다. 화창한 봄날이 이어질 것이다.


‘제물론’이 무슨 뜻인가? 한 사람도 빠짐없이 모두가 다 소요하는 것이 제물론이다. 너무나 많은 사람들이 소요하지 못하고 고통 속에 살고 형벌 가운데 살아간다. 왜일까? 우리 사회에 ‘제물론’이 없기 때문이다. 학력에서, 직업에서, 사는 곳에 따라 우열을 가려 혹은 우월감에 취해, 혹은 열등감에 사로잡혀 살아간다. 무엇이 옳고 무엇이 그른가? 무엇이 높고 무엇이 낮은가? 이러한 분별 때문에 소요할 수 없는 것이다. 신식과 구식으로 시시비비를 가리지 말고 빈부로 귀천을 가리지 말아야 살기 좋은 세상이 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