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종교 근본주의

종교 근본주의

(우리 시대의 근본주의 비판과 대안)

김종명, 이찬수, 유영근, 전병술, 이은선, 이길용, 황용연, 박현도, 김대식, 최대광 (지은이)
모시는사람들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4,250원 -5% 2,500원
750원
16,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0,500원 -10% 520원 8,930원 >

책 이미지

종교 근본주의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종교 근본주의 (우리 시대의 근본주의 비판과 대안)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신화/종교학 > 종교학 > 종교학 일반
· ISBN : 9788990699923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11-06-02

목차

근본적 근본주의를 향해 l 이찬수
근본주의와 종교 l 이길용
기독교 근본주의의 정의와 미국과 한국의 기독교 근본주의 l 최대광
근본주의 : 닫힘과 실패의 징후에 관하여 l 황용연
근본주의와 정치 l 유영근
전쟁과 기독교 근본주의 │이은선
현상학을 통한‘근본주의’에 대한 보다 더 ‘근본’적인 사유 l 김대식
이슬람 근본주의와 한국 이슬람 l 박현도
근본주의에 대한 양명학적 해석 l 전병술
종교 간 갈등 해소 : 전제와 대안 l 김종명

저자소개

김종명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에서 유가공학 전공으로 학사학위와 석사학위를 받았다. 연세대학교에서 한국학으로 석사과정을 수료한 후, 미국 UCLA에서 한국학·불교학 전공으로 석사·박사학위를 받았다. 불교의례를 포함한 불교문화, 불교와 국가, 선사상 중심의 한국 불교학과 해외 한국학을 연구해오고 있다.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교수, 한국연구재단 학술지평가위원,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부회장으로 재직 중이다. 한국학중앙연구원 해외한국학연구소 창립소장직, 고전학연구소 소장직을 역임하고 청호불교복지대상(학술 부문), 불이상(학술 부문)을 수상했으며, Marquis Who’s Who in the World에 수차례 등재되었다. 저서로 『국왕의 불교관과 치국책』(한국학술정보, 2013), 『한국의 세계불교유산』(집문당, 2008), 『한국 중세의 불교의례』(문학과지성사, 2001), Korean Religions in Relation(공저, SUNY Press, 2016), Zen Buddhist Rhetoric in China, Korea, and Japan(공저, Brill, 2012), Makers of Modern Korean Buddhism(공저, SUNY Press, 2010), Buddhism: Introducing the Buddhist Experience(공저,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Traditions and Traditional Theories(공저, LIT Verlag, 2006), Korea and Globalization(공저, RoutledgeCurzon, 2002) 등이 있고, Korean Studies, Korea Journal을 비롯한 다수의 국내외 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했다. 역서로는 『북종과 초기 선불교의 형성』(민족사, 2018), 『중국과 한국의 선사상 형성』(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5), 『파란 눈 스님의 한국선 수행기』(예문서원, 1999)가 있다.
펼치기
이찬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일본의 사상과 문화, 동아시아의 종교와 평화 연구자. 서강대학교 화학과를 거쳐 대학원 종교학과에서 일본의 철학자 니시타니 케이지와 독일의 신학자 칼 라너의 사상을 비교하는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강남대 교수,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HK연구교수, (일본)코세이 가쿠린 객원교수, (일본)중앙학술연구소 객원연구원, (일본)난잔대학 객원연구원, 성공회대 대우교수, 보훈교육연구원장 등을 지냈다. 『일본정신』, 『불교와 그리스도교 깊이에서 만나다: 교토학파와 그리스도교』, 『다르지만 조화한다』, 『평화와 평화들』, 『사회는 왜 아픈가』, 『아시아평화공동체』(편저), 『평화의 여러가지 얼굴』(공편저), 『근대 한국과 일본의 공공성 구상』(공저), 『北東アジア·市民社会·キリスト教から観た平和』(공저), 「비전(非戰), 반군국주의, 비핵화로서의 평화: 일본 평화개념사의 핵심」, 「平和はどのように成り立つのか」, 「北朝鮮の民間信仰」 등 80여 권의 단행본(공저서, 번역서 포함)과 90여 편의 논문을 출판했다. 현재 인권평화연구원 공동원장으로 일하면서 가톨릭대에서 평화학을 강의하고 있다.
펼치기
이은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인류 문명의 전환에 관한 지속적인 관심으로 종교(聖)와 정치(性), 교육(誠)을 함께 엮어서 ‘믿음(信)을 위한 동서 페미니스트 통합학문(信學)’의 가능성을 탐색하고 있다. 2018년 세종대학교를 명예퇴직한 후 한국信연구소 Institute of Korean Feminist Integral Studies for Faith를 열어서 ‘신학(神學)에서 신학(信學)으로’의 모토 아래서 ‘한국 신학(信學)’과 ‘인학(仁學)’의 구성에 힘쓰고 있다. 오늘 문명위기와 전환의 때에 우리 사회에서 여남의 구분을 떠나 ‘사유하는 집사람’이 많아지는 것이 긴요하다고 보며 강원도 횡성 산골 현장(顯張)아카데미에서 신학자 남편과 더불어 여러 활동을 함께하며 살고 있다. 동서 인류 문명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들 중의 하나인 바젤대학과 성균관대학교에서 기독교 신학과 유교 철학을 공부했고, 세종대학교 교육학과에 재직하면서 동서 철학과 종교, 교육의 일들을 여러 학회들에서 회장과 부회장 등으로 역할하면서 연구해 왔다. 최근 저서로 『동북아평화와 聖·性·誠의 여성신학』(2020), 『사유하는 집사람의 논어 읽기』(2020), 『한국 페미니스트 신학자의 유교 읽기-神學에서 信學으로』(2023) 등이 있으며, 공저로는 변선환 아키브와 현장아카데미에서 펴낸 ‘이후(以後)’ 신학의 세 시리즈가 있고, 선친 故 이신 박사 40주기 기념 『李信의 묵시의식과 토착화의 새 차원』(2021)과 백낙청 TV를 통해서 탄생한 『개벽사상과 종교공부』(2024) 등 다수가 있다. 『지혜를 찾아서-왕양명의 삶과 사상』(1998), 『한나 아렌트-삶은 하나의 이야기이다』(2022)를 번역했다.
펼치기
유영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정치외교학과 석사를 마쳤다. 현재 뉴욕에 있는 New School for Social Research에서 정치이론을 공부하고 있다.
펼치기
전병술 (옮긴이)    정보 더보기
건국대학교 철학과와 대만 문화대학 철학연구소를 졸업하고 양명학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건국대학교와 단국대학교에 출강하고 있다. 저서로 『생태문화와 학』(공저), 『종교근본주의』(공저),『한국인의 웰다잉 가이드라인』(공저), 『식탁의 영성』(공저), 『철학의 시대』(공저), 『죽음맞이』(공저) 등이 있고, 역서로 『죽음 그 마지막 성장』, 『죽음학』, 『심체와 성체』 등이 있다.
펼치기
이길용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 서울신학대학교 신학과 교수 서울신학대학교를 졸업(B.A)하고, 서강대학교 종교학과 학부(B.A)와 대학원(M.A.)을 마쳤다. 군 복무 후 독일로 건너가 마르부르크(Marburg)대학교 신학부에서 박사학위(Dr. theol)를 취득하였다. 2009년부터 서울신학대학교 교수로 섬기며 기획처장, 입학처장, 대외협력실장, 전산실장 등 여러 보직과 교수협의회 회장을 역임(2018~2019)하였다. 지은 책으로는 <루터>(2020), <이야기 종교학>(2018), <종교로 읽는 한국 사회>(2016), <이야기 세계종교>(2015) 등이 있다.
펼치기
박현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 유로메나연구소 교수로 이슬람과 중동을 연구하고 가르치고 있다. 서강대학교 종교학과에서 학사, 캐나다 맥길대학교 이슬람연구소에서 이슬람학 석사 및 박사 수료, 이란 테헤란대학교에서 이슬람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외교부 정책자문위원, 산업통상자원부의 양자 협력사업인 ‘중동 산업협력 포럼’ 사무국장, 문화체육관광부 공직자 종교차별예방 교육 강사, 한국종교인평화회의 출판위원장, 종교평화국제사업단 발간 영문계간지 <Religion & Peace> 편집장,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중동연구회 전문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역사를 보다』 『이슬람교를 위한 변명』 『Studies in Islamic Historiography』(공저) 『신학의 식탁』(공저) 등을 썼다.
펼치기
박현도의 다른 책 >
김대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7년 강원도 양구에서 태어났다. 서울신학대학교와 대학원에서 신학사와 석사를 마쳤다. 학사장교로 중위 예편을 한 뒤에 서강대학교 대학원 종교학과 정양모, 박태식 교수를 통해 역사비평학적 해석학을 배웠으며.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신약학을 가르치던 조태연 교수로부터도 성서해석학과 예수연구의 방법론을 깊이 있게 배웠다. 서강대학교대학원 종교학과(M.A.),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종교학과(Ph.D.), 숭실대학교 대학원 철학과(Ph.D.)에서 공부하였다. 가톨릭대학교 문화영성대학원, 서울신학대학교, 성공회대학교,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종교학과 등에서 강사를 역임했으며, 종교문화연구원 연구위원, (사)함석헌기념사업회 부설 씨알사상연구원 연구실장으로 일한 바 있다. 지금은 숭실대학교 철학과, 원광디지털대학교 원불교학과 등에 출강하면서 타임즈코리아 학술위원장 및 안병욱아카데미 원장, 함석헌평화연구소 공동소장, 밥상평화포럼 고문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영성, 우매한 세계에 대한 저항』, 『함석헌의 철학과 종교 세계』, 『함석헌과 종교문화』, 『씨알의 희망과 분노』(공저), 『길을 묻다, 간디와 함석헌』(공저), 『지중해학 성서해석 방법이란 무엇인가』(공저), 『종교근본주의: 비판과 대안』(공저), 『생각과 실천』(공저), 『식탁의 영성』(공저), 『망각의 해석학』(공저), 『영성가와 함께 느리게 살기』, 『생태영성의 이해』, 『함석헌의 생철학적 징후들』, 『예수와 신앙 언어』, 『함석헌과 이성의 해방』, 『그리스도교 감성학』, 『함석헌의 평화론』, 『칸트철학과 타자인식의 해석학』, 『함석헌의 종교인식과 그리스도교 생태철학』, 『켜켜이 쌓인 시간을 풀어주는 사람』, 『교회 몰락의 시대에 신을 말한다』, 『성서로운 삶을 향한 존재의 이해』, 『생철학자 안병욱 철학평전: 안병욱의 인생철학』, 『소비적 종교주의의 해체』,『절대자유를 갈망한 사람들』(공저), 『치명적 자유의 향연: 아나키즘과 함석헌』(공저), 『아시아 평화공동체』(공저), 『인문학적 상상력과 종교』(공저) 등이 있다. 논문으로는「생명에 대한 존재론적 인식과 생명미학적 정치」, 「함석헌의 세계민중철학과 교육: 보편성과 특수성의 긴장과 조화」 등이 있다. 주요 관심분야는 아나키즘과 현상학적 인식론 및 존재론을 기반으로 하는 함석헌의 철학, 환경과 기술철학, 공간철학과 정치미학, 해체구성적 종교학이다.
펼치기
최대광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공덕감리교회 담임목사 감리교신학대학교 객원교수 감리교신학대학교 졸업 미국 버클리 Pacific School of Religion 신학석사, 문학석사 영국 랑케스터대학교 종교학 철학박사(Ph.D) 공저: 『올꾼이 선생님 변선환』, 『생태신학 강의』, 『종교개혁 이후의 신학』, 『한국전쟁 이후의 신학』, 『한국의 귀신론』, 『종교의 근본주의』, 『제3세대 토착화신학』 외 다수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