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88997724437
· 쪽수 : 360쪽
· 출판일 : 2025-09-20
책 소개
목차
추천의 글
서문
제1부. 교육은 왜 존재하는가: 사명, 철학, 비전을 다시 묻다
- 위기의 신호
- 핵심 가치
- 교육 철학과 신념
- 교육의 사명, 비전 그리고 목적
- 왜 교육을 다시 말해야 하는가
제2부. 변화는 어떻게 시작되는가: 실패와 성공에서 배우다
1. 현장이 증언하는 교육 개혁의 한계 – 30년의 목소리
- 반복되는 교육 개혁의 실패 원인
- 시스템 구조의 한계와 관성
- 제도를 바꿔도 교실은 왜 그대로인가
2. 학생이 교육의 주인이 된다면 – 애너하임의 실험
- 모든 학생의 성공을 향한 여정
- 어떤 리더십이 진짜 변화를 만드는가
- 성공하는 교육 혁신의 8가지 비밀
3. 애너하임이 한국 교육에 주는 교훈
- 성과와 한계를 넘어
- 지금, 우리가 실천해야 할 것들
- 새로운 교육 문명은 어떻게 시작되는가
- 시스템을 바꾸는 개인의 힘
제3부. 교육 개혁은 왜 실패했는가: 30년의 성찰과 전환의 필요성
1. 5.31 교육 개혁 30년의 명암 – 왜 다시 교육 개혁을 말하는가
- 5.31 교육 개혁은 무엇이었는가
- 철학과 핵심 방향
- 5.31 교육 개혁 30년, 성과와 한계
- 세상은 바뀌었는데, 교육은 왜 그대로인가
- 개혁의 유산과 우리가 배워야 할 교훈
2. 우리 교육이 마주한 5대 구조적 도전 – 익숙한 위기, 낯선 관점에서 다시 보기
- 입시 체제의 자기강화와 교육 본질의 왜곡
- 뒤바뀐 중심축, 커지는 사교육 의존
- 교사 소진과 교육 전문성 약화
- 학생의 마음 건강과 학습 동기 저하
- 인구 급감과 학교 생태계의 붕괴
- 결론
3. 패러다임 전환의 길 – 교육을 다시 설계해야 하는 이유
- 교육 개혁의 실패 이유
- 새로운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
* 교육 개혁을 가로막는 31가지 오해와 속설
제4부. 교육의 판을 다시 짜다: 교육 대전환 2035를 향한 실천 전략
1. 시나리오 분석을 위한 접근 – 시나리오 구성을 위한 핵심 변수와 분석 틀
- 시나리오 분석의 목적과 방법
- 시나리오별 실현 가능성 개관
2. 2035~2045년 한국 학교교육 시나리오 3가지
- 시나리오1: 시험 공화국
- 시나리오2: 균형 교육 생태계
- 시나리오3: 생태적 학습 네트워크
- 미래교육을 위한 전략적 과제
3. 미래교육의 나침반 – 2035~2045년 비전과 전략 방향
- 어디로 가야 하는가
- 어떻게 실행할 것인가
4. 함께 설계하는 미래교육 – 시민설명회
- 교육 대전환, 왜 지금인가
- 주체별 역할과 실천 방안
- 시민들의 질문에 답하다
- 2035~2045년, 우리가 만들어낸 미래교육
후기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교육은 사회가 다음 세대에게 건네는 미래의 설계도이다. 그것은 어떤 인간을 길러낼 것인가, 어떤 사회를 만들어갈 것인가에 대한 공동의 약속이자, 다음 세대가 살아갈 방향을 함께 그려나가는 지도와 같다. 그러나 확고한 교육 철학과 모두의 열망을 담은 명확한 비전 없이 입시 중심과 민원 처리식의 땜질 대응만 반복되는 사이, 교육은 점점 본래의 목적과 기능을 잃어가고 있다.
“선생님, 이거 배워서 어디에 써요?” 누구나 학창시절 이런 질문을 던진 적이 있을 것이다. 수업이 시작되는 순간, 거의 모든 학생들이 무의식적으로 던지는 질문이기도 하다. 문제는 이 질문에 명쾌하게 답할 수 있는 어른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는 것이다. 어떤 교육을 지향할 것인지를 말하기 전에, 먼저 교육적 신념과 가치관을 분명히 해야 한다. 지금 우리가 마주한 교육의 위기는 단지 정책이나 제도의 문제가 아니라, 교육의 근본 목적을 망각한 채 입시 중심의 관성만을 따르고 있다는 데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