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의 이해
· ISBN : 9788998266097
· 쪽수 : 496쪽
· 출판일 : 2014-05-08
책 소개
목차
01 기독교는 말이 되는가?
02 신이란 무엇인가?
03 신에 대해 묻는 것은 무례한가?
04 예수 그리스도는 기도에 응답하는가?
05 기독교인은 누구인가?
06 기독교는 세상을 더 좋게 만드는가?
07 무신론이란 무엇인가?
08 기적이란 무엇인가?
09 생명의 복잡성이 신의 존재를 증명해주는가?
10 당신은 성경을 읽어봤는가?
11 기독교인은 어떻게 하느님 앞에서도 나쁜 짓을 할 수 있을까?
12 어떻게 부활을 확신하는가?
13 천국은 정말 있을까?
14 하느님은 왜 그렇게 난폭한가?
15 예언은 무엇을 증명하는가?
16 십계명은 중요한가?
17 진짜 십계명을 아는가?
18 기독교는 여성에게 친절한가?
19 신자는 무신론자보다 똑똑한가?
20 거듭나는 것, 기독교에만 있을까?
21 신앙은 좋은 것인가?
22 아이들은 기독교인이어야 하는가?
23 예수 그리스도는 병자를 치료하는가?
24 인간 예수가 존재했다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는가?
25 다른 신은 어떻게 봐야 하는가?
26 기독교인은 더 행복한가?
27 미국은 기독교 국가인가?
28 예수의 기적을 어떻게 확신할 수 있나?
29 무신론자인 독재자들의 악행을 어떻게 볼 것인가?
30 우주는 우리와 딱 맞게 창조되었는가?
31 더 나은 세상을 만들 순 없었을까?
32 고고학은 무엇을 입증했는가?
33 왜 모든 사람은 기독교인이 아닐까?
34 진화론이 왜 문제인가?
35 후회하는 것보다 안전한 게 더 나은가?
36 왜 하느님은 아들을 희생시켰는가?
37 하느님은 대홍수를 일으켰는가?
38 신 앞에서 왜 출생지가 중요한가?
39 왜 기독교와 과학은 자주 갈등하는가?
40 왜 사람들은 지옥으로 가는가?
41 무신론자들은 신뢰할 만한가?
42 왜 성경은 더 많은 이들을 믿게 하지 못하나?
43 천사는 진짜 있는가?
44 왜 크리스마스는 공격당하는가?
45 종말론은 과연 사라질까?
46 기독교는 사람을 훌륭하게 만드는가?
47 왜 신은 이렇게 고통을 주는가?
48 예수 그리스도처럼 십자가에 못 박힐 수 있는가?
49 기독교인은 회의론자가 되어야 하는가?
50 기독교는 오랫동안 살아남을까?
책속에서
만일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처형이 정말로 있었고 기독교인들이 주장하는 것처럼 그 처형이 비인간적이고 잔인했다면, 회의론자에게 자연스럽게 떠오르는 질문은 ‘왜?’이다. 예수 그리스도든 신이든 인간이든 왜 그런 고통을 당하며 죽어야 했는가? 인간 제물로? 정말로? 만일 기독교인들이 말하는 것처럼 이런 일이 일어났다면, 그 일이 실제 있었다고 주장하는 바로 그 이유들 때문에 왜 그런 제물(인간)이 필요했는지 합리적인 설명과 추론이 있어야 할 것이다. 우리를 용서하고 신 자신의 심판으로부터 구원하기 위해, 왜 신은 그런 혐오스럽고 끔찍한 행위를 해야 했을까?
분명히 하나님은 우리를 죽음과 영원한 저주로부터 구원할 더 나은 방법을 생각할 수 있었을 것이다. 하나님이라면 모든 것을 좌지우지하는 존재 아닌가? 왜 하나님은 우리에게 구원과 천국으로 가는 길을 열어줄 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았을까? 하나님이 예수 그리스도가 더디고 고통스런 죽음을 맞지 않게 하면서 그냥 우리를 용서할 수는 없었던 것일까? 하나님은 그 자신도 따라야 할 어떤 규제에 묶여 있는 것인가? 도대체 어떻게 된 것인가? <기독교는 말이 되는가>
응답 없는 기도를 설명하기 위해 제시되는 게 인간의 실패와 환경적 조건이다. 아기들은 대부분 가난한 곳에서 죽는다. 적절한 건강관리와 안전한 식수, 식량이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것은 세속적 설명이다. 기독교인들이 어떻게 감히 인간의 기간시설이 부족해 예수 그리스도의 권력과 동정심이 제대로 발휘되지 못한다고 주장할 수 있는가? 예수 그리스도가 어떤 엄마의 절망적인 기도에 응답할 것인지 말 것인지 결정할 때, 현지의 건강관리 직원이나 의료품, 의료시설의 질과 양에 신경을 쓰는 이유는 무엇인가? 만약 예수 그리스도가 존재하고, 전능하고 또 기도에 응답한다면, 그런 자잘한 사항은 아무런 상관이 없을 것이다. <예수 그리스도는 기도에 응답하는가>
유엔개발계획(UNDP)이 매년 발표하는 인간개발지수(UDI)는 건강과 교육, 생활수준, 교양, 평균기대수명 등 중요한 요소들을 바탕으로 각 국가들의 순위를 매긴 것이다. 세계에서 가장 좋은 사회와 가장 나쁜 사회, 기능적인 사회와 역기능적인 사회를 분명하게 보여주는 중요한 목록이다. 이 보고서는 기독교인의 비중이 낮을수록, 또 어떤 종교든 신자의 비중이 낮을수록 사회가 전반적으로 더 낫다는 점을 분명히 보여주고 있다. 더 많은 종교는 답이 아닌 것이다.
세속적인 정부와 덜 종교적인 사회들이 더 잘 돌아가는 것은 분명하다. 오늘날 가장 성공적인 국가들은 확실히 기독교 신정국가가 아니다.
<기독교는 세상을 더 좋게 만드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