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환경/생태문제 > 환경학 일반
· ISBN : 9788998408015
· 쪽수 : 576쪽
· 출판일 : 2012-12-15
책 소개
목차
서문 물 문제에 새로이 접근하며 ????? 4
1부. 국제 사회의 물 인권 논의
01. 유럽연합의 물 인권에 대한 헌법적 보장 · 권형둔 ????? 12
02. 물과 관련한 국제적 논의의 동향 및 유엔총회 물 인권 결의 · 고문현 ????? 62
03. 물 인권: 국제적인 법적 성격과 국내 재판에서의 의미 · 서철원 ????? 110
04. 물 인권의 국제적 동향과 미래 방향 · 김정인 ????? 164
2부. 물 인권 도입의 주요 이슈: 법리
05. 물 기본권에 관한 연구 · 김성수 ..... 214
06. 물 인권과 통합 수자원 관리 법제 · 김홍균 ..... 250
07. 물 인권과 수리권 · 류권홍 ..... 298
3부. 물 인권 도입의 주요 이슈: 실행
08. 물 인권과 지방자치 · 조성규 ..... 370
09. 물 인권과 물 관리 거버넌스 · 김창수 ..... 434
10. 물 복지와 물 값 · 김종원 ..... 502
11. 물 인권과 인프라 투자 · 민경진.최한주 ..... 542
필자 약력 ..... 572
책속에서
유럽연합에서 물 인권이 지니는 의미는, 무엇보다도 안전하고 위생적인 식수에 대한 권리가 인간의 건강과 생명의 유지에 필수적인 것이며 이에 대한 차별받지 않는 접근을 보장하고 있다는 점이다. 각국 헌법 및 법원도 물 인권을 존중하고 보호하며 실현하여야 할 국가의 기본 의무로 승인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국가가 충분하고 안전한 양질의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는 조치는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P57 (권형둔)
2010년 7월 28일 유엔총회에서 전 세계에 약 9억 명이 깨끗한 물에 대한 접근권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점에 깊은 우려를 표명하면서 “깨끗한 물과 위생에 대한 접근권”을 인간다운 삶의 향유와 모든 인권에 필수적인 요소로 선언하였다. 이 선언은 인간의 기본적인 생존을 위하여, 특히 ‘깨끗한 물’에 대한 접근권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가를 웅변적으로 보여 준다고 하겠다. -p101 (고문현)
역사적으로 치수는 국가 통치의 근간이자 국가 지도자의 우선적인 과제로 여겨져 왔다. 물을 관리하고 배분하는 제도는 역사적으로 다양했지만, 가장 많이 채택되었던 제도는 공공의 이익을 위하여 국가가 물을 관리하는 소위 공공 신탁의 모델이었다. 그런데 최근에는 물을 이용할 수 있는 권리를 모든 사람의 인권의 문제로 취급하는 물 인권(human right to water)이라는 개념이 주장되고 있다. - p112(서철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