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환경/생태문제 > 환경문제
· ISBN : 9788998408121
· 쪽수 : 400쪽
· 출판일 : 2016-11-23
책 소개
목차
서문 ………… 5
제1부. 신(新)기후변화 시대와 물
1장. 수자원 분야의 기후변화 대응 전략-지속 가능한 물 관리를 위하여 · 최한주 ……………………………………………… 13
2장. 기후변화와 새로운 물 거버넌스 모색· 김진영 ……………………………………………… 51
제2부. 물 관리의 변환점
3장. 가뭄에 대비한 물 수요 반응 제도 도입 방안 · 김정인 ………… 111
4장. 물과 기후변화에 관한 유럽연합의 입법적 대응 · 권형둔 ………… 141
제3부. 새로운 기회를 맞은 물 산업
5장. 싱가포르의 물 관리 선진 사례 연구 · 김정렬 …………………… 193
6장. 기후변화에 따른 물 산업의 중국 진출 전략 · 사득환 …………… 225
제4부. 물과 에너지 혁신
7장. 전력 산업에서 수자원의 역할 · 유승훈 ……………………………… 275
8장. 기후변화에 대한 물-에너지-식량의 넥서스적 접근 · 최봉석 ……… 351
저자 소개 ………… 397
저자소개
책속에서
▶ 서문 중에서
지난해 12월, 제21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1)는 신(新)기후 체제의 출발점이 될 역사적인 합의문인 파리 협정(Paris Agreement)을 채택하였습니다. 이번 협정은 지구의 평균기온 상승 억제라는 글로벌 장기 목표 달성을 위한 선진국의 선도적 역할을 지속적으로 강조하는 한편, 그 외의 국가들도 기후변화 대응에 참여하도록 한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제 195개 당사국 모두가 자발적 온실가스 감축 목표(INDC)를 설정하고 이행해야 함에 따라, 새로운 기후변화 대응 체제에 대한 철저한 준비와 체계적인 실행이 어느 때보다도 중요합니다.
우리나라도 제2차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 에너지 신산업 확산전략 등을 수립하고 현재 분야별로 실행 계획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과거 기후변화 대응 정책이 온실가스 배출을 감축하고 흡수원을 확충하는 기후변화 완화 정책 위주였다면 최근의 글로벌 어젠다는 기후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적응 정책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쪽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적응대책에 대한 모니터링과 통합적인 점검, 환류 체계 등이 강화되고 부문별 세부 적응대책의 수립과 실행도 강조될 것으로 보입니다.
기후변화와 가장 밀접하게 관련된 것이 바로 물 분야입니다. 이 책은 신(新)기후변화 체제하의 향후 물 관리 환경 변화와 대응방안에 대해 논의한 내용들로 구성되었습니다. 먼저 기후변화 대응에 대한 국내외 동향 및 물 관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수요 관리 정책, 통합 물 관리 시스템 정착 등 미래 물 관리 정책 방향을 담고 있습니다. 또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국제사회의 변화 속에서 우리 물 산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이를 위한 국가, 공기업, 민간의 협력방안에 대해서도 살펴보았습니다. 아울러, 최근 물 분야의 가장 떠오르는 이슈인 물-에너지-식량 넥서스 관점에서의 수자원의 역할과 기후변화 대응 방향도 포함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