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한국전쟁 이후~현재
· ISBN : 9788998443504
· 쪽수 : 748쪽
· 출판일 : 2014-07-30
목차
발간사
총론
Ⅰ. 한국의 경제 성장과 중화학공업화 정책
Ⅱ. 중화학공업화에 대한 본서의 시각
Ⅲ. 본서의 구성과 내용
Ⅳ. 본 연구의 시사점
1부 중화학공업화의 배경과 정책
1장 중화학공업화 선언 이전의 산업정책
Ⅰ. 서론
Ⅱ. 한국 전쟁 이후 산업 정책의 전개와 중화학공업(1953-1960년)
Ⅲ. 1960년대 산업 정책의 전개와 중화학공업(1961-1972년)
Ⅳ. 결론
2장 중화학공업화 정책의 수립, 전개 및 조정
Ⅰ. 머리말
Ⅱ. 중화학공업 육성 계획
Ⅲ. 중화학공업화 정책 추진 기구 : 중화학공업추진위원회
Ⅳ. 중화학공업 육성 정책
Ⅴ. 중화학공업화 정책의 변화
Ⅵ. 맺음말
2부 중화학공업의 성장
3장 철강 산업 육성정책과 포항종합제철
Ⅰ. 서론
Ⅱ. 철강 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과 시행착오(1950년대-1960년대 중반)
Ⅲ. 포항제철의 설립과 철강 산업 육성 정책
Ⅳ. 중화학공업 육성 정책과 포항종합제철의 성장
Ⅴ. 결론
4장 자동차 산업의 성장과 정부의 역할
Ⅰ. 머리말
Ⅱ. 자동차 산업 육성 정책의 추이
Ⅲ. 산업 재편성 : 전문화와 계열화
Ⅳ. 기술 경쟁력의 확보 : 기술 개발, 기술 인력과 기술 지도
Ⅴ. 시장의 확보 : 모터라이제이션과 수출 진흥
Ⅵ. 맺음말
5장 공작기계 산업 생태계 형성과 정부 정책
Ⅰ. 머리말
Ⅱ. 공작 기계 산업 육성 정책의 추이
Ⅲ. 산업 재편성 : 전문화·계열화의 추진
Ⅳ. 기술 경쟁력의 확보 : 기술 도입과 기술 지도
Ⅴ. 시장 개척 : 국산화 촉진과 수출 진흥
Ⅵ. 맺음말
6장 조선 산업의 성장과 수출 전문 산업화
Ⅰ. 머리말
Ⅱ. 역대 정권의 조선 산업 재건 모색 : 대한조선공사 정상화의 시행착오
Ⅲ. 수출 전문 산업으로의 전환 : 현대중공업 건설
Ⅳ. 중화학공업화 선언과 수출 전문 산업 기반 구축
Ⅴ. 맺음말
3부 인적 자본의 형성
7장 정부의 기술 인력 수급 계획과 기능공 인력양성
Ⅰ. 머리말
Ⅱ. 중화학공업화의 선언과 과학 기술 인력 수급 계획의 작성
Ⅲ. 기술 인력 정책의 시행
Ⅳ. 맺음말
8장 포항제철의 기능 인력 충원 및 양성
Ⅰ. 머리말
Ⅱ. 인사 노무 관리 방침과 인센티브 체계
Ⅲ. 인력 충원
Ⅳ. 기능 인력의 교육 및 훈련(숙련 형성)
Ⅴ. 맺음말
9장 조선 산업 인력 수급 정책과 양성 과정
Ⅰ. 머리말
Ⅱ. 조선 인력 수급 정책과 실태
Ⅲ. 현대중공업의 조선 인력 양성
Ⅳ. 맺음말
10장 중화학공업화 정책에 대한 평가의 재검토
Ⅰ. 머리말
Ⅱ. 정부 역할과 산업 정책
Ⅲ. 시장 왜곡과 과잉 투자
Ⅳ. 재벌 형성과 불평등 심화
Ⅴ. 비교사로 본 중화학공업화 정책
Ⅵ. 맺음말
11장 유신시대 중화학공업과 정치변동
Ⅰ. 서론
Ⅱ. 유신 체제 도입의 정치적 이해와 중화학공업
Ⅲ. 유신 권위주의 체제와 중화학공업 사이의 선택적 친화력
Ⅳ. 중화학공업과 사회·경제적 변화와 유신체제의 한계
Ⅴ.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