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의 장기통계 : 국민계정 1911-2010

한국의 장기통계 : 국민계정 1911-2010

박섭, 차명수, 박기주, 김낙년, 호리 가즈오, 김재호, 박이택, 주익종, 이우연, 송경은 (지은이)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2-08-31
  |  
3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인터파크 로딩중
11st 로딩중
G마켓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국의 장기통계 : 국민계정 1911-2010

책 정보

· 제목 : 한국의 장기통계 : 국민계정 1911-2010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경상계열 > 경제학
· ISBN : 9788952113658
· 쪽수 : 696쪽

책 소개

이 책의 목적은 식민지기 조선의 경제통계를 정비하고 이를 UN이 권고하는 국민계정 체계(System of National Accounts)에 의해 해방 후의 현행 통계와 연결하여 표준적인 분석의 틀을 구축하는 데 있다.

목차

개정판 머리말  v
Preface ix
초판 머리말  xi
범  례  xxxiv

제1부 추계와 분석
제1장 추계작업의 개요 / 김낙년 3
제2장 농업 / 박섭 27
제3장 임업·수산업 / 이우연·송경은 51
제4장 광업·제조업 / 박기주 71
제5장 전기·가스·수도업 및 운수·창고·통신업 / 박기주 ·박이택 107
제6장 도소매 및 음식·숙박업 / 박이택 129
제7장 금융과 기타 서비스업 / 주익종 149
제8장 정부부문 / 김재호 169
제9장 민간소비지출 / 주익종 193
제10장 자본형성 / 박이택·김낙년 215
제11장 무역과 대외수지 / 堀和生·김낙년·박기주 239
제12장 국민계정 / 김낙년 275
제13장 장기통계: 해방 후와의 연결 / 김낙년 295
제14장 경제성장·소득분배·구조변화 / 차명수 333
제15장  Population and Natonal Accounts of Korea, 1911-2010 /
Myung Soo Cha and Nak Nyeon Kim 381

제2부  통계
통계표  차례 397
통계표 Ⅰ 국민계정 통계 407
통계표 Ⅱ 주요 통계 523
참고문헌 643
찾아보기 655

저자소개

박섭 (옮긴이)    정보 더보기
인제대학교 국제경상학부 교수·econseop@inje.ac.kr 『中韓區域經濟發展與農村城鎭化硏究』(편저), 北京: 民族出版社, 2010. 『부산의 기업과 기업가단체, 1900-45』(편저), 해남, 2010. 『근대 동아시아 경제의 역사적 구조』(편저), 일조각, 2007. 『일본 자본주의와 한국 대만: 제국주의하의 경제변동』(역서), 전통과 현대, 2007.
펼치기
차명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영국 워릭(Warwick)대에서 금본위제도 아래에서의 국제경기변동 연구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영남대 경제금융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며 동아시아 경제성장사 연구를 하고 있다. “Consequences of Growth: Living Standards, Inequality, and Consumption,” in Cambridge Economic History of Modern World (공저, 근간), Historical Statistics of Korea (공편, 2020), 『기아와 기적의 기원』(2014) 등의 저서가 있다.
펼치기
박기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경제학 박사 낙성대경제연구소 연구위원(2000~2005) 경제사학회 회장(2016) 현 성신여자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경제사, 경제학설사 강의 [주요 논문 및 저서] 「1970년대 중화학공업화 육성정책에 대한 평가」 「1960-1970년대 한국의 전자산업 육성 정책」 『한국 중화학공업화와 사회의 변화』(공저) 『중화학공업화』 외 다수
펼치기
김낙년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경대학 경제학박사 동국대학교 경제학과 명예교수 낙성대경제연구소 이사장 경제사학회 회장(2013년) 『日本帝国主義下の朝鮮経済』, 『한국의 장기통계』(공편저), Historical Statistics of Korea(공편저) 외 다수
펼치기
호리 가즈오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교토대학 대학원 경제학연구과 교수·hori@econ.kyoto-u.ac.jp 『東アジア資本主義史論-形成·構\造·展開』, ミネルヴァ書房,·2009. 『東アジア資本主義史論-構\造と特質』(편저),·ミネルヴァ書房, 2008. 『日本資本主義と朝鮮·台灣』(공편저), 京都大學 學術出版會, 2004 번역 : (『일본 자본주의와 조선·대만』, 전통과 현대, 2005). 『朝鮮工業化の史的分析』, 有斐閣, 1995 번역 : (『한국 근대의 공업화』, 전통과 현대, 2003).
펼치기
김재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남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jhokim@jnu.ac.kr 「조선왕조 장기지속의 경제적 기원」,『經濟學硏究』, 59(4), 2011. 「朝鮮後期中央財政과 銅錢: 『賦役實摠』을 중심으로」,『경제사학』44, 2008. 「조선후기 중앙재정의 운영: 『六典條例』의 분석을 중심으로」,『경제사학』43, 2007. 「皇室財政と'租稅國家'の成立-韓國と日本との比較」,『社會經濟史學』66(2), 2000.
펼치기
박이택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경제연구소 연구교수·yitaekpark@yahoo.co.kr 「식민지 조선의 기업지배구조 - 한국인 회사와 일본인 회사의 비교」,『경제사학』 49, 2010. 「17, 18세기 환곡에 대한 제도론적 접근: 재량적 규제체계의 역할을 중심으로」, 『정신문화연구』116, 2009. 「식민지기 조선인 인구추계의 재검토 ? 1910-1940」, 『대동문화연구』72, 2008. 『한국 통신 산업에 있어서 지배구조와 고용구조』, 한국학술정보(주), 2008.
펼치기
주익종 (지은이)    정보 더보기
낙성대경제연구소 연구위원· ijjoo@lycos.co.kr 『대군의 척후』, 푸른역사, 2008). 번역: 『大軍の斥侯-韓國經濟發展の起源』, 日本經濟評論社, 2011 「6.25전쟁 후 한국정부의 경제개발론」,『6.25전쟁의 재인식』, 기파랑, 2010. 「일제하 한국의 식민정부, 기업, 그리고 공업화」,『경제사학』35, 2003. 「일제하 평양의 메리야스공업에 관한 연구」(서울대 경제학과 박사학위논문), 1994.
펼치기
이우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경제학과에서 ‘조선시대-식민지기 산림소유제도와 임상의 변화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한국경제사 전공)를 받았다. 하버드대학교 경제학과 방문연구원, 규슈대학교 한국학연구센터 교환교수를 지냈고 현재 낙성대경제연구소 연구위원으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는 『한국의 산림소유제도와 정책의 역사 1600~1987』(2010년), 『반일 종족주의』(2019년, 공저) 등이, 옮긴 책으로는 『날조한, 징용공 없는 징용공 문제』(2020년), 『위안부와 전쟁터의 성(性)』(2022년) 등이 있다.
펼치기
송경은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제원산지정보원 선임연구원·skyeun@gmail.com 「영조대 水産物産과 租稅收取의 지역적 특질 : 『輿地圖書』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문화』57, 2012.
펼치기

책속에서

머리말

본서는 식민지기 조선의 경제통계를 정비하고 이를 UN이 권고하는 국민계정 체계(System of National Accounts, SNA)에 맞추어 국민계정 통계를 추계한 초판(김낙년 편, 『한국의 경제성장 1910-1945』, 서울대출판부, 2006)을 개정·증보한 것이다. 그동안 이 추계 성과는 국내의 식민지기 연구자뿐만 아니라 국외 연구자로부터도 과분한 관심을 받았다. 본서의 초판은 일본을 비롯한 아시아의 장기경제통계(LTES)의 정비 작업을 주도해 온 히토츠바시대학 경제연구소(一橋大學 經濟硏究所)에 의해 일본어로 번역되어 동경대학 출판부에서 출간되었다(金洛年編, 文浩一·金承美譯, 尾高煌之助·齋藤修譯文監修, 『植民地期朝鮮の國民經濟計算 1910-1945』, 東京大學出版會, 2008). 한편, 이 추계를 영어권에 소개하는 논문(Cha, Myung Soo and Kim, Nak Nyeon, “Korea’s First Industrial Revolution, 1911-1940”, Explorations in Economic History, vol. 49)도 최근 발표되었다. 이를 통해 본서의 추계 성과가 국제적으로도 널리 이용될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본서의 초판이 국민계정을 추계한 기간은 1911-40년이며, 이를 해방 후 현행 통계와 연결하는 일은 차후의 과제로 남아 있었다. 이를 위해서는 세 가지 작업이 더 필요하다. 첫째, UN은 세 차례(1953, 1968, 1993년)에 걸쳐 국민계정 체계(SNA)를 개편해 왔는데, 1993 SNA 이전의 통계를 현행의 기준에 맞추어 통일하는 일이다. 식민지기 국민계정통계를 추계할 당시에 한국은행은 1968 SNA에 따르고 있었고, 추계도 거기에 맞추었다. 그런데 한국은행의 국민계정은 근래에 1993 SNA로 이행을 완료하였기 때문에 그에 맞추어 개편할 필요가 생겼다. 또한 한국은행의 현행 계열은 1970년까지는 소급되어 개편되었지만, 그 이전의 1953-69년 구계열은 1953 SNA에 따르고 있어 이것도 현행 기준에 맞추어 개편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해방 전은 북한을 포함한 한반도 전체의 통계이며, 해방 후는 남한에 국한되므로 두 시기 통계의 커버리지를 일치시킬 필요가 있다. 식민지기는 도별 통계가 비교적 풍부하게 남아 있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면 이 시기 GDP를 도별, 나아가 남북한으로 분할할 수 있다. 셋째, 해방 전후기(1941-52년)는 자료의 제약으로 국민계정을 추계하지 못했지만, 흩어진 자료를 발굴하여 정리하면 이 정치적 격변기의 생산 추이를 어느 정도 복원할 수 있다.
본서는 이러한 과제를 수행한 성과를 담았으며, 가능한 경우 1911-2010년에 걸친 장기 국민계정 통계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식민지기 통계를 개편하는 과정에서 수치의 입력이나 추계 산식 또는 분류 등에서 오류가 발견된 경우가 있으며, 이번 기회에 이들을 모두 바로잡았다. 다만 본서의 제목은 『한국의 장기통계: 국민계정 1911-2010』으로 변경하였다. ‘1910-1945’라는 시기의 한정이 붙어 있는 초판의 제목으로는 지난 100년간의 장기통계를 제시한다는 본서의 취지를 담기가 어렵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초판과 비교하면, ‘추계와 분석’을 다룬 제1부와 ‘통계’를 수록한 제2부, 그리고 각 장의 구성은 개정판에서도 그대로 유지하였다. 다만 제13장을 새로 추가하여 해방 전과 후를 잇는 장기통계를 어떻게 작성하였는지 해설하였다. 제2부의 국민계정 통계도 1993 SNA의 통계 양식에 맞추어 개편하고 새로운 통계표들을 추가하였다. 생산과 지출, 인구 등에 관한 주요 통계의 경우에는 지난 100년간의 장기통계를 제시하였다. 각 장에서 작성한 주요 통계도 개정된 내용을 반영하거나 오류를 수정하였으며, 본문의 관련 서술을 보완하였다. 제14장은 본서가 제시한 장기통계 등을 이용하여 조선후기로부터 현재에 이르는 한국의 경제성장과 구조변화의 특징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추가하였다.
또 영어권의 독자들도 본서를 이용할 수 있도록 배려하였다. 제2부의 통계표는 모두 한국어와 영어를 병기하였다. 그리고 제1부의 마지막 장에는 국민계정과 인구의 추계방법에 관한 영문 요약을 새롭게 추가하였다.

국민계정 통계가 정비된 것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일이며, 이를 그 이전 시기로 소급하여 장기 역사통계를 정비하려는 노력이 주요 선진국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예컨대 미국의 경우 Susan Carter, et al. eds., Historical Statistics of the United States, Earliest Time to the Present: Millenium Edition (5 Vol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일본의 경우 大川一司·篠原三代平·梅村又次編『長期經濟統計』(전 14권, 東洋經濟新報社,1965-88)를 들 수 있다. 이를 통해 이전 시대의 경제상황을 현재와 같은 국민계정의 분석틀을 가지고 비교할 수 있으며, 국제비교 또한 가능해진다. 다시 말하면 비교의 지평을 시간적으로나 지리적으로 크게 확대하는 의미를 가진다. 한국에서는 낙성대경제연구소가 역사통계를 정비하는 작업을 수행해 왔으며, 본서의 발행도 그 일환으로 추진된 것이다.
이러한 장기통계의 정비가 특히 한국의 연구상황에서 어떤 의의를 가질 것인지 간단히 언급해 두기로 한다. 첫째, 한국경제에 관한 연구의 지평을 근대 초기로까지 확대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근대 이후 전통사회에서 식민지 체제로, 그리고 해방 후에는 남북이 분단되었다. 각 시기마다 통계자료의 상황이 크게 달랐기 때문에 일관된 장기통계를 만드는 데 장애가 많다. 분단이 그러한 어려움을 가중한 것은 전술한 대로이다. 그뿐만 아니라 식민지기는 이민족의 지배를 받았기 때문에 이 시기를 해방 후와 직접 비교하거나 연속적으로 파악하는 데 심리적 저항감이 있다. 그러다 보니 조선 후기, 식민지기, 해방 후의 각 시기에 관한 연구가 문제의식을 공유하거나 상호 교류하는 일이 없이 단절되는 상황이 빚어졌다. 장기통계는 자료 면에서 다른 시기로의 진입장벽을 낮추고, 각 시기에 나타난 경제적 변화를 서로 비교할 수 있게 함으로써 종래 개별 시기에 국한된 연구 시각을 보다 장기적인 맥락 속에서 재검토할 수 있게 해 준다.
둘째, 식민지 지배와 분단이 장기통계를 만드는 데 어려움을 주었지만, 발상을 바꾸어 생각해 보면 그로 인해 의도치 않게 다른 나라에서는 겪지 못한 여러 차례에 걸친 체제 전환의 실험이 이루어졌다고 볼 수도 있다. 전통사회가 급격한 개방의 충격에 노출된 개항기, 외래 권력에 의한 식민지체제로의 재편, 해방 후 다시 자본주의와 사회주의 체제로의 전환이 그것이다. 각 시기는 체제와 제도가 달랐으며 경제적 성과에서도 차이가 컸다. 이렇게 보면 우리나라 근현대사는 제도(또는 체제)변화와 경제성장(또는 사회변화) 간의 다양한 관련을 보여주는 풍부한 사례를 가지고 있는 셈이다. 장기통계가 정비되어 근대 이후의 각 시기를 비교 분석할 수 있게 되면, 연구의 시야를 제도와 체제 이행의 문제까지 포괄하도록 넓힐 수 있다.
셋째, 역사 연구자 중에서도 전공 시기에 따라 연구가 단절되어 있음을 지적했지만, 유사한 상황은 경제학과 경제사 연구자 사이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종래 한국경제의 고도성장은 국제적으로도 주목되어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주로 경제학자들에 의한 이들 한국경제 연구는 대체로 1960-70년대 고도성장기 이후로 한정되며, 그 이전 시기로 논의가 확대되지 못하였다. 그 결과 한국의 고도성장을 당시의 요인으로 한정하여 설명하는 경향에 빠지게 되고 역사적 규정성이나 제도변화의 요인을 고려하기 어려웠다. 이렇게 된 데에는 연구의 관심이나 방법의 차이도 있지만, 역시 자료상의 장벽이 컸다고 생각된다. 이와 같이 장기통계라는 인프라가 정비되면 전공 시기나 관심이 다른 다양한 배경의 연구자들이 서로 접근하여 교류할 수 있는 장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이 교류의 폭을 더욱 넓히기 위해서는 장기통계가 경제 이외의 사회통계 분야로도, 그리고 개항기 또는 전통 사회까지 포함하도록 대상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본서가 비록 식민지기 이후의 국민계정통계에 한정된 점에서 미흡하지만, 한국경제의 연구를 활성화하고 그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일조할 수 있다면 우리 저자들에게는 더 없는 큰 기쁨이겠다.
마지막으로 본서는 낙성대경제연구소가 조직한 공동연구(과제명: 해방 전후 통계 공백기(1940-60) 경제통계의 정비, 추계 및 연결, 과제번호: KRF-2007-322-B00010)의 성과 중 일부이며 한국연구재단으로부터 연구비 지원을 받았다. 그리고 본서의 출판에는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의 김현호 팀장을 비롯한 여러분의 도움을 받았다. 본서에는 특히 크고 복잡한 통계표를 많이 싣고 있는데 이를 깔끔하게 정리해 주었다. 이 자리를 빌려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