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88998666378
· 쪽수 : 431쪽
· 출판일 : 2013-05-22
목차
1권
머리말 화냥년을 사랑하라
제1장 열하일기서 열하일기는 소설이다
열하일기서: 텍스트 & 컨텍스트
제2장 도강록1 역수를 건너는 바보원정대
6월 24일 역수를 건너는 바보원정대
제3장 도강록2 글 읽는 쥐새끼들의 나라
6월 25일 고기 잡는 놈, 사람 잡는 놈
6월 26일 옷을 벗지 못하는 사람들
6월 27일 ‘이용-후생-정덕’의 프레임
6월 28일 벽돌성곽과 탕탕평평의 딜레마
6월 29일 정덕에 속고 이용에 우는 민초들
제4장 도강록3 까마귀와 공작새의 깃털전쟁
7월 01일 혹 자랑하는 처녀, 책 자랑하는 아빠1
7월 02일 혹 자랑하는 처녀, 책 자랑하는 아빠2
7월 03일 떨어지는 석류꽃, 피어나는 옥잠화
7월 04일 여백으로 그려낸 ‘유한계급론’
7월 05일 구들장을 팔아먹은 북학의 페이소스
7월 06일 갈가마귀 스노비즘 Vs 송골매 스노비즘
7월 07일 우리는 왜 개새끼를 숭배하는가
제5장 도강록4 몽매한 노예교육의 부역자
7월 08일 호곡장론-조선의 우민화를 위하여
7월 09일 강을 건너지 못하는 사람들
'구요동기' 외: 만주벌판을 지배하는 4가지 우상
제6장 성경잡지 맹신자를 위한 사기꾼의 표지들
7월 10일 눈을 잃어버린 순례자
7월 11일 ‘상부구조-하부구조’를 위한 2중판타지
속재필담: 골동품장수들의 깃털극장
상루필담: 비단장수들의 멋진 신세계
7월 12일 다시 ‘노파와 당나귀들’의 세상으로
고동록: 북학에 나부끼는 북벌의 깃털
7월 13일 4단7정론을 비웃는 까마귀들의 퍼포먼스
7월 14일 성리학프레임에 가려진 합일의 길
제7장 일신수필 공자왈 맹자왈 사회의 파노라마
일신수필서: 진군하라, 공자님의 태산으로
7월 15일 ‘똥거름 장관론’의 한계적 시야
북진묘기: 공자에게 빼앗긴 철학
수레제도: 잃어버린 노자를 찾아서
‘희대’ 외: 깃털학문과 물신숭배의 나라
7월 16일 명나라인간, 청나라인간1
7월 17일 명나라인간, 청나라인간2
7월 18일 명청교체기 역사1: 우상의 죽음
7월 19일 명청교체기 역사2: 우상의 부활
7월 20일 총석정관일출―민중의 태양을 기다리며
7월 21일 비단장수의 사주학, 만주소년의 논어3장
7월 22일 여시관-이것이 장관이다
7월 23일 무덤가의 붉은 꽃, 아스라한 산상장성
‘강녀묘기’ 외: 만리장성에 우짖는 공무도하가
제8장 관내정사1 백이·숙제가 사람 잡네
7월 24일 지워지지 않은 중화주의 DNA
7월 25일 사법살인을 비판하는 입법살인자
7월 26일 중화사관에 갇힌 역사비평가
이제묘기 외: 백이·숙제는 왜 수양산으로 갔을까
7월 27일 백이·숙제가 사람 잡네, 연암이 사람 잡네
7월 28일 오랑캐와 소인배 만들기 퍼포먼스
제9장 관내정사2 호질: 청상과부를 위한 판타지
제1막: 우상을 경계하라
제2막: 귀신 붙은 호랑이의 욕구3단계설
제3막: ‘호랑이 밥’으로 풍자한 역사3단계
제4막: 화냥년을 위한 화냥질의 메타포
제5막: 인간의 법을 꾸짖는 자연법의 소리
제6막: 무대 위에 남겨진 미션
후지: 인민이 승리하리라
「햄릿」으로 읽는 「호질」의 르네상스
2권
머리말 너희가 사랑을 아느냐!
제10장 관내정사3 다시 살아난 중화의 밥상에서
7월 29일 너희가 계주의 술맛을 아느냐
7월 30일 마케팅을 알면 공자가 보인다
8월 01일 2% 부족한 중화문명론
8월 02일 청나라에 차려진 명나라의 밥상
8월 03일 노마님의 ‘공작새 죽이기’
8월 04일 너 자신을 알라!
제11장 막북행정록 만리장성 너머로 행군하라
서: 황금양털을 찾아서
8월 05일 한o의 노래로 연출한 북벌극장
8월 06일 민생의 약탈자, 상생의 겁탈자
8월 07일 민중을 등진 선비들의 고산구곡가
야출고북구기: 백성을 속이니 무외지경이요
일야구도하기: 말과 합일하니 무아지경일세
8월 08일 ‘호질→합창→합일’의 꿈
만국진공기: 원숭이에게서 바라본 자화상
8월 09일 외가마·쌍가마에 실린 청나라의 깃털
제12장 태학유관록 우상의 제국, 아득한 조선의 영혼
8월 09일 깨어나라, 난설헌의 이름으로
8월 10일 소중화·신중화의 대결, 아득한 홍길동전
8월 11일 황금전각, 그 너머의 유랑민들
반선시말: ‘원―명―청’에 놀아난 티벳의 눈물
찰십륜포: 반선을 보지 못한 연암의 반선이야기
8월 12일 우상은 칼보다 강하다
8월 13일 천문학에서 바라본 중화의 동굴
8월 14일 1대3결혼의 법칙, 잃어버린 돈과 글자
제13장 구외이문 낙원을 찾아가는 60고개
반양 / 채요와 호접 / 고려주
숭정상신 / 이상아와 서혁덕 / 왕진묘
조조수장 / 위충현 / 양귀비사
초사 / 주각해 / 하란록
사답 / 입정승 / 별단
등즙교석 / 조라치 / 원사천자명
만어 / 여음리동두등절 / 병오을묘원조일식
육청 / 삼학사성인지일 / 당금명사
명련자봉왕 / 고아마홍 / 동의보감
심의 / 나약국서 / 불서
황명마패 / 합밀왕 / 서화담집
장흥루판 / 주한과 주앙 / 무열하
옹노후 / 심 / 순제묘
해인사 / 사월팔일방등 / 오현비파
사자 / 강선루 / 이영현
왕월시권 / 천순칠년회시공원화 / 신라호
증고려사 / 조선모란 / 애호
십가소 / 자규 / 경수사대장경비략
황량대 / 호원이학지성 / 배형
환향하 / 계원필경 / 천불사
제14장 환연도중록 귀로에서 바라본 석양 & 무지개
8월 15일 공자의 동굴을 탈출하라
8월 16일 두 개의 우상을 든 청나라의 남과 여
8월 17일 만리장성을 넘으며 분열하는 자아
8월 18일 인간의 재발견, 근대의 발견
8월 19일 극기복례―서산에 걸린 공자의 그림자
8월 20일 의기투합―시정잡배들의 호접몽
제15장 금료소초 약방문으로 위장한 조선처방전
서: 인간사회의 두 가지 병
본문: ‘욕망-학문-법도-질병-치유’의 원리
부: 청나라와 조선을 위한 처방전
제16장 옥갑야화 하늘상자에 담아낸 인간극장
도입: 두 종류의 인간으로 갈라진 세상
제1막: 허생의 7년지병, 마누라의 3년지애
제2막: 제물론 자아, 소요유 기업
제3막: 이의 경영학, 용의 인문학
제4막: 도적들에게 ‘인간’을 묻다
제5막: ‘장사치’의 역설
제6막: 멀어져가는 상인혁명의 꿈
제7막: 일어나라, 대역죄인의 이름으로
후지: 연암의 영혼을 깨운 조선의 영혼
조선하늘을 울어예는 죽서루아리랑
‘베니스의 상인’으로 읽는 허생전의 꿈
[에필로그] 깨끗이 목욕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