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91127428686
· 쪽수 : 376쪽
· 출판일 : 2019-10-11
책 소개
목차
머리말
프롤로그
①'불교'라는 용어 / ②불교사의 개략 / ③불교 성립 이전의 역사 / ④불교의 특질
제1부 인도 불교사
처음에
제1장 초기 불교
①불교의 성립 / ②초기의 교단 / ③아소카왕 / ④초기 불교의 자료
제2장 중기 불교
①부파불교 / ②아비다르마 / ③대승불교 운동 / ④대승불교의 등장
제3장 후기 불교
①대승불교의 중기와 후기 / ②밀교
제2부 인도 불교의 사상사
불교사상사에 대해서
제1장 초기 불교
①기본적 입장 / ②마음 / ③고 / ④무상 / ⑤무아 / ⑥삼법인 / ⑦중도 / ⑧사제 팔정도 / ⑨법 / ⑩십이인연(연기설) / ⑪니르바나(열반) / ⑫자비
제2장 부파불교
①법 / ②업 / ③시간론
제3장 초기 대승불교
①대승의 제불 / ②대승의 제 보살 / ③초기 대승 경전 / ④나가르주나
제4장 중기 및 후기 대승불교
①여래장(불성) / ②유식 / ③여래장 사상과 유식설의 종합 / ④불신론 / ⑤밀교 / ⑥중관파 / ⑦유가행파 / ⑧불교 논리학과 인식론
제3부 각지의 불교
제1장 남전불교
1. 스리랑카 / 2. 미얀마 / 3. 태국 / 4. 캄보디아와 라오스 / 5. 기타
제2장 북전불교
1. 중국 불교 / 2. 한국 불교 / 3. 일본 불교 / 4. 티베트 불교
마치면서
역자 후기
주요 참고문헌(초)
간이 연표(1)
간이 연표(2) - 일본
색인
리뷰
책속에서
확실히 어떤 사람이라도 이 현세에서 살아가고 있는 하나의 인간으로서 다양한 고통을 안에 품어, 세속의 욕망(번뇌)에 일시적으로 눈이 어두워지는 일은 피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런데도 여전히 불교가 설하는 현실 중심은 그 고통을 있는 그대로 응시하여 그 소멸을, 그리고 맹렬히 유혹하는 욕망(번뇌)을 자각하여 그 초극을, 이 현실의 세계에서 실현하고자 한다.
니르바나는 (번뇌가) 죄다 소멸한 양상을 나타내며, 거기에서는 안도 밖도 평안하다는 뜻에서 이 양자를 합하여 열반적정(涅槃寂靜)이라고 칭하는데, 이것이 삼법인에 추가되었다는 사실은 이미 서술하였다.
석존은 보리수 아래의 깨달음에서 이 니르바나를 달성하였다. 바꾸어 말하면 성도(成道)라는 것은 니르바나의 체득이며, 그에 의해 고타마는 붓다(각자) 내지 무니(성자)가 되고, 따라서 니르바나는 석존 또는 불교의 출발점인 동시에 또한 목적지이기도 하다고 평가될 것이다.
미륵의 원어인 마이트레야는 미트라라는 말에서 유래하는데, 미트라는 이란의 미스라신(神)이나 인도 일반의 미트라신(神)과 이어진다. 또한 보통명사인 미트라는 친구를 의미하고, 이 말에서 파생한 보통명사인 마이트라라는 말은 우정·친절을 나타내며 마이트리와 함께 '자(慈)'의 원어에 해당된다. 마이트레야도 그 유의어로서, 자씨(慈氏)로 한역된 사례도 있다.
이 미륵불은 미래불(未來佛)로서 간주되며 현재는 일찍이 석가불이 머물렀던 투시타(도솔천)에 산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