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도가철학/노장철학 > 도가철학 일반
· ISBN : 9791127451615
· 쪽수 : 392쪽
· 출판일 : 2022-03-10
책 소개
목차
강의를 시작하기 전에
1강 도교의 시작과 전개
2강 ‘도’의 사상-통주저음(通奏低音)으로서의 『노자』
3강 생명관-기, 마음, 신체
4강 우주론-눈으로 보이는 세계를 넘어서
5강 신격(神格)과 구제 사상-자기 구제에서 타자 구제로
6강 수양론-내단에의 길
7강 윤리와 사회사상-정치철학으로서의 도교
8강 도교와 불교-삼교(三敎) 공존의 사회 속에서
9강 도교와 문학·예술
10강 도교와 일본 문화
후기
독서 안내
관계 연표
옮긴이 후기
리뷰
책속에서
이처럼 도교는 노자의 사상을 근본으로 삼고서, 그 위에 불로장생을 추구하는 신선술과 교단도교(敎團道敎)에서 활용되었던 부록·재초, 또는 불교 영향을 받아 제작되었던 경전·의례 등등의 갖가지 요소들이 시대의 추이에 따라 여러 층으로 겹쳐 덧쌓여서 만들어진 것이다. 이런 것들 이외에도 고대에는 귀신 신앙의 영향이 두드러졌던 묵자 사상과 유교의 윤리 사상, 또는 음양오행 사상과 참위 사상, 황로도(黃老道) 등도 도교를 구성하는 요소로서 거론할 수가 있겠다. 그와 같이 수많은 요소가 다층적으로 겹쌓여서 생겨난 도교의 어느 지점을 떼여내어 기점으로 보는가에 따라서 도교의 시작에 관한 견해가 서로 달라지는 것이다.
지금으로부터 2100년 전쯤에 『사기』가 쓰여질 당시에 노자는 이미 애매모호하여 신상을 잘 알 수 없는 인물이었음을 짐작케 한다. 노자의 인물상이 지닌 이러한 애매모호함이 후대에 이르러 노자가 신비화되고, 신격화해가는 하나의 요인으로도 작용하게 되었고, 그렇듯 신비화·신격화한 노자는 도교라는 종교 안에서 커다란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다.
불로장생을 획득하여 ‘도’와 합일하는 것을 이상으로 여겼던 도교는 정신적인 오탈(悟脫)을 문제로 삼았을 뿐만 아니라, 신체적인 측면까지도 매우 중시하였다. 하상공주의 『노자』 해석에 있어서 형이상의 ‘도’의 구체적 발현인 ‘기’가 주목의 대상이 되었던 점은 도교 사상사의 전개에 있어서 커다란 의미를 지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