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아시아사 > 동남아시아사
· ISBN : 9791127454784
· 쪽수 : 552쪽
· 출판일 : 2022-08-10
책 소개
목차
1강 청동기 문화와 초기 국가의 형성: 선사시대~9세기
Ⅰ. 동남아시아 지역의 특징
Ⅱ. 청동기 문화와 초기 국가
Ⅲ. 고대 국가군의 전개
2강 중세 국가의 전개: 10세기~14세기
Ⅰ. 동남아시아 중세를 규정하는 요인
Ⅱ. 농업 국가에서 발전했던 중세 국가
Ⅲ. 교역 국가의 새로운 전개
Ⅳ. 전환기로서의 13~14세기
3강 교역 시대: 15세기~17세기
Ⅰ. ‘교역 시대’의 배경
Ⅱ. ‘교역 시대’의 신흥국
Ⅲ. 새로운 외래 상인의 활약
‐ 포르투갈·스페인·일본·네덜란드
Ⅳ. ‘교역 시대’의 대륙부 국가들
Ⅴ. 말레이·이슬람 세계의 전개
4강 동남아시아의 근세: 18세기~19세기 전반
Ⅰ. 동남아시아 근세를 규정하는 요인들
Ⅱ. 대륙부 근세 국가의 전개
Ⅲ. 유럽 세력의 변화
Ⅳ. 조미아
5강 식민지 지배에 의한 단절과 연속: 19세기 후반~1930년대①
Ⅰ. 동남아시아의 근대‐단절과 연속
Ⅱ. 식민지 지배의 확립과 싸얌의 근대화
Ⅲ. 동남아시아 경제의 재편성
6강 민족주의의 발흥: 19세기 후반~1930년대 ②
Ⅰ. 민족주의와 식민지
Ⅱ. 민족주의의 전개
Ⅲ. 국제 공산주의 운동과 동남아시아
7강 2차 세계대전과 동남아시아 여러 나라의 독립
: 1940년대~1950년대
Ⅰ. 2차 세계대전과 동남아시아
Ⅱ. 일본의 전쟁
Ⅲ. ‘일본을 이용한 독립’에서 ‘자력에 의한 독립’으로‐버마와 인도네시아
Ⅳ. 반일과 ‘일본을 이용한 독립’의 착종‐베트남
Ⅴ. 적대감에 둘러싸인 일본‐필리핀과 타이
Ⅵ. 서로 다른 대일 감정‐말라야와 싱가포르
Ⅶ. 인도네시아 독립전쟁과 1차 인도차이나전쟁
Ⅷ. 독립과 새로운 국제 질서
8강 냉전에 주체적으로 대응하다: 1950년대 중반~1970년대 중반
Ⅰ. 냉전 구조와 동남아시아
Ⅱ. 베트남전쟁
Ⅲ. 개발과 독재
Ⅳ. 말레이시아의 결성과 싱가포르의 독립
Ⅴ. 아세안의 결성
9강 경제 발전·아세안 10·민주화: 1970년대 중반~1990년대
Ⅰ. 냉전 체제 붕괴에서 포스트 냉전기로
Ⅱ. 캄보디아 분쟁에서 아세안 10으로
Ⅲ. 개발독재의 종식과 개혁의 모색
10강 21세기 동남아시아
Ⅰ. 지구적 과제와 동남아시아
Ⅱ. 아세안 공동체 발족
Ⅲ. 각국의 현황
Ⅳ. 맺음말에 가름하여‐코로나 사태와 동남아시아
주요 참고문헌
옮긴이 후기
책속에서
이렇듯 ‘결속감이 없는’ 동남아시아를 서로 연결하는 공통성으로는 어떤 것이 있을까? 첫째는 벼농사(稻作)를 짓는다는 사실이다. (중략) 이러한 도작 농업은 동남아시아에 있어서 국가를 형성하는 하나의 기반이 되었다.
동남아시아를 연결하는 또 하나의 공통성은 해역(海域)에 형성되었던, 동서양을 이어주는 교역망이다.
14세기에는 유라시아 대륙의 수많은 지역에서 페스트가 대유행했다. 중국 또는 중동이 발생원이었다고 추정되지만, 그것이 유럽까지 확산된 데는 몽골제국에 의해 유라시아 대륙의 동서를 연결하는 교역이 발전했기 때문이었다. 이러한 페스트 역병 재난에 지구 한랭화까지 겹치는 통에, 14세기 후반에는 유라시아 대륙 전역에서 위기가 발생했다. 동남아시아에서 일어난 사태로 이러한 지구 한랭화와 밀접히 결부될 가능성이 높은 사례는 14세기 중엽 쩐 왕조 베트남에서 빈발했던 기근과 그에 뒤따른 사회적 혼란상이라 하겠다. 한편으로 동북 타이와 캄보디아 서북부 건조지대의 평원이 역사의 정식 무대에서 자취를 감추었던 정황도, 무엇인가 생태 환경의 변화와 연관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중국의 명도 그러한 난관을 간신히 극복하고 1560년대 말경에는 해금 정책을 대폭적으로 완화했다. 중국인 상인의 동남아시아에로의 도항이 허용되었고, 포르투갈·스페인이 중국·일본에 교역 거점을 확보하는 등, 동중국해까지를 포괄한 아시아 해역에서의 ‘교역 시대’는 그 전성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이 시대에는 버마의 따웅우(Taungoo) 왕조와 같이, 교역을 통한 이익과 유럽 세력에게서 얻은 군사력을 결합시켜 강대한 세력을 구축했던 사례도 나타났다. 이러한 ‘교역 시대’의 번영은 일본과 신대륙에서의 은 생산량이 감소하는 17세기 중엽까지 지속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