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아시아사 > 동아시아/극동아시아사
· ISBN : 9791127464950
· 쪽수 : 452쪽
· 출판일 : 2023-09-10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서장. 전쟁 전의 문맥――1910~1940년대
제1장. 분단 속의 정치화――1950~1960년대
1. 올림픽과 아시안게임――일본의 재등장
2. ‘두 개의 중국’ 문제
3. 2개국 간 교류의 향방
4. 아시아 스포츠계의 정치화――신흥국경기대회GANEFO의 파문
5. 북한의 배제와 포용
제2장. 중국의 포용――1970년대
1. 탁구와 아시아――또 하나의 핑퐁외교
2. 중국 · 북한의 아시안게임 참가
3. 고립되는 일본
4. 중국의 IOC 복귀
제3장. 통합을 향하여――1980년대
1. 아시아의 연대?――모스크바올림픽 보이콧
2. 서울올림픽으로 가는 험한 길――한국 · 북한 · 중국의 정치 역학
3. ‘아시아 중시’ 노선의 마찰
4. ‘두 개의 중국’의 귀결점――베이징 아시안게임
종장. 동아시아 대회의 좌절――1990년대 이후
1. 대항과 개혁 운동으로서의 연대
2. 경쟁과 분단의 시대로
3. 20세기 동아시아와 스포츠
참고 문헌
맺는말
옮긴이 후기
약년표
리뷰
책속에서
당시 중국과 일본 양측은 서로 간에 상대방이 ‘스포츠와 정치는 별개’라는 이념을 위반했다고 비난했다. 필리핀의 경우에는 독립국이 아니더라도 극동대회에는 참가할 수 있었다. 그렇다면 만주국의 참가를 거부하는 중국의 입장은 다름 아닌 정치적 이유 때문이라고 일본은 주장했다. 반면에 중국은 일본이 만주국이라는 정치적 문제를 스포츠계로 끌어들였다고 비난했다.
북한은 도쿄올림픽에 (정식 국호가 아닌) ‘북한(North Korea)’이라는 명칭으로 참가할 생각이었다. 그러나 이후에 북한은 정식 국호만을 고집하는 쪽으로 방침을 전환했다. 그 첫 사례가 1967년 1월에 열린 세계여자배구선수권대회〔도쿄〕였다.
이 대회는 동독 · 북한과 관련해 일어날 말썽에 대비해서 시상식에서 국기 · 국가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방침이었다. 그런데 북한은 국기 · 국가를 사용하지 않는 방침에도 반대했다. 정치와 스포츠는 불가분의 관계라고 생각하는 북한에게 국기 · 국가는 대회에 참가하는 의의와도 관련된 중대한 문제였다. 일본 측은 국기 · 국가를 사용치 않는 것은 IF가 결정한 것이고, 또한 국명은 도쿄올림픽의 예에 따른 것으로 변경할 수 없다는 입장이었다.
방콕은 제6회 아시안게임을 떠맡았을 때와 마찬가지로 대회 소요 경비를 AGF 각국이 분담하는 것을 조건으로 내걸었다. 소요 예상 경비 250만 달러 가운데 80%를 사우디아라비아 등의 아랍 국가들이 부담하고, 나머지 50만 달러를 일본 등이 분담하기로 결정했다. ‘오일달러(oil dollar) 대회’라고 조롱당할 정도로 당시 아시안게임은 아랍권의 오일 머니에 의존했다. 아랍 국가들이 그토록 열의를 쏟았던 이유는 물론 이스라엘을 배제하려는 정치적 목적 때문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