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91128816109
· 쪽수 : 108쪽
· 출판일 : 2019-10-29
책 소개
목차
01 스타와 스타파워
02 스타 속성
03 스타 신뢰성
04 스타 전문성
05 스타 매력성
06 팬덤
07 팬 커뮤니티
08 스타 동일시
09 팬 커뮤니티 동일시
10 팬 커뮤니티 자발적 행동
책속에서
스타파워는 스타가 가진 자산의 한 종류로 유명 배우나 감독이 만든 것으로 믿는 관객의 흥미이며 스타가 가진 능력보다는 대중의 마음에서 형성되는 힘이다. 또한 스타파워는 대중을 설득하거나 영향을 미치는 스타의 능력으로 정의된다. 이러한 스타와 대중 간의 관계에서 생성되는 스타파워는 감정적 친화, 자기 동일시, 모방, 투사의 네 가지 측면에서 다뤄진다. 감정적 친화는 팬이 아닌 일반 대중이 스타에 대해 느끼는 감정으로, 드라마나 영화 주인공에 대한 애착이나 연대적 감정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자기 동일시는 스타를 좋아하는 팬이 자신과 스타를 동일한 상태로 지각하는 것을 나타낸다. 그리고 모방은 주로 10대 청소년에게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그들은 스타를 자신의 모델로 삼아 스타와 같은 패션, 액세서리, 습관 등 육체적 또는 외형적인 특징을 자신의 것으로 모방해 표현한다. 스타에 대한 투사는 단순히 모방의 단계를 넘어서 스타의 모든 것을 자신과 일치시켜 스타와 자신의 삶을 구별해 내지 못하는 동일시의 확산적인 결과다.
-“스타와 스타파워” 중에서
이윤 추구를 목적으로 하는 문화 산업자들과 달리, 팬들은 오히려 돈을 쓰면서 팬덤 내의 텍스트를 생산한다. 또한 팬들은 문화 자본을 공유함으로써 동일한 스타를 좋아하는 다른 집단의 회원들 참여를 유도한다. 이러한 팬덤은 문화 현상에서 문화 실체로 진화하고 있다. 스타와 팬 간의 획일화된 관계를 거부하고 스타를 우상으로 인식하는 것에서 벗어나 적극적으로 이끌고 관리해야 하는 대상으로 인식하는 변화를 보인다. 따라서 팬덤이란 스타를 중심으로 팬들이 자발적으로 형성한 집단으로 간주하며, 스타를 매개로 형성한 문화를 자신들의 문화 속으로 수용해 스타를 적극적으로 관리하는 대중문화 현상으로 볼 수 있다. .
-“팬덤”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