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큰글씨책] 진사왕 조식 시선

[큰글씨책] 진사왕 조식 시선

조식 (지은이), 심우영 (옮긴이)
지식을만드는지식
3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8,000원 -0% 0원
1,140원
36,86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큰글씨책] 진사왕 조식 시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큰글씨책] 진사왕 조식 시선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시 > 외국시
· ISBN : 9791128820137
· 쪽수 : 376쪽
· 출판일 : 2016-12-23

책 소개

지식을만드는지식 시선집 시리즈. 조식의 시 중 널리 알려지고 인구에 회자되는 작품 54편 68수를 선별해 우선 제재와 내용에 따라 모두 열한 개 제목으로 나누었다. 그리고 각 작품마다 우리말 번역을 먼저 실은 후, 그 아래에 원문을 배치했다.

목차

역사를 되새기며
세 명의 어진 신하(三良詩)
붉은 노을이 해를 가리니(丹霞蔽日行)
예장(豫章行) 두 수
제1수
제2수
원망의 노래(怨歌行)
한나라는(惟漢行)

영웅을 기리며
백마(白馬篇)
새우와 드렁허리(鰕䱇篇)

연회를 즐기며
연회(公宴詩)
부용지(芙蓉池詩)
태자를 모시고 앉아(侍太子坐詩)
공후(箜篌引)
첩의 박복한 운명(妾薄命行) 두 수
제1수
제2수
내일 큰 재난을 당할지라도(當來日大難)
수레를 이미 말에 메웠으나(當車已駕行)
정월 초하루의 조회(元會詩)

백성을 생각하며
잡시(雜詩) 한 수
제2수
비를 기뻐하며(喜雨詩)
양보산(梁甫行)
문 앞에 만 리 길 온 나그네 있어(門有萬里客)

신세를 한탄하며
잡시(雜詩) 한 수
제4수
질투(妬詩)
잡시(雜詩)
뜻을 말하며(言志詩)
일곱 걸음(七步詩)
미녀(美女篇)
탄식하며(吁嗟篇)
들판의 참새(野田黃雀行)
담장은 높아야(當牆欲高行)
너럭바위(盤石篇)

중용을 희망하며
잡시(雜詩) 두 수
제5수
제6수
염교 위의 이슬(薤露行)
남산에서 노닐고 싶어(當欲遊南山行)
임금을 섬기려면(當事君行)

임을 그리워하며
일곱 가지 슬픔(七哀詩)
잡시(雜詩) 두 수
제1수
제3수
규방의 정(閨情詩) 두 수
제1수
제2수
정(情詩)
칡을 심으니(種葛篇)
부평초(浮萍篇)

하늘 세계를 꿈꾸며
하늘에 오르다(升天行) 두 수
제1수
제2수
신선(仙人篇)
신선 세계를 노닐며(遊仙詩)
하늘 세계에서 노닐며(五遊詠)
평릉의 동쪽(平陵東行)
괴로운 생각(苦思行)
멀리서 노닐다(遠遊篇)
계수나무(桂之樹行)
하늘을 나는 용(飛龍篇)
수레를 몰고(驅車篇)

시를 지어 주며
서간에게 지어 주며(贈徐幹詩)
정의에게 지어 주며(贈丁儀詩)
왕찬에게 지어 주며(贈王粲詩)
정의·왕찬에게 지어 주며(贈丁儀王粲詩)
백마왕 조표에게 지어 주며(贈白馬王彪) 일곱 수
서문
제1수
제2수
제3수
제4수
제5수
제6수
제7수
정익에게 지어 주며(贈丁翼詩)

귀족의 생활상을 전하며
닭싸움(鬭雞詩)
이름난 도읍(名都篇)

친구를 배웅하며
응씨를 배웅하며(送應氏詩) 두 수
제1수
제2수

해설
지은이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

저자소개

조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조식(曹植, 192∼232)은 자가 자건(子建)이고, 패국(沛國) 초현(譙縣) 사람으로 동무양현(東武陽縣)에서 조조(曹操)와 무선황후(武宣皇后) 변씨(卞氏) 사이에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매우 총명해 겨우 열 살이 되었을 때 유가 서적과 제자백가를 섭렵하고, 시론(詩論)과 사부(辭賦) 수십만 언(言)까지 송독해 글을 잘 지었다. 건안 11년(206) 8월에 열다섯 살이 된 조식은 처음으로 아버지를 따라 원정을 시작했다. 건안 14년(209) 열여덟 살이 되어서야 비로소 아버지와 함께한 원정길을 끝내고 12월에 고향인 초현으로 돌아왔다. 건안 16년(211)에 조식은 평원후(平原侯)에 봉해졌고, 7월에는 업성에서의 유락 생활을 접고 종군을 자청해서 다시 아버지를 따라 서쪽 원정길에 올랐다. 2년 가까이 전쟁을 치르고 나서야 비로소 혼란스런 국면을 수습하고 일단 평화와 안정을 되찾게 되었다. 건안 19년(214)에 조식이 임치후(臨淄侯)로 옮겨 봉해졌는데, 이해에 조조는 손권을 토벌하러 원정길에 나서면서 조식으로 하여금 업성에 남아 이곳을 지키라고 명령을 내렸다. 이것은 조식의 재능을 인정해 총애한 결과였다. 하지만 조식은 마음 내키는 대로 행동하고 자기 단속에도 소홀하며 술을 절제하지 못해 조조에게 여러 차례 실망을 안겨 주었다. 10월에는 마침내 그의 형인 조비(曹丕)가 태자 자리를 차지하게 되었다. 기세등등했던 조식의 삶은 이때부터 백팔십도로 달라져 고난과 비애의 시련을 겪게 된다. 건안 25년(220) 정월에 조조가 낙양에서 병으로 죽자, 조비가 이어서 승상(丞相)에다 위왕(魏王)이 되었다. 즉위 후 조비는 조식의 절친한 친구인 정의(丁儀)와 정이(丁?)를 죽여 세력을 약화시켰다. 10월에는 한나라 마지막 황제인 헌제(獻帝)를 협박해서 양위하게 하고, 위(魏)나라를 세워 연호를 황초(黃初)라 했다. 제위에 오른 조비는 중앙 통치를 강화할 목적으로 제후들을 감시했고 정적들을 제거하기 시작했다. 이리하여 조식은 귀족 왕자의 신분에서 견성후(?城侯)로 봉해져 감시와 핍박을 감내해야 하는 요주의 인물로 바뀌었다. 황초 7년(226) 5월에 조비가 병으로 죽자 그의 아들인 조예(曹叡)가 제위를 계승해 명제(明帝)가 되었다. 이에 조식은 여러 차례 자기의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등용의 기회를 달라고 조예에게 상서를 올려 구애했다. 조예는 겉으로는 들어주는 척하면서 사실은 그에 대한 경계와 핍박 수위를 조금도 누그러뜨리지 않았다. 조비와 조예 부자의 2대에 걸친 압박 속에, 조식은 11년 동안 여섯 군데의 봉지를 옮겨 다녔는데 겉으로는 제후국 왕이었으나 실제로는 연금 상태의 죄수여서, 정치에 참여할 권리도 없었을 뿐 아니라, 친구나 형제와 마음대로 왕래할 자유도 없었다. 태화 6년(232) 진(陳) 땅의 겨우 네 개 현(縣)만을 다스리는 진왕(陳王)에 봉해진 후 11월에 조식은 병으로 사망했다. 향년 41세였다. 그의 시신은 동아의 어산(魚山)에 묻혔고, 시호로 ‘사(思)’를 하사받아 후대 사람들은 ‘진사왕(陳思王)’이라 불렀다.
펼치기
심우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부산 출신으로 부산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성균관대학교 중문학과에서 문학학사를 취득한 후, 교환학생 자격으로 대만 국립정치대학에 유학해 동 대학원에서 문학석사 및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이후 상명대학교 중국어문학과 전임교수로 33년간 재직하면서, 부총장, 어문대학장, 학생처장 및 한중문화정보연구소 소장을 역임하였다. 또한 대외적으로는 한국중문학회 회장 및 한국중어중문학회 부회장을 역임했으며, 캐나다 UBC에 방문 학자로 1년간 다녀왔다. 저서로는 《중국 시가 감상》, 《학생들과 함께 떠난 중국 시가 여행》, 《중국명산명시감상》 외 다수가 있으며, 완적 관련 논문으로는 〈육조 은일시 연구〉, 〈영회시 82수에 나타난 자연물의 상징 양상〉, 〈완적의 처세 태도에 대한 재검토〉, 〈완적의 이상경계〉, 〈죽림칠현의 은일관 연구〉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일곱 걸음(七步詩)

콩을 삶아 국을 만들고
메주를 걸러 즙을 만드네.
콩깍지는 가마솥 아래에서 타고
콩은 가마솥 안에서 우는구나.
본래 같은 뿌리에서 나왔건만
지지고 볶는 것이 어찌 이리 급할까.

煮豆持作羹, 漉豉以爲汁.
萁在釜下然, 豆在釜中泣.
本自同根生, 相煎何太急.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