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철학 일반 > 철학사
· ISBN : 9791128895401
· 쪽수 : 403쪽
· 출판일 : 2024-09-05
책 소개
목차
서론
1. 과학과 철학
2. 그리스의 자연관
3. 르네상스의 자연관
4. 현대의 자연관
5. 위 견해의 결과들
(1) 더 이상 순환적인 변화가 아니라 진보적인 변화
(2) 더 이상 기계적이지 않은 자연
(3) 목적론의 재등장
(4) 기능으로 이해되는 실체
(5) 최소 공간과 최소 시간
제1부 그리스의 우주론
I. 이오니아학파
1. 이오니아의 자연 과학
(1) 탈레스
(2) 아낙시만드로스
(3) 아낙시메네스
2. 이오니아 자연 과학의 한계
3. ‘자연’이라는 단어의 의미
II. 피타고라스학파
1. 피타고라스
2. 플라톤 : 형상 이론
(1) 형상의 실재성과 지성성
(2) 처음에는 내재적인 것으로, 나중에는 초월적인 것으로 생각된 형상들
(3) 형상들의 초월성은 플라톤의 개념이었는가?
(4) 참여와 모방
(5) 《파르메니데스》 : 내재성과 초월성은 서로를 함축한다.
(6) 크라튈로스가 미친 영향
(7) 파르메니데스가 미친 영향
(8) 성숙해진 플라톤의 형상 개념
3. 플라톤의 우주론 : 《티마이오스》
III. 아리스토텔레스
1. ‘퓌시스’의 의미
2. 스스로 운동하는 자연
3. 아리스토텔레스의 지식 이론
4. 아리스토텔레스의 신학
5. 다양한 부동의 원동자들
6. 질료(물질)
제2부 르네상스의 자연관
I. 16∼17세기
1. 반(反)아리스토텔레스주의
2. 르네상스의 우주론 : 제1단계
3. 코페르니쿠스
4. 르네상스의 우주론 : 제2단계?브루노
5. 베이컨
6. 길버트와 케플러
7. 갈릴레오
8. 정신과 물질 : 물질론
9. 스피노자
10. 뉴턴
11. 라이프니츠
12. 요약 : 그리스의 우주론과 르네상스의 우주론 비교
II. 18세기
1. 버클리
2. 칸트
III. 헤겔 : 현대 자연관으로의 전환
제3부 현대의 자연관
I. 생명이라는 개념
1. 진화론적 생물학
2. 베르그송
II. 현대의 물리학
1. 과거의 물질 이론
2. 물질 이론의 복잡성과 비일관성
3. 새로운 물질 이론
4. 자연의 유한성
III. 현대의 우주론
1. 알렉산더
2. 화이트헤드
3. 결론 : 자연에서 역사로
찾아보기
해설
지은이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
책속에서
철학과 자연 과학은 서로 아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자연 과학은 철학이 시작되지 않고는 오래 지속될 수 없으며, 또한 철학은 과학자 자신이 기초했던 원리들을 새롭게 의식하는 데서 나오는 새로운 확신과 일관성을 미래의 철학에 부여함으로써 그것이 성장해 나온 과학에 반응한다.
그렇기 때문에 자연 과학은 과학자들이라고 불리는 한 집단의 사람들에게만 부과되고, 철학은 철학자들이라고 불리는 또 다른 집단의 사람들에게만 부과되어야 한다는 것은 옳지 않다. 자기 자신의 작업 원리들에 대해 한 번도 반성해 보지 않은 사람은 그에 대한 성숙한 태도를 가질 수 없다. 자신의 과학에 대해 철학적 성찰을 한 번도 해 보지 않았던 과학자는 삼류 과학자, 가짜 과학자, 또는 평범한 과학자에 지나지 않는다. 한편, 어떤 종류의 경험을 한 번도 겪어 보지 못했던 사람은 그것에 대해 반성할 수 없다. 자연 과학을 공부하거나 자연 과학 분야에서 일한 적이 전혀 없는 철학자가 그것에 대해 철학적으로 성찰한다는 것은 자신을 웃음거리로 만드는 것이다.
탁월하고도 저명한 19세기 이전 과학자들의 저술에서 드러나듯이, 그들은 항상 자신들의 과학에 대해 어느 정도 철학적인 사고를 했다. 그러나 그들이 자연 과학을 자신들의 주된 업무로 생각했음을 고려한다면, ‘어느 정도’라는 표현은 그들이 했던 철학적인 성찰의 정도를 과소평가하는 것이라고 보는 것이 적절하다. 자연 과학자들과 철학자들을 상대방의 분야에 대해 거의 모를 뿐만 아니라 거의 공감하지도 않는 두 집단의 전문 직업인들로 분리하는 성향은 19세기에 생겼다. 그것은 양쪽 모두에 피해를 준 부적절한 성향이었다. 그러나 그런 성향을 없애고, 또한 그 성향이 만들어 낸 오해의 폭을 좁히려는 진지한 노력이 양쪽 모두에 있었다. 그런 노력은 반드시 양쪽 모두에서 시도되어야 하며, 철학을 직업으로 하는 한 사람인 내 입장에서 할 수 있는 최선은 나 자신의 자연 과학적 경험에 대한 철학적 성찰을 시작하는 것이다. 나는 전문 과학자가 아니기 때문에 나 자신을 웃음거리로 만들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알지만, 그것들을 연결하려는 작업은 계속되어야 한다.
- 〈서론 1. 과학과 철학〉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