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신체언어와 한국인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기호학/언어학 > 언어학/언어사
· ISBN : 9791128896354
· 쪽수 : 108쪽
· 출판일 : 2022-11-25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기호학/언어학 > 언어학/언어사
· ISBN : 9791128896354
· 쪽수 : 108쪽
· 출판일 : 2022-11-25
책 소개
인간의 커뮤니케이션 역사에서 가장 먼저 등장한 매체가 신체언어다. ‘무언의 언어’라 불리는 신체언어는 인간이 진화하면서 같이 발전해 왔다. 이 책은 신체언어가 무엇인지, 어떤 점에서 의미가 있는지, 어떻게 나눌 수 있는지, 구체적인 소통의 기능은 무엇인지 알아본다.
목차
몸짓을 알면 소통이 쉽다
01 신체언어 커뮤니케이션
02 신체언어의 유형
03 신체언어의 기능
04 세계의 신체언어
05 한국의 신체언어
06 사교 기능
07 태도 기능
08 감정 기능
09 요구 기능
10 정보 기능
저자소개
책속에서
응시가 과잉이거나 과소인 경우에 문화와 상관없이 비슷한 의미를 전달한다. 지나치게 많은 눈길은 애정, 분노, 위협, 경멸 등을 의미하고 반대로 지나치게 적은 눈길은 불성실, 부주의, 수줍음 등을 의미한다. 그러나 문화에 따라 응시 행위의 패턴에 차이가 있다.
_ “02 신체언어의 유형” 중에서
비인지적 정보는 태도, 감정, 관계에 관련된 내용이며 이의 전달에는 음성언어보다 신체언어의 역할이 더 크다. 신체언어는 정보 전달의 기능보다는 공동체 내에서 유대감을 공고히 하기 위해 더 많이 실행된다. 사람들은 신체언어를 통해 공동체의 예절을 지키며 자신이 속한 사회의 체계와 신념을 공고히 한다고 볼 수 있다.
_ “03 신체언어의 기능” 중에서
신체언어 가운데 ‘조직의 장’, ‘우두머리’를 지칭할 때 엄지를 치켜드는 동작과 여자 애인을 가리키는 새끼손가락 올리기, 돈의 뜻으로 엄지와 검지를 동그랗게 모아 보이는 동작, 분노를 나타낼 때 머리 위로 양 검지를 올려세우는 동작 등은 한국과 일본에서만 주로 사용되는 예다.
_ “05 한국의 신체언어” 중에서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