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스마트 치료의 법과 사회

스마트 치료의 법과 사회

김수진, 남성일, 박성민, 양재혁, 엄주희, 이일호, 이하나, 이한주, 정수진, 정영석 (지은이)
박영사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000원 -0% 0원
660원
21,340원 >
22,000원 -0% 0원
0원
22,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스마트 치료의 법과 사회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스마트 치료의 법과 사회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법학계열 > 법학일반
· ISBN : 9791130324388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25-07-20

책 소개

<스마트치료의 법·사회·윤리>라는 대주제의 융합연구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세 번째로 나오게 된 책이다. 1부는 헌법으로부터 시작한다. 2부는 인공지능과 스마트 치료에 관한 법적 연구를, 3부는 사회과학적 관점과 방법론으로 수행하는 스마트 치료에 대한 연구를 다루었다.

목차

1부 스마트 치료와 헌법 11

1장 디지털 헬스케어와 헌법상 사회국가(복지국가)의 이상 :
우리나라와 독일 비교를 중심으로 12
I. 서론 12
II. 우리나라와 독일의 디지털 헬스케어 추진현황 비교 18
1. 우리나라 18
2. 독일 20
3. 소결 25
III. 독일 기본법상 사회국가원리의 사회적인 토대 26
1. 서론 26
2. 독일 사회국가원리의 정신적 · 문화적 배경 28
3. 우리나라 사회국가원리의 정신적 · 문화적 배경 37
4. 결론 45
IV. 글을 마치며 46

2장 하버마스의 절차주의적 법 패러다임에서 본 건강권:
보건의료의 문제인식 대상과 이론적 고찰을 중심으로 48
1. 보건의료에 대한 사회학적 고찰은 왜 필요한가? 48
2. 건강권에 대한 세계보건기구(WHO) 헌장 구조 분석 51
3. 건강권에 대한 대한민국 헌법과 법률의 구조 분석 53
4. 하버마스 법의 재구성 5원칙: 건강권 구성의 원칙 57
5. 하버마스의 ‘공중’과 ‘생활세계’로 보는 건강권 개념 61
6. 결론 69

2부 인공지능과 스마트 치료의 법 73

3장 AI시대에 디지털 의료기기의 법적 문제
- 디지털의료제품법을 중심으로 - 74
I. 서론 74
II. 디지털 헬스케어의 발전과 의료시스템 변화 시작으로의 비대면 의료 76
1. 디지털 헬스케어의 발전동향 76
2. 의료시스템 변화의 필요성 77
III. 디지털의료제품법의 헌법상 근거 79
1. 국민의 보건권과 안전권 79
2. 국가의 기본권(보건권, 안전권) 보호 의무 83
IV. 디지털의료제품법의 주요 내용과 법적 개선 방향 84
1. 주요 내용 84
2. 디지털의료제품법의 법적 개선 방향 91
V. 결론 96

4장 기본소득에 관한 헌법적 고찰
- 개념과 기능을 중심으로 - 97
I. 서론 97
II. 기본소득의 개념 100
1. 기본소득의 개념 정의에 관한 기존의 논의 100
2. 구별개념 103
3. 기본소득의 목적을 고려한 개념 요소 검토 104
III. 기본소득의 특성과 헌법상 수용가능성 106
1. 기본소득의 보편성 106
2. 기본소득의 무조건성 107
IV. 기본소득의 기능 - 현재 복지제도를 대체할 수 있는가 115
1. 선별적 복지의 문제점 115
2. 기본소득의 기대효과 116
3. 기본소득의 한계 내지 문제점 117
V. 기본소득의 기능 - AI 시대에 대책이 될 수 있는가 120
1. AI 시대 일자리는 감소에 관한 예측 120
2. 기본소득의 일자리 감소에 대한 대책으로서의 가능성 123
VI. 결론 125

5장 인공지능 활용 디지털 치료제의 지식재산권 문제:
인공지능 생성 음악의 저작권 문제를 중심으로 127
I. 들어가며 127
II. 논의를 위한 전제 129
1. 음악 기반 디지털 치료제의 현재와 과제 129
2. 음악 분야 인공지능의 현재 132
3. 쟁점 133
III. (음악) 데이터셋을 둘러싼 법적 논란 135
1. 도입: 문제제기 135
2. 인공지능에 의한 기존 음악 활용의 문제 136
3. 인공지능 생성물의 보호 문제 143
4. 정리 148
IV. 음악 기반 디지털 치료제와 인공지능 148
1. 도입 148
2. 인공지능 디지털 치료제 구축 단계 149
3. 치료 목적 음악의 생성 단계 150
4. 전망 및 제안 152
V. 맺으며 154

3부 사회 속의 스마트 치료 157

6장 과학 커뮤니케이션에 있어 전문가의 역할과 기능, 대중 참여에
대한 탐색적 연구: 뇌과학자들의 인터뷰 중심 분석 158
1. 서론 및 문제제기 158
2. 이론적 배경과 선행 연구 162
1) 과학 커뮤니케이션의 정의와 패러다임 변화 162
2) 대중 참여(public engagement) 기반의 위험 커뮤니케이션(risk
communi cation)과 과학 커뮤니케이션(science communi cation) 164
3) 뇌연구와 뇌과학자의 커뮤니케이션 168
3. 연구문제 171
4. 연구방법 172
1) 연구대상 172
2) 연구절차 172
5. 연구결과 175
1) 뇌과학자들의 역할 자각과 커뮤니케이션의 문제 175
2) 뇌과학자들이 바라본 과학 커뮤니케이션의 현재 181
3) 대중 관심 제고와 참여 도모를 위한 뇌과학자의 방법론적 제안 188
6. 논의 194

7장 디지털 치료제 사용 의도에 관한 비교 연구: 한국에서 MZ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의 디지털 치료제 사용 의도 중심 분석 200
1. 서론 200
2. 연구방법 203
1) 연구대상 203
2) 변수의 조작적 정의 203
3) Ethical Considerations (윤리적 고려사항) 204
4) 분석방법 204
3. 연구결과 205
1) 변수의 신뢰도와 타당도 205
2) 디지털 리터러시의 유형 205
3) 디지털 치료제에 대한 공중의 인식 207
4) MZ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 간의 차이 211
5) 디지털 리터러시, 프라이버시 우려, 디지털 치료제 인식,
디지털 치료제 사용 의도 간의 관계 213
6) MZ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 간 경로 차이 213
4. 논의 215

8장 디지털 리터러시와 온라인 정보신뢰, 프라이버시 우려가 디지털
치료제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기술수용모델을 중심으로 217
1. 연구배경 및 연구목적 217
2. 이론적 배경 218
1) 기술수용모델(Technology Acceptance Model)과 디지털 리터러시 218
2) 온라인 정보신뢰와 기술수용, 개인정보 우려의 관련성 220
3. 연구방법 및 분석방법 221
1) 연구대상 221
2) 주요 변인의 측정 222
3) 분석 방법 226
4. 연구결과 226
1) 가설 1~가설 3-2의 검증 결과 226
2) 가설 4~가설 6-2의 검증 결과 227
3) 가설 7-1~8-2의 검증 결과 227
5. 결론 및 논의 228

9장 AI 헬스 윤리 리터러시(AI Health Ethics Literacy):
통합적 척도 개발의 학술적 기반을 위한 문헌 고찰 230
1. 서론 230
2. AI 기반 디지털 의료기술: 혁신과 윤리적 과제 232
3. AI 헬스 윤리 리터러시 척도 개발의 필요성 233
4. AI 윤리와 디지털 윤리: 헬스 중심적 접근의 필요성 235
5. 디지털 헬스 리터러시의 한계와 AI 헬스 윤리 리터러시로의 확장 236
6. AI 헬스 윤리 리터러시: 개념과 구성요인 238
7. 결론 240

10장 AI 헬스 윤리 리터러시(AI Health Ethics Literacy) 척도
개발을 위한 델파이 조사 연구 242
1. 서론 242
2. 연구 설계 244
2.1 문헌검토를 통한 예비 문항 구성 244
2.2 델파이 조사 설계 245
2.3 델파이 조사 참여자와 절차 245
3. 델파이 조사 결과 246
3.1 1차 델파이 조사 결과 246
3.2 2차 델파이 조사 결과 249
3.3 3차 델파이 조사 결과 253
4.논의 및 결론 260

참고문헌 263
색인 264

저자소개

이일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연구교수. 연세대학교에서 학사와 석사학위를, 독일 뮌헨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고, 막스플랑크 혁신과 경쟁 연구소 연구원을 역임했다. 저서로는 『국제저작권과 통상문제』(공저), 『장애인의 권리에 관한 연구』(공저), 『Copyright Throughout the World』(공저)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국제기후변화법제』(공역)가 있다. 주요 논문으로 「생성형 인공지능 시대, 저작권의 패러다임은 바뀌어야 하나?」, 「우리 저작권법상 공정이용의 운영 현황과 과제」, 「파리기후협정 전후 시장 메커니즘의 발전과 전망」이 있다.
펼치기
김수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 · 미디어연구소 연구교수. 이화여자대학교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언론학 석사, 언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소더비즈, 미국육류수출협회에서 근무했고 ㈜레인보우커뮤니케이션 수석연구원을 지냈다. 주요 논문으로 “Building a Strategic Public Typology based on Health Social Capital for Effective Risk and Crisis Communication in South Korea”, “Evaluating a shared decision-making intervention regarding dialysis modality: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selfassessment items for patients with chronic kidney disease” 등이 있다. 저서로는 『PR커뮤니케이션과 명성: 학제 간 이론과 전략』(공저), 『디지털 PR 이론과 실제』(공저)가 있다.
펼치기
엄주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건국대학교 공법학 교수. 연세대학교에서 헌법 전공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헌법학회 부회장, 미래의료인문사회과학회 부회장 및 편집위원장, 한국의료법학회 학술이사, 한국공법학회 상임이사 등을 맡고 있다. 한국헌법학회 산하 < 헌법과 융합법 연구회> 를 창설하고 연구회를 이끌면서, 헌법학에 인문 사회과학적 개념과 방법론을 도입하여 헌법학의 외연을 확장하고 융합 법학의 영역을 개척하고 있다. 저서로 『헌법과 생명』, 『뇌 신경법학』(2024 세종도서 학술부문 선정) 등이 있다.
펼치기
남성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학교 · 아주대학교 강사. 동국대 대학원에서 철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옮긴 책으로 『탈형이상학적 사고 1』, 『탈형이상학적 사고 2』(공역)가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 「하버마스의 절차주의적 법에서 본 사법부의 존립근거」, 「하버머스의 민주주의적 법치국가론에서 절차적 정당성 개념 연구」 등이 있다.
펼치기
박성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 법학석사, 서울대 정책학 박사를 취득했다. 지방회계통계센터 제도연구팀 팀장으로 근무했고, 서울대, 이화여대, 건국대에서 자문위원, 연구원을 지내면서 경제 정책과 사회과학적 연구와 관련하여 자문·컨설팅을 수행하였다. 스마트치료의 법 · 사회 · 윤리 프로젝트를 자문하여 공동 논문을 발간하였고, 저서로 『스마트 치료의 공법학』(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양재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호주 로펌 Charitas Law 대표변호사. 호주 퀸즈랜드 대학교 석사, Queensland University of Technology (QUT)에서 LLB를 마치고 비영리 부문 전문 로펌인 Prolegis의 파트너 변호사로 활동했고, 2020~2025년 연속으로 에서 호주 비영리 부문에서 최고의 법률전문가로 선정된 바 있다. 호주 자선단체, 비영리기관 및 정부기관들이 주도하는 치료의 법 · 사회 · 윤리 프로젝트를 자문하면서 공동 논문을 발간하였다.
펼치기
이하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연령통합고령사회연구소 연구교수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에서 언론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디지털 미디어와 헬스커뮤니케이션을 기반으로, 모바일 기기를 활용한 기분 관리, 디지털 웰빙, 인공지능 리터러시의 윤리적 함의 등을 주제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디지털 헬스케어를 위한 AI 윤리 리터러시 척도 개발 연구」, 「AI 추천 시스템과 감정 조절의 자기결정성 간 관계 탐색」 등이 있다.
펼치기
이한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책임연구원. 고려대학교에서 헌법학으로 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했고, 현재 (사)한국의료법학연구소에 재직하고 있다. 주요 관심 분야는 원격의료 등 보건의료 문제에 대한 기본권 보장이다. 저서로 『스마트 치료의 공법학』(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정수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에서 법학을 전공하고 독일 베를린 훔볼트대학교에서 공법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주요 논문으로 「헌법적 관점에서 본 고령화와 세대 간 정의: 우리나라와 독일의 공적 연금 비교를 중심으로」, 「사회 연대의식에 대한 소고 ― 독일 헌법학계 논의를 중심으로」 등이 있다.
펼치기
정영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가톨릭대 · 광운대 · 서울시립대 · 연세대 강사. 연세대 대학원에서 법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주요 논문으로 「정치발전과 헌법재판소의 역할」, 「지역구 국회의원의 선출과정과 역할에 관한 연구」 등이 있다. 2024년에 연세법학학술상을 수상하였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