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91130440958
· 쪽수 : 278쪽
· 출판일 : 2016-02-15
책 소개
목차
이 책의 구성에 대하여
01 디지털 생태계의 변화와 한국 방송 저널리즘
기자는 ‘기레기’인가
방송 뉴스 생태계의 변화
방송 저널리즘의 변화
방송 저널리즘, 무엇을 고민해야 하는가
02 방송 저널리즘을 둘러싼 산업 지형의 변화
콘텐츠 시장의 변화와 현실
콘텐츠 시장 내 경쟁
플랫폼 진영 내 지위 변화
03 방송 저널리즘을 향한 방송 뉴스의 규범적 희망
경쟁적 미디어 생태계 속 방송 뉴스의 위기
낡은 방송 뉴스 규범으로서 객관주의 저널리즘
객관성의 대안으로서 공정성 그리고 그 현실적 한계
방송 저널리즘을 위한 규범적 대안으로서 공정한 공론장
공정한 공론장 규범을 위한 작은 기획들
공정한 공론장 규범을 위한 과제: 지배 구조 개선 혹은 혁신
04 미국의 TV 뉴스 저널리즘: 지속 혁신과 파괴 혁신
미국의 TV 뉴스 시장 현황
뉴스 방송 혁신
지속 혁신 사례
파괴 혁신 사례
성공 전략으로서의 방송 뉴스 혁신
05 디지털 시대 한국 방송 저널리즘의 혁신과 대안
한국 방송 뉴스 환경의 변화
뉴스 콘텐츠 생산 과정의 변화와 혁신
뉴스 콘텐츠 유통 과정의 변화와 혁신
뉴스 콘텐츠 경영 혁신
매체 지형 변화와 한국 방송 저널리즘의 과제
06 방송 저널리즘의 복원을 위한 공동체 전략
방송 매체의 영향과 진화
뉴스 인프라 확충
뉴스 생산자 교육
뉴스 리터러시
저자소개
책속에서
최근 방송기자연합회는 한국 방송 저널리즘의 대표적 문제점으로 다음과 같은 일곱 가지를 지적했다. 곧 사실관계 확인 부족, 정치적 편향, 광고주 편향, 출입처 동화, 자사이기주의, 시청률 집착, 관습적 기사 작성 등이 그것이다. 방송 기자들은 사실관계를 제대로 확인하지 않고 출입처에서 만들어 준 내용을 기사화하는 데 급급하고, 이런 방식의 기사 쓰기가 관습화되어 있다는 것이다. 또한 방송기자들은 정치적으로 편향되어 있고, 광고주의 눈치를 보며, 시청자나 국민이 아니라 자사의 이익을 우선시한다는 것이다. 방송기자들은 이런 평가가 지나치게 가혹하고 다른 매체의 경우는 더욱 심하다고 항변할 수도 있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방송기자 스스로와 시청자들의 평가는 대부분 일치하고 있다.
-‘01 디지털 생태계의 변화와 한국 방송 저널리즘’’ 중에서
적어도 먹고 사는 문제에 대한 고민을 같이하고, 그 고민의 연장선에서 순결한 가치를 지속할 수 있도록 배려하고 이해해야 한다. 이런 맥락에서 보면 현재 시장은 방송 저널리즘이 지속성을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 점점 다가오고 있는 중이다. 2014년 자료를 보면 종합편성채널의 광고 매출은 31.5% 증가했다. 케이블채널은 31.5%가 증가했다. 광고 시장의 파이는 기본적으로 일정하다는 점을 이해한다면, 종합편성채널과 케이블채널사업자의 광고 증가는 필연적으로 지상파방송사업자의 수익 감소를 의미한다. 2014 방송사업자 재산 상황에 따르면, 전체 광고 시장에서 지상파의 비중은 급격하게 감소한 반면 종합편성채널 등을 포함한 PP의 비중은 증가하고 있다.
-‘02 방송 저널리즘을 둘러싼 산업 지형의 변화’ 중에서
객관주의 산실이라고 할 수 있는 미국에서 객관주의 저널리즘 관행은 애국주의와 민족주의에 근간을 둔 이념적 편파성의 문제로 부각되었다. 가뜩이나 좌우의 진영 간 편파성 시비로부터 자유로운 적이 없었던 미국 방송 뉴스에서 ‘9·11테러’와 ‘이라크전쟁’ 보도는 국가 안보와 국익에 대한 언론의 역할과 책임에 대한 이견과 논란으로 이어져 극심한 편파 보도 시비를 촉발시키는 계기가 되었으며, 이와 같은 ‘애국주의에 편승한 편파 보도’는 미국 방송 뉴스의 저널리즘의 근본 가치를 훼손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대테러·전쟁 보도에서 보수를 자임하는 미국의 ≪폭스뉴스≫는 지극히 미국 중심적인 세계관과 보수적인 정치관에 입각한 보도를 일삼았고, 이러한 보도는 대테러와 전쟁이라는 국가적 위기 국면과 맥락에서 많은 시청자들의 관심을 끄는 데 성공적이었다. 보수성을 표방해 온 ≪폭스 뉴스≫의 이 같은 일탈적 보도 태도는 그러나 저널리즘의 본질과는 부합하지 않으며, 오히려 저널리즘의 수단화 내지는 도구화라는 근본적인 문제의식을 불러일으켰다.
-‘03 방송 저널리즘을 향한 방송 뉴스의 규범적 희망을 찾아서’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