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영상 미디어 교육의 이해

영상 미디어 교육의 이해

김영순, 강진숙, 김광희, 김덕원, 김동윤, 김정은, 김진영, 배현주, 이제영, 이태희, 정회경, 최경진 (지은이)
커뮤니케이션북스
32,8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2,800원 -0% 0원
980원
31,82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0,000원 -10% 1000원 17,000원 >

책 이미지

영상 미디어 교육의 이해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영상 미디어 교육의 이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91130400365
· 쪽수 : 424쪽
· 출판일 : 2013-11-12

책 소개

미디어 교육은 역할은 무엇인가? 미디어 리터러시를 개발해 이용자가 사회 현실을 주체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돕는다. 미디어 능력은 미디어 리터러시와 어떤 차이가 있나? 비판적 보기에 그치지 않고 미디어를 능동적으로 활용하고 제작하는 능력을 포함한다.

목차

발간사
서문


1부 영상 미디어 교육의 이해

01 미디어 능력과 영상 미디어 교육 강진숙

02 자기 소통 능력과 자아 커뮤니케이션 교육 김광희

03 영상 미디어 교육으로서의 미디어 비평 최경진

04 영상 미디어 리터러시와 민주주의 김동윤

05 영상 미디어, 표현의 자유와 법적 쟁점들 이태희

2부 영상 미디어 교육의 실제

06 다문화 사회를 위한 미디어 다양성 교육 김영순

07 다문화 영상 미디어 교육 사례와 발전 방향 정회경

08 미디어 중독과 미디어 교육 김덕원

09 영상 미디어 교육과 광고 활용 이제영

10 텔레비전 드라마 수용자의 문화적 실천 김정은

11 문화 프로슈머로서의 팬덤과 미디어 배현주

12 영상 미디어 교육을 위한 미디어센터 운영과 과제 김진영

저자소개

김영순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독일 베를린자유대학교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인하대학교 사범대학 사회교육과 교수다. 현재 동 대학원 다문화교육학과 학과장, 인하대 다문화융합연구소 소장, BK21 FOUR 글로컬다문화교육연 구단장이다. 주요 저서로는 『다문화 사회와 공존의 인문학』, 『다문화교육의 이론과 이론가들』, 『다문화교육과 협동학습 경험』, 『이주여성의 상호문화 소통과 정체성 협상』, 『공유된 미래 만들기』 등 다문화 사회 관련 연구 50여 권, 『질적 연구 여행』, 『질적 연구의 즐거움』, 『베트남 문화의 오디세이』 등 질적 연구 이론과 실제를 다룬 20여 권이 있다.
펼치기
정회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미디어대학원대학교(SMIT) 교수다. ≪중앙일보≫ 기자와 영국 런던대학교 골드스미스칼리지 방문연구원을 거쳐 한서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를 역임했다.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회장을 했고, 현재 새공공영상문화유산정책포럼 이사, 대한민국열린정부위원회 국민참여분과위원장, 한국HCI학회 부회장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바일과 여성 』(2015),『PAIRS 문제를 해결하는 융합리서치』(2015), 『뉴미디어 뉴커뮤니케이션 』(2014), 『영상미디어교육의 이해 』(2013), 『미디어 경영 경제 』(2013) 등이 있다. 최근에는 공공 영상 아카이브 연구에 집중해 “미디어 공공성 구현을 위한 방송영상아카이브 플랫폼 효과 연구: 매클루언의 미디어 테트라드 이론을 기반으로”(2024), “국내 공공 방송·영상 아카이브 설립을 위한 이용자 수요 분석”(2022), “국내 공공 방송·영상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해외 사례 분석”(2019) 등을 발표했다.
펼치기
이제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가톨릭관동대학교 사회과학대학장 및 광고홍보학과 교수 서울 배재고등학교 졸업 한국외국어대학교 문학사 한국외국어대학교 정치학 석·박사 2022년 現) 한국광고학회 이사 한국광고홍보학회 이사 한국광고PR실학회 감사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편집위원 한국콘텐츠학회 편집위원 및 이사 前) 강원언론학회 회장 한국광고PR실학회 부회장 ▣ 저서 및 논문 『방송규제정책론』, 『중국의 광고산업』, 『매스미디어와 미신』, 『신문산업진흥론』, 『미디어와 주관성』, 『커뮤니케이션과 미디어』, 『유형화와 광고홍보학』, 『커뮤니케이션의 비언어화 패러다임 변화』 등 다수.
펼치기
김동윤 (옮긴이)    정보 더보기
대구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다. 경남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에서 언론학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언론학회 연구이사 및 지역이사, 한국방송학회 미디어교육 및 산학협력위원, KBS 뉴스옴부즈맨 위원(2, 3기) 등을 역임했다. 교육자로서의 역할과 책임에 대한 성찰과 함께 소셜 미디어와 디지털 기반 저널리즘 및 커뮤니케이션 현상을 정치커뮤니케이션 차원에서 탐구하는 문제에 주된 연구 관심을 가지고 있다. 저서로 「사회자본」(공역, 2008), 「뉴스 수용자의 진화」(공저, 2010), 「첫눈에 반한 커뮤니케이션 이론」(공역, 2012), 「한국의 인터넷뉴스」(공저, 2013), 「영상 미디어 교육의 이해」(공저, 2013) 등이 있다. 논문은 “정보테크놀로지, 전자감시, 그리고 프라이버시 위기”(2006), “가상공간에서의 정치토론과 시민적 태도” (2007), “가상공간 내 정치토론, 의견의 질, 그리고 시민참여”(2007), “정권시기별 ‘북핵 실험 및 미사일 발사’ 관련 보도양상과 프레임”(2015), “온라인 커뮤니티는 토론난제에서도 대안적인가?”(2015), “관여도에 따른 트위터 이용자의 읽기와 쓰기 행위가 정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2015), “소셜 미디어에서 온라인 의견지도자와 의견표명”(2015)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이태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재)TEIN협력센터 사무총장이다. 노스캐롤라이나대학교에서 미국의 인터넷 규제에 관한 연구로 석사학위를 받았고, 중앙대학교 대학원(신문방송)에서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한국일보≫에서 17년간 사회부와 정치부에서 기자생활을 한 뒤 방송통신위원회 대변인을 지냈다. 언론법과 인터넷 정책 등이 주요 연구 분야이며 저널리즘과 언론의 미래 등에도 관심을 가지고 있다. 저서로는 『변화의 지향-사상의 자유시장과 인터넷의 미래』(2011, 학술원 선정 2011 우수학술도서), 『대통령과 아들』(1999, 공저)이 있다. 논문은 “Information Conduits or Content Developers? Determining Whether News Portals Should Enjoy Blanket Immunity From Defamation Suits, Communication Law & Policy (2007)가 있다.
펼치기
강진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앙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 학부 강진숙은 중앙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 이션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독일 라이프치히(Leipzig) 국립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고,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심의위원을 역임하였다. 저서는 《질적 연구방 법론》(2016), 《미디어와 공동체》(2018)(공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2018)(공저), 《뉴미디어 사상과 문화》(2019), 《미디어교육》(2021)(공저), 《예비교사 를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2023) (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김광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인하대학교 융합건강과학과 겸임교수이며, 힐링커뮤니케이션센터장이다. 자아커뮤니케이션교육, 리더십 관련 분야를 연구하고 가르친다. 이화여대에서 석사를 했고, 전남대에서 언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전남발전연구원 인적자원개발지원센터, 휴스턴대학을 거쳤고, 한국언론학회 미디어교육위원, 한국언론학회 광주전남 총무이사, 인천시 시설관리공단 인사위원 등을 역임했다. 저서로 『미디어교육과 교수법』(2006, 공저) 『미디어의 이해』(2007, 공저), 『문화의 맛과 멋을 만나다』(2008, 공저) 등이 있으며 국제학술지(SCI급)에 논문 “Reporting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Using Comparative Messages to Influence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s”(2012)을 게재하였으며, 미국 앨라배마대학교 교수 등과 함께 PR Leadership(2013)을 공동 집필했다. “미디어교육 교육과정 내용분석 연구” 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김진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유니스트 기초과정부 교수다.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상업교육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남미시시피 주립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울산 MBC 아나운서와 영산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등을 거쳤다. 매스커뮤니케이션과 인간커뮤니케이션이 주된 연구 분야이다. 저서로 『초등학교 신문활용교육의 실제』(2010, 공저)가 있으며 국제학술지(SCI급)에 논문 “A Study on Learners’ Perceptional Typology and Relationships among the Learners’ Type, Characteristics, and Academic Achievement in a Blended e-Education” (2012)과 “Effects of Personality Traits and Kolb Learning Styles on Learning Outcomes” (2013)를 게재하였으며 “언론인들의 과학보도 장벽유형에 관한 연구”등의 논문을 포함 다수의 국내학술 논문도 발표하였다.
펼치기
김덕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더원 문화경영발전소 대표다. 인하대학교에서 문화경영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디어교육, 문화교육, 비영리단체의 운영, 콘텐츠 및 프로그램 기획·개발, 사회적기업, 사회적기업가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 관심이 있다. 저술 작업으로는 “사회적기업가 양성을 위한 역량개발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박사논문), “종교단체에서의 미디어 교육”, “사회적기업가 아카데미 일반과정의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영상 미디어 교육의 이해』(공저, 2013) 등이 있다.
펼치기
김정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인하대학교에서 문화교육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연구원을 역임했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외래교수, 인하대학교 강사로 문화와 관련한 강의를 했으며, 공동저서로는 『영상 미디어 교육의 이해』, 『지역문화 콘텐츠 제작의 실제』, 『청소년을 위한 사회문화 핵심 키워드』 등이 있고, 단독 저서로는 『대중문화 읽기와 비평적 글쓰기』, 『대중문화 비평의 관점과 기술』 등이 있다.
펼치기
배현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인하대학교 글로컬다문화교육센터 전임연구원이다. 대중문화와 한류현상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팬과 팬덤에 대한 연구를 중점으로 하고 있다. 2013년 “성인 여성의 아이돌 그룹 팬경험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라는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펼치기
최경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구가톨릭대학교 언론광고학부 교수다. 독일 뮌스터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과를 졸업했으며 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대구경북언론학회장을 역임했고 현재 한국언론학회와 한국방송학회 이사로 있다. 방송위원회 제17대 대통령선거방송심의위원과 문화체육관광부 지역신문발전위 부위원장을 역임했다. 미디어 비평, 언론윤리, 저널리즘이 주된 연구 분야다. 저서로 Medien-Selbstberichterstattung als Medienjournalismus(1999), 『지역신문저널리즘의 미래』(2009), 『미디어비평과 한국 TV 저널리즘』(2003, 공저), 『미디어 공공성』(2009, 공저), 『한국사회와 미디어공공성』(2012, 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미디어 능력은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전제로 하며 서로 불가분의 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다. 미디어 능력 개념을 정의하기 위해 커뮤니케이션 능력 이론 및 사유와의 연관성을 끊임없이 강조하는 이유는 바아케의 미디어 능력 개념이 갖는 이론적 측면과 실증적인 한계에서 발견된다. 우선 이론적 측면에서 볼 때, 바아케의 미디어 능력 개념은 하버마스의 커뮤니케이션 능력 개념에 비해 이론적인 엄밀성이 떨어진다는 점이다. 때문에 바아케의 ‘미디어 능력’ 보다는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더 중시하는 입장(Hoffmann, 2003)과 미디어 능력을 성인 교육에 핵심적으로 요구되는 광범위한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행위능력’으로 확장해서 보는 입장(Stang, 1996) 등이 있다.
_<1장 미디어 능력과 영상 미디어 교육> 중에서


미디어 비평은 미디어의 성찰적 자아를 위한 자기반성의 행위이다. 이러한 행위는 기본적으로 미디어의 선명성을 드러내기 위해 자기 스스로에 대한 반성적 행위이자 자기 자신에 대한 자기검증적 행위인 것이다. 그런데 미디어 비평은 비평 그 자체만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비평을 통한 교정의 의미까지 내포하고 있다. 즉, 비평을 통한 자가 수정의 의미를 담고 있는 것이다. 비평은 이러한 의미에서 발전 지향적이며 궁극적으로 교육적인 기능을 띠고 있는 것이다. 비평은 이슈와 사안에 대한 냉철한 시각과 분석능력을 요구하며 이를 위해 필요한 경우 비평을 위하여 요구되는 특정한 교육을 통해 비평을 할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해 비평가로서 갖추어야 할 고도의 전문적 식견을 갖는다.
_<3장 영상 미디어 교육으로서의 미디어 비평> 중에서


영상을 정치적으로 활용한 예가 비단 과거의 일만은 아니다. 과거에 비해 용처의 합리성과 소구 방식에 민주성이 높아진 것은 사실이지만, 실제를 사실보다 과장하거나 축소함으로써 어떤 대상에 대한 특정한 심상을 형성하는 데 사용하거나 특정한 의도와 목적을 관철시키기 위한 과정으로 활용한 사례는 부지기수이다. 이러한 현상은 민주주의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선거 캠페인에서부터 대중문화 형성 과정, 나아가 제품 광고와 기업의 홍보에 이르기는 삶의 모든 과정에 깊이 개입한다. 예컨대, TV에 등장하는 정치인과 아이돌 스타들은 자신들의 실제 삶을 보여주기보다는 가공된 실재를 대단히 노련한 방식으로 보여줌으로써 대중으로부터 전폭적인 지지와 사랑을 받으며, 그 결과로 실제와는 다른 이미지를 재현한다.
_<4장 영상 미디어 리터러시와 민주주의>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28878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