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91130400365
· 쪽수 : 424쪽
· 출판일 : 2013-11-12
책 소개
목차
발간사
서문
1부 영상 미디어 교육의 이해
01 미디어 능력과 영상 미디어 교육 강진숙
02 자기 소통 능력과 자아 커뮤니케이션 교육 김광희
03 영상 미디어 교육으로서의 미디어 비평 최경진
04 영상 미디어 리터러시와 민주주의 김동윤
05 영상 미디어, 표현의 자유와 법적 쟁점들 이태희
2부 영상 미디어 교육의 실제
06 다문화 사회를 위한 미디어 다양성 교육 김영순
07 다문화 영상 미디어 교육 사례와 발전 방향 정회경
08 미디어 중독과 미디어 교육 김덕원
09 영상 미디어 교육과 광고 활용 이제영
10 텔레비전 드라마 수용자의 문화적 실천 김정은
11 문화 프로슈머로서의 팬덤과 미디어 배현주
12 영상 미디어 교육을 위한 미디어센터 운영과 과제 김진영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미디어 능력은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전제로 하며 서로 불가분의 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다. 미디어 능력 개념을 정의하기 위해 커뮤니케이션 능력 이론 및 사유와의 연관성을 끊임없이 강조하는 이유는 바아케의 미디어 능력 개념이 갖는 이론적 측면과 실증적인 한계에서 발견된다. 우선 이론적 측면에서 볼 때, 바아케의 미디어 능력 개념은 하버마스의 커뮤니케이션 능력 개념에 비해 이론적인 엄밀성이 떨어진다는 점이다. 때문에 바아케의 ‘미디어 능력’ 보다는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더 중시하는 입장(Hoffmann, 2003)과 미디어 능력을 성인 교육에 핵심적으로 요구되는 광범위한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행위능력’으로 확장해서 보는 입장(Stang, 1996) 등이 있다.
_<1장 미디어 능력과 영상 미디어 교육> 중에서
미디어 비평은 미디어의 성찰적 자아를 위한 자기반성의 행위이다. 이러한 행위는 기본적으로 미디어의 선명성을 드러내기 위해 자기 스스로에 대한 반성적 행위이자 자기 자신에 대한 자기검증적 행위인 것이다. 그런데 미디어 비평은 비평 그 자체만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비평을 통한 교정의 의미까지 내포하고 있다. 즉, 비평을 통한 자가 수정의 의미를 담고 있는 것이다. 비평은 이러한 의미에서 발전 지향적이며 궁극적으로 교육적인 기능을 띠고 있는 것이다. 비평은 이슈와 사안에 대한 냉철한 시각과 분석능력을 요구하며 이를 위해 필요한 경우 비평을 위하여 요구되는 특정한 교육을 통해 비평을 할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해 비평가로서 갖추어야 할 고도의 전문적 식견을 갖는다.
_<3장 영상 미디어 교육으로서의 미디어 비평> 중에서
영상을 정치적으로 활용한 예가 비단 과거의 일만은 아니다. 과거에 비해 용처의 합리성과 소구 방식에 민주성이 높아진 것은 사실이지만, 실제를 사실보다 과장하거나 축소함으로써 어떤 대상에 대한 특정한 심상을 형성하는 데 사용하거나 특정한 의도와 목적을 관철시키기 위한 과정으로 활용한 사례는 부지기수이다. 이러한 현상은 민주주의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선거 캠페인에서부터 대중문화 형성 과정, 나아가 제품 광고와 기업의 홍보에 이르기는 삶의 모든 과정에 깊이 개입한다. 예컨대, TV에 등장하는 정치인과 아이돌 스타들은 자신들의 실제 삶을 보여주기보다는 가공된 실재를 대단히 노련한 방식으로 보여줌으로써 대중으로부터 전폭적인 지지와 사랑을 받으며, 그 결과로 실제와는 다른 이미지를 재현한다.
_<4장 영상 미디어 리터러시와 민주주의>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