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김숭겸 시선

김숭겸 시선

김숭겸 (지은이), 전송열 (옮긴이)
지식을만드는지식
17,8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910원 -5% 0원
890원
16,02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1,600원 -10% 580원 9,860원 >

책 이미지

김숭겸 시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김숭겸 시선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우리나라 옛글 > 시가
· ISBN : 9791130467436
· 쪽수 : 150쪽
· 출판일 : 2015-09-15

책 소개

지식을만드는지식 시선집. 19세에 요절한 17세기의 천재 시인 김숭겸. 십 대에 쓴 시 300여 수로 한국문집총간에 들었으니 유례없는 일이다. 오로지 산과 강을 노래한 그의 시는 속기라고는 조금도 없는 맑고 투명한 색채를 띠고 있다. 옥병의 얼음 같은 전원시 82수를 가려 뽑았다.

목차

친구를 그리며
아버님을 모시고 영평으로 가며 말 위에서 짓다
난가대에 올라 즉흥시를 짓다
봄날 백운산의 오두막집을 그리워하며
늦봄 보름 뒤에 아버님을 모시고 영평으로 가는데, 때마침 온갖 꽃들이 온 산에 가득하고 봄기운이 화창하기에 꽃 핀 고갯길로 가는 도중에 시를 짓다
보개산 봉은암에서
배를 타고 가면서
우연히 읊다
배를 띄우고서
석실서원에서 숙부 삼연 선생의 시를 받들어 차운하다
12월 18일 밤, 큰 눈이 내렸다가 막 개었다. 안개는 구산(龜山)을 반쯤 가렸고 지는 달은 서쪽 행랑에 걸렸다. 동지 10여 명과 함께 일어나 경치를 구경하다가 숙부 삼연 선생의 시에 공경히 차운한다
달빛 환한 밤에
서울로 가는 한익주를 보내며
회릉으로 가는 길에
삼각산에서 놀다가 저물녘 문수암에 이르러서
도봉산으로 들어가며
벽에 걸린 우재 선생의 시에 공경히 차운해 짓다
흥겨워서
가을 산
산을 나오며
밭갈이하는 것을 보며
들판에서
어스름 저녁에
석양
맑은 저녁 기운 속에
회릉(懷陵)으로 가는 길에
강화도에서
그냥 시를 읊조리며
도봉산에 들어가니 새벽 눈이 살짝 내리고
삼연 숙부님 시의 운을 따라 공경히 차운하다
눈발을 헤치고 도성으로 들어가며
눈 내리고 달빛 밝은데
봄 맞은 시냇가에서
원화벽(元化壁)에 들어가
밤에 기우제 단에 앉아서
가을은 다 가는데
동암(東菴)에서
천주사(天柱寺)에서 밤에 시를 읊다
조계사(曹溪寺)에서
밤에 돌로 쌓은 집에서 자는데, 샘물 소리가 찰찰찰 그치질 않아 마치 깊은 골짝 초막에 있는 것과 같아서
홀로 서서
빈 골짜기에서
숲 속 집에 새벽 눈이 내려서
깊은 숲 속에서
시골 마을
흥이 나서
소나무 뿌리에 작약꽃 몇 떨기가 막 피어났는데, 아주 고와서 사기병 속에 꽂아 놓고 저녁 내내 마주 보고 있으려니 사람의 마음을 매우 한가롭고 원대케 하기에 간단한 시로써 적어 본다
스님을 만나서
뜨락을 거닐며
이씨의 산속 정자를 찾아가서
14일 밤 여러 사람들은 다 깊은 잠에 빠졌는데, 소나무 아래 홀로 앉아 달을 바라보며 짓다
시냇가에서
우연히 읊다
백온이 찾아왔기에 취중에 써서 보여 주다
어스름 저녁에
저녁 경치를 보며 당나라 시인의 시에 차운하다
7일에
병중에 백온을 만나서
시를 짓다
배를 띄우고
시끄러워서
쌍곡 마을에서 자며
백련암에서
영령정에서
텅 빈 산에서
초5일 저녁 종형 태충 씨를 맞이해 함께 삼주(三洲)의 초가에서 묵었다. 때는 초승달이 벼랑에 떠 있고 국화 또한 어여뻐서 사랑할 만했다. 태충 씨는 예전에 살던 벽계(蘗溪)가 생각난다고 해서 날이 밝자 떠나 버리는 바람에 중양일(重陽日)에 술을 마시며 함께할 이가 없었다. 이에 느낌이 없을 수가 없어서 시를 지어 보인다
봉수령을 넘으며
절에서 자며
덕여 임홍재에게 시를 지어 보이다
조계사에서
청 장로(淸長老)에게 주다
서쪽 시냇가에서 숙장을 그리며
백온과 헤어지면서
중양절 이틀 전에 재대에게 시를 부치며
친구를 보내고서 짓다
백온을 보내고 산을 나서며
이씨 집에서 가무를 구경하면서
귀가하기 전 하룻밤을 여러 벗들과 함께 술을 마시고 이야기하다가 이별했다. 이에 오언 고시 두 수를 지어 백온 이위에게 주며
절에서 여러 벗들이 배를 타고 서울로 향하는 것을 보내며
일찍이 강화도를 출발했다가 월곶에 이르러 배를 타고서
후릉(厚陵) 재사(齋舍)에서 침랑(寢郞) 김기하(金器夏)에게 주다
뜨락의 느티나무

해설
지은이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

저자소개

김숭겸 (지은이)    정보 더보기
1682년(숙종 8) 10월 30일에 태어났다. 본관은 조선 후기의 명문 가운데 하나인 안동(安東)이고 자(字)는 군산(君山)이며, 호는 관복암(觀復菴)이다. 병자호란 때 높은 절의로 유명했던 청음(淸陰) 김상헌(金尙憲)의 후손으로, 조부는 문곡(文谷) 김수항(金壽恒)이고, 아버지는 농암(農巖) 김창협(金昌協), 어머니는 부제학 이단상(李端相)의 딸 연안 이씨다. 어려서부터 부친 김창협과 숙부 삼연(三淵) 김창흡(金昌翕)에게 여러 영향을 받으면서 자랐으나 1689년(숙종 15) 기사환국(己巳換局)으로 노론인 조부 김수항이 사사된 후 집안이 당화를 입자, 벼슬에 뜻을 두지 않고 영평(永平)의 백운산(白雲山)·봉은암(奉恩庵) 등에서 학문에 전심했다. 1700년(숙종 26) 10월 20일 병으로 인해 19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유고로 ≪관복암 시고(觀復菴詩稿)≫가 있다.
펼치기
전송열 (엮은이)    정보 더보기
오래전 대학원에서 송준호 선생님으로부터 처음으로 한국한시 강의를 듣다가 그 재미에 푹 빠진 이후로 지금까지 한시와 옛글에 대해 다양한 글을 쓰고 또 번역도 해왔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단순한 지식의 축적이나 확장을 넘어 ‘진짜 공부’를 해보고자 하는 열망을 갖고 있다. 그것은 일찍이 공자가 “배운 것을 부단히 몸으로 익힌다면, 이 또한 기쁨이 아니겠느냐?”(學而時習之 不亦說乎)라고 말했던 것처럼 ‘학’(學)이 왜 ‘고’(苦)나 ‘공구’(工具)가 아니며, 또 단순한 ‘낙’(樂, 해피니스)이 아니라 저 가슴 깊은 곳에서 흘러넘치는 ‘열’(說, 조이)이 되어야 하는지를 진실로 한번 체득해 보고자 하는 그런 열망의 공부다. 모든 지식의 생명은 그것을 삶으로 재해석해내는 능력에 달렸다고 믿으며, 지식이 지식으로만 끝나는 것이 아니라 그 지식을 통해 생명을 이끌어내고자 늘 고민하는 사람이다. 오랫동안 연세대에서 강의를 해 왔으며 현재 중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조선 전기 한시사 연구』, 『옛사람들의 눈물』, 『옛 편지 낱말 사전』(공저)이 있으며, 번역서로는『역주 방시한집』, 『사친』, 『경산일록(1-6)』(공역), 『김숭겸 시선』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영령정에서

그윽한 흥취에 매양 홀로 가나니
쭉 솟은 소나무에 시냇가 정자라
얇은 서리 저 멀리 하얗게 흐르고
석양빛에 뭇 산들은 더욱 푸르러
저 세상이 다시 나를 잡지 못할 터
때때로 못에 비친 별 바라다본다
텅 빈 산엔 풍경 소리 울리는데
긴긴 밤 절로 맑은 바람 소리뿐이라

泠泠亭

幽興每獨往。高松溪上亭。
微霜遠流白。返照亂峰靑。
無復俗拘我。時看潭映星。
空山有風珮。永夜自泠泠。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304674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