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직업교육/사회교육
· ISBN : 9791130471020
· 쪽수 : 402쪽
· 출판일 : 2014-11-20
책 소개
목차
역자 해설
저자 서문
01 팀과 일의 변천
02 방송 제작 팀의 방해 관리와 숨기기
03 적과의 팀워크: 법정에서의 조정, 협동, 그리고 소통
04 의료 지원 팀의 대체와 혁신
05 교사 팀에서의 경계 넘나들기
06 제조업 작업 팀에서의 지식 창조
07 팀, 인프라, 그리고 사회자본
08 ‘쇠 우리’에서 바람을 타는 ‘그물망’으로
09 조직에서 유동적 놋워킹과 행위 주체
참고 문헌
찾아보기
책속에서
나는 보편적으로 ‘바람직한 팀’을 정의하기보다는 조직과 문화적 맥락에서 업무 팀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를 추적하고 분석했다. 그리고 그 변화에 대해 내가 이해한 바를 정리했다. 이 책의 뒤로 갈수록 팀(team)의 개념은 점점 배후로 사라지고 놋워킹(knotworking)이라는 새로운 개념이 대두한다.
놋 개념은 평상시 같으면 느슨하게만 연결되었을 행위자들 또는 활동 체계들 간에 일어나는 협력적 업무 수행의 조직화된 형태를 의미한다. 그것은 생동감 넘치고, 널리 번지며, 즉흥적으로 이루어지기도 한다. 놋워킹의 특징은 서로 분리되어 있는 것처럼 보이는 활동의 끈들을 서로 묶고 풀고 다시 묶기를 반복하는 행동으로 표현할 수 있다.
활동이론에서 모순은 변화와 발전의 원천으로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모순은 문제나 갈등과는 다르다. 모순은 활동 체계의 내부와 활동 체계들 간에 시간의 흐름에 따라 축적되고 있는 구조적 갈등이다. 활동 체계는 각 요소들 내, 또는 요소들 간의 갈등과 모순들을 지속적으로 해결해 나간다. 모순은 방해와 혁신적 해결책을 통해 극명해진다. 이런 의미에서 활동 체계는 사실상 방해나 혁신을 생산하는 기계와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