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팀의 해체와 놋워킹

팀의 해체와 놋워킹 (큰글씨책)

(활동이론으로 보는 일터의 협력과 학습)

위리외 엥게스트룀 (지은이), 장원섭, 구유정 (옮긴이)
학이시습
3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5,000원 -0% 0원
1,050원
33,950원 >
35,000원 -0% 0원
0원
35,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개 35,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팀의 해체와 놋워킹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팀의 해체와 놋워킹 (큰글씨책) (활동이론으로 보는 일터의 협력과 학습)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직업교육/사회교육
· ISBN : 9791130471020
· 쪽수 : 402쪽
· 출판일 : 2014-11-20

책 소개

‘팀’은 일과 학습을 구조화하는 효율적이고 인간적인 방식으로 인정받아 왔다. 그러나 이 책은 미국과 핀란드에서 10년에 걸쳐 수행한 TV 방송 제작 팀 외의 사례 연구를 통해 팀이 역사적이고 보편타당한 협력 방식이 아님을 드러낸다.

목차

역자 해설
저자 서문

01 팀과 일의 변천
02 방송 제작 팀의 방해 관리와 숨기기
03 적과의 팀워크: 법정에서의 조정, 협동, 그리고 소통
04 의료 지원 팀의 대체와 혁신
05 교사 팀에서의 경계 넘나들기
06 제조업 작업 팀에서의 지식 창조
07 팀, 인프라, 그리고 사회자본
08 ‘쇠 우리’에서 바람을 타는 ‘그물망’으로
09 조직에서 유동적 놋워킹과 행위 주체

참고 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위리외 엥게스트룀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핀란드 헬싱키대학교 성인교육 분야 교수다. 헬싱키대학교에 있는 활동과 개발, 학습에 관한 연구센터(Center for Research on Activity, Development and Learning, CRADLE)를 운영한다.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샌디에이고 캠퍼스의 커뮤니케이션 분야 명예교수기도 하다. 확장학습 이론과 개발적 일 연구 방법론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1987년에 헬싱키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1990년부터 1995년까지 헬싱키대학교의 ‘비교인간인지연구소(Laboratory of Comparative Human Cognition, LCHC)’의 소장을 역임했다. 업무 활동과 조직 변화 및 학습 과정을 연구하는 틀로서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을 발전시켜 나가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Cognition and Communication at Work>(편저, 1996), <Perspectives on Activity Theory>(편저, 1999), <Between School and Work: New Perspectives on Transfer and Boundary Crossing>(편저, 2003), <Developmental Work Research: Expanding Activity Theory in Practice>(2005) 등이 있다.
펼치기
장원섭 (옮긴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교육학과 교수이며, 지적 장인으로서 일을 통한 배움과 성장에 관하여 연구하고 있다. 연세대학교 교육학과에서 학사를 마치고 동 대학원에서 교육학 석사, 미국 아이오와 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1997년부터 2001년까지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책임 연구원으로 일하고, 2001년부터 지금까지 연세대학교에서 교육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경력으로는 1999년부터 2000년까지 대통령 자문 새교육공동체위원회 전문위원, 2000년부터 2001년까지 위스콘신 대학교 방문 연구원, 2007년부터 2008년까지 일리노이 대학교에서 방문 교수를 역임했고, 2012년부터 2014년까지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소장을 역임했다. 2017년부터 지금까지 장인성연구네트워크(JRN) 이사장, 한국산업교육학회 회장을 맡고 있다. 주요 저서 및 역서로는 《한국 성인인력 개조론》(공저, 학지사, 1997), 《교육과 일의 사회학》(학지사, 1997), 《앤드라 고지: 현실과 가능성》(공저, 학지사, 1998), 《고학력 실업자 인력개발 정책》(공저, 교육과학사, 2000), 《인적자원 개발론》(역, 학지사, 2003), 《일의 교육학》(학지사, 2006), 《Theories, Policy, and Practice of Lifelong Learning in East Asia》(공저, ROUTLEDGE, 2010), 《팀의 해체와 놋워킹》(공역, 학이시습, 2014), 《일터학습: 함께 배우기》(편저, 교문사, 2015), 《인적자원개발(2판)》(학지사, 2015), 《장인의 탄생》(학지사, 2015), 《교육과 일》(공역, 박영스토리, 2017) 등이 있다.
펼치기
구유정 (옮긴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박사과정에 재학 중이다. 경희대학교 영어학과를 졸업하고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 영어교육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영어교육 분야에서 활동하다가 기업교육 프로그램과 기업 컨설팅을 전문으로 하는 엑스퍼트컨설팅에서 선임연구원으로 근무했다. 이를 계기로 연세대학교 대학원의 인적자원개발(HRD)/일의 교육학 전공으로 박사과정에 진학했다. HRD, 성인교육 분야를 폭넓게 공부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나는 보편적으로 ‘바람직한 팀’을 정의하기보다는 조직과 문화적 맥락에서 업무 팀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를 추적하고 분석했다. 그리고 그 변화에 대해 내가 이해한 바를 정리했다. 이 책의 뒤로 갈수록 팀(team)의 개념은 점점 배후로 사라지고 놋워킹(knotworking)이라는 새로운 개념이 대두한다.


놋 개념은 평상시 같으면 느슨하게만 연결되었을 행위자들 또는 활동 체계들 간에 일어나는 협력적 업무 수행의 조직화된 형태를 의미한다. 그것은 생동감 넘치고, 널리 번지며, 즉흥적으로 이루어지기도 한다. 놋워킹의 특징은 서로 분리되어 있는 것처럼 보이는 활동의 끈들을 서로 묶고 풀고 다시 묶기를 반복하는 행동으로 표현할 수 있다.


활동이론에서 모순은 변화와 발전의 원천으로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모순은 문제나 갈등과는 다르다. 모순은 활동 체계의 내부와 활동 체계들 간에 시간의 흐름에 따라 축적되고 있는 구조적 갈등이다. 활동 체계는 각 요소들 내, 또는 요소들 간의 갈등과 모순들을 지속적으로 해결해 나간다. 모순은 방해와 혁신적 해결책을 통해 극명해진다. 이런 의미에서 활동 체계는 사실상 방해나 혁신을 생산하는 기계와 같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