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장인의 교육

장인의 교육

(삶의 기술, 여섯 번째)

박복선, 장원섭, 강화경, 노아름, 유동렬, 박진숙, 황덕신, 박혜정, 김성원, 안성균, 박일환, 여희영, 조원배, 전유미, 최원형, 박지은, 홍서연 (지은이), 크리킨디센터 전환교육연구소 (기획)
교육공동체벗
1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장인의 교육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장인의 교육 (삶의 기술, 여섯 번째)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계간지/무크
· ISBN : 9788968801235
· 쪽수 : 168쪽
· 출판일 : 2019-09-23

책 소개

둘 중의 하나만 취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아마 대개는 극단의 사이 어딘가에 있을 것인데, 그곳이 어느 쪽에 가까이 있는지는 우리가 선택하고 만들어 가는 것이다. 물론 그 실천을 이끄는 것은 ‘일’에 대한 넓고 깊은 안목일 것이다.

목차

[목차]

04 여는 글
공정성이라는 늪 | 박복선

특집
장인의 교육

10 일과 배움의 전범으로서의 장인 | 장원섭
23 장인 교육은 가능한가 | 강화경, 노아름, 유동렬, 박진숙, 황덕신

삶의 기술

48 작은 빗자루 하나 | 박혜정
58 밧줄이 없었다면 문명은 가능했을까 | 김성원
65 언덕으로 올라가 거기 대장간을 지어라 | 안성균
77 내가 남긴 음식을 흙으로 돌려보내는 작은 생태계 - 서울 강동구 ‘퇴비 공원’ 스케치 | 이경은, 최승훈

기획
삶의 도구로서의 시

86 시의 힘과 쓸모 | 박일환
92 딱! 그 순간! | 에리카(여희영)
105 나의 시 나누기 | 조원배
120 누가 시를 읽는가 | 전유미

연재

130 최원형이 만난 사람② 김소영 성대골 마을닷살림협동조합 이사장 | 최원형
141 놀이를 파헤치고 해킹해 보는 놀이해부도감② 비눗방울 놀이 | 물고기(박지은)

특별 게재

160 즐거운 지식 - 삶의 기술로 무엇을 배울 것인가 | 홍서연

저자소개

장원섭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교육학과 교수이며, 지적 장인으로서 일을 통한 배움과 성장에 관하여 연구하고 있다. 연세대학교 교육학과에서 학사를 마치고 동 대학원에서 교육학 석사, 미국 아이오와 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1997년부터 2001년까지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책임 연구원으로 일하고, 2001년부터 지금까지 연세대학교에서 교육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경력으로는 1999년부터 2000년까지 대통령 자문 새교육공동체위원회 전문위원, 2000년부터 2001년까지 위스콘신 대학교 방문 연구원, 2007년부터 2008년까지 일리노이 대학교에서 방문 교수를 역임했고, 2012년부터 2014년까지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소장을 역임했다. 2017년부터 지금까지 장인성연구네트워크(JRN) 이사장, 한국산업교육학회 회장을 맡고 있다. 주요 저서 및 역서로는 《한국 성인인력 개조론》(공저, 학지사, 1997), 《교육과 일의 사회학》(학지사, 1997), 《앤드라 고지: 현실과 가능성》(공저, 학지사, 1998), 《고학력 실업자 인력개발 정책》(공저, 교육과학사, 2000), 《인적자원 개발론》(역, 학지사, 2003), 《일의 교육학》(학지사, 2006), 《Theories, Policy, and Practice of Lifelong Learning in East Asia》(공저, ROUTLEDGE, 2010), 《팀의 해체와 놋워킹》(공역, 학이시습, 2014), 《일터학습: 함께 배우기》(편저, 교문사, 2015), 《인적자원개발(2판)》(학지사, 2015), 《장인의 탄생》(학지사, 2015), 《교육과 일》(공역, 박영스토리, 2017) 등이 있다.
펼치기
박일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97년 『내일을 여는 작가』에 시 추천을 받아 등단. 시집 『등 뒤의 시간』, 『귀를 접다』, 청소년시집 『만렙을 찍을 때까지』를 비롯해 『청소년을 위한 시 쓰기 공부』, 『진달래꽃에 갇힌 김소월 구하기』와 『국어사전에서 캐낸 술 이야기』, 『맹랑한 국어사전 탐방기』, 『문학 시간에 영화 보기1.2』, 『문학과 영화로 만나는 아프가니스탄』, 『시를 즐기는 법』 등 여러 책을 썼다.
펼치기
최원형 (지은이)    정보 더보기
우연히 자작나무 한 그루에 반해 따라 들어간 여름 숲에서 아름답게 노래하는 큰유리새를 만난 적이 있습니다. 자기 목소리와 자리를 갖지 못한 존재들의 마음을 보듬을 수 있는 ‘우리’가 되길 바랍니다. 그리하여 뭇 생명과 조화로운 삶이 세대에 걸쳐 이어지길 기원합니다. 연세대학교에서 공부하고 잡지사 기자와 EBS, KBS 방송 작가로 일했습니다. 생태·에너지·기후 변화와 관련해 여러 매체에 글을 쓰고 강의를 하며 시민 교육에 힘쓰고 있습니다. 대통령 직속 국가기후환경회의 전문위원, 서울시 에너지정책위원회 교육·시민소통분과 위원을 역임했습니다. 지은 책으로는 《질문으로 시작하는 생태 감수성 수업》, 《사계절 기억책》, 《달력으로 배우는 지구환경 수업》, 《환경과 생태 쫌 아는 10대》, 《라면을 먹으면 숲이 사라져》, 《왜요, 기후가 어떤데요?》, 《착한 소비는 없다》 등이 있습니다.
펼치기
김성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하자센터, 크리킨디센터, 파주타이포그라피 학교에서 청소년들에게 생활기술을 가르치고 많은 기고를 했다. ‘예술과 기술을 놀이처럼’이란 모토로 ‘PlayAT 연구소’를 운영중이다. 예술적이고 실험적인 놀이터 디자인과 놀이터 전시에 참여했고, 이 과정의 경험을 살려 《마을이 함께 만드는 모험 놀이터》 책을 냈다. 놀이터에 대한 관심을 학교로 확장해 학교 운동장의 재구조화와 학교 공간 혁신에 관심을 갖고 오랜 동안 연구하며 관련 프로젝트에 참여했고, 학교 공간 기획자로 활동하며 많은 교육현장에서 교육 공간에 관한 강연과 워크숍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생태적 전환과 자급자족을 위한 다양한 삶의 기술인 적정기술, 텃밭, 공동체, 공예예술에 관심을 두고 지속해서 탐구하고 실험하고 있다. 삶을 경험을 꾸준히 책으로 저술해 지식과 정보를 다른 사람과 공유해왔다. 《마을이 함께 만드는 모험 놀이터》 《이웃과 함께 짓는 흙부대 집》 《시골, 돈보다 기술》 《근질거리는 나의 손》 《점화본능을 일깨우는 화덕의 귀환》 《화목난로의 시대》 등의 책을 썼고, 공저로 《똥의 인문학》, 《사물에 수작 부리기》, 《기계비평들》이 있다.
펼치기
김성원의 다른 책 >
박복선 (지은이)    정보 더보기
크리킨디센터 전환교육연구소 소장. 전교조 결성으로 해직되면서 선생을 하지 않아도 살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복직한 학교를 나온 것도 그 덕분입니다. 《우리교육》에서 편집장을 했고, 성미산학교에서 교장을 했고, 지금은 크리킨디센터 전환교육연구소 소장으로 있습니다. 경계를 넘나드는 재미로 살고 있습니다. 저서로 《가장 민주적인, 가장 교육적인》, 《불온한 교사 양성 과정》(공저) 등이 있습니다.
펼치기
박복선의 다른 책 >
박지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삶의 기술〉 기획위원. 제작, 놀이, 실험의 아지트이자 활동인 릴리쿰의 공동 대표입니다. 릴리쿰은 ‘만들기’를 새로운 삶의 방식으로 취하여 환경과 일상을 복원하려는 사람들이 모여 실험하고 교류하는 공간입니다. 이곳에서 시도와 실패, 연구와 공유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손의 모험》을 함께 썼습니다.
펼치기
여희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어느 해 가을, 갑자기 성미산학교 ‘통합 교사’가 되었습니다. ‘내’가 왜 이 자리에 있는지 깨달아 가는 짧고도 긴 시간들을 거치며, 지금은 초등 어린이들과 아웅다웅 알콩달콩 지내고 있습니다. 아이들과 뭘 재미나게 할까 궁리하는 것이 제일 신나고, ‘좋은 교사’보다는 ‘괜찮은 사람’이 되고 싶습니다. 아이들 덕분에 조금씩 꿈을 이루고 있습니다.
펼치기
강화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크리킨디센터 미장학교 크리킨디센터 하자작업장학교 청년작업장. 노래를 쓰고 짓고 부르며, 흙 미장을 열심히 하고 있습니다.
펼치기
노아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영셰프 졸업생, 청년 요리사 이탈리아, 영국, 인도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요리를 배운 후, 요리를 매개로 관계를 맺으며 지속 가능한 삶을 고민하고 있습니다.
펼치기
유동렬 (지은이)    정보 더보기
보은대장간 대장장이 충북무형문화재 제13호 야장전수조교. 문화재수리기능자 ‘철문공’으로 목조문화재 철물 복원과 수리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펼치기
박진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소풍가는 고양이 대표 (주)연금술사가 운영하는 ‘소풍가는 고양이’ 대표이사. 비대졸 청소년·청년의 노동과 일터에 대한 고민이 많습니다.
펼치기
황덕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야기꾼의 책공연 공동 대표 빛나는 순간을 빚는 예술 생산이 가져올 미래에 기대고 있는 기획자, 이야기꾼의 책공연 황피디입니다.
펼치기
박혜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온 생을 초록으로 살다가 이제는 땅으로 갈 일밖에 없는 식물의 줄기를 모아 이것저것 만드는 것을 좋아합니다. 그렇게 만들어진 것이 세상을 담는 바구니가 되고, 삶을 살아가는 우리들의 이야기가 되고, 당신과 나를 연대하게 하는 끈이 됩니다.
펼치기
안성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삶을 위한 교사대학’ 협동조합 이사장. 산돌학교 교사, 산마을고등학교 교장, 진강산마을교육공동체 대표를 거치면서 공교육과 대안교육, 마을교육공동체 를 넘나드는 경계인으로 활동했다.
펼치기
조원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 영파여중 교사. 시를 사랑하고, ‘삶=교육’이라고 믿는 중등 사회 교사로서, 시대와 사회와 인간에 대해 예의를 지키고 싶음.
펼치기
전유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 동교동에 있는 카페 한 켠에서 One Table Bookstore, 세상에서 가장 작은 책방을 운영하며 더 나은 오늘을 사는 방법을 탐색 중이다.
펼치기
홍서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조선 시대 요리 책들에 관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은 후 문화인류학을 강의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어떤 작가의 일러스트 작품에 이런 말이 나옵니다. “쥐꼬리만 한 월급이 들어왔으니 오늘도 열심히 쥐꼬리만큼 일하고 앉아서 죽때리다 튀어야지.” 하루의 1/3 정도를 직장에서 보내는데 이렇게 시간이나 때우면서 지낸다면 행복할까요? 생계 수단으로서의 의미를 넘어서 다른 의미를 생각해 볼 필요는 없을까요? 물론 여러 가지 구조적인 문제가 있고, 그것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도 해야겠지만, 스스로 일을 어떻게 의미화해야 할 것인가에 대해서도 생각해 봐야 하지 않을까요?
- 장원섭, 〈일과 배움의 전범으로서의 장인〉


일하는 사람과 일의 의미를 재복원하면서 일과 일 외의 삶의 균형에 대해서도 이야기를 해야 해요. 하지만 일 외의 삶에 대해서는 보여 주지 못해요. 일에 대해서는 조명이 되었는데 장인의 일 외의 삶에 숨어 있는 모습은 집중하지 않잖아요. 앞에 소개되었던 장인들은 대부분 남성들이었고 성공한 엘리트로 보였어요. 잠깐 스쳐 가듯이 장인 가족들의 희생이 있었다고 말했는데 그 부분에 대해서 사회에서 가볍게 넘어갈 부분은 아니라고 생각해요. 저는 장인의 노동과 재생산은 가족에게서 일어나고 그 백업 없이는 장인이 되기 힘들었을 거라고 봐요. 누군가의 희생이나 기여가 있었기에 장인이 만들어진다는 것을 알아야 하고 이런 구조가 과연 오래갈 수 있을지 하는 질문을 하게 돼요. 일과 일 외의 삶의 균형에 대해서 말할 때에도 이 구조를 정확하게 알지 못하면 지속 가능하지 않을 수도 있겠다 싶고요. 따라서 장인 당사자가 제자를 양성할 때 일과 일 외의 삶을 조화롭게 살아가는 솔선수범의 모습을 보이거나 아니면 그런 삶이 가능하도록 배려하고 안내하면 좋을 것 같아요.
- 박진숙 외, 〈장인 교육은 가능한가〉


밧줄이 없었다면 문명은 가능했을까? 아마도 불가능했을지 모른다. 인류가 밧줄을 사용한 흔적은 15,000~17,000년 전 화석으로 발견되었다. 풀과 포도 넝쿨을 함께 꼬아서 만든 밧줄이었다. 고고학자들은 밧줄이 적어도 25만 년 전부터 사용되었을 것이라 추정한다. 밧줄 화석은 돌도끼나 바퀴보다 훨씬 오래되었고, 인간이 불을 사용하기 시작한 때가 기원전 4만 년 즈음이라니 밧줄의 사용은 그보다 앞서고 대략 석기 사용 시기와 일치한다. 선사 시대부터 인류는 밧줄을 사냥, 올무, 낚시, 그물, 창, 작살, 이동, 운반, 등반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했다.
- 김성원, 〈밧줄이 없었다면 문명은 가능했을까〉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