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조직/인력/성과관리
· ISBN : 9791130658582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24-11-18
책 소개
목차
이 책에 쏟아진 찬사
감수의 글 | 고객경험을 넘어서 직원경험으로의 여정
서문 | 사람이 먼저인 조직은 반드시 탁월한 성과를 낸다
들어가며 | 초일류 기업의 성장은 어디에서 오는가
1장. 지금 당신의 고객은 만족스러운 경험을 하고 있는가?
서비스 포화 시장에서 조직을 구출하라
- 신발 회사 자포스가 고객에게 밀가루를 찾아주는 이유
-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가르는 고객경험의 일곱 가지 기준
- 고객만족서비스의 딜레마
- ‘놀라운’ 서비스가 ‘그저 그런’ 서비스로
- 경험을 선사하는 것은 언제나 사람이다
직원경험은 직원을 위한 것이 아니다
- 고객경험을 높이는 탁월한 직원경험의 일곱 가지 특성
- 기술혁명은 왜 직원경험을 높이지 못하는가
- 직원경험은 왜 지금껏 홀대받아 왔을까?
- 주인의식 부족은 7.8조의 손실을 가져온다
- 주인의식은 기술로 보완될 수 없다
- 직원에게 직접 질문하라
[CASE STUDY] 유니레버 – 직원 교육이 불러온 290%의 성장
2장. 고객도, 직원도 만족하는 조직은 무엇이 다른가?
조직의 바퀴는 고객과 직원이 연결될 때 굴러간다
- 고객 불만이 가장 적은 항공사, 사우스웨스트항공
- 장기 근속한 직원이 돈을 더 벌어온다
- 직원경험은 여전히 홀대받는다, 직원들에게조차!
- 직원경험의 책임자는 누구일까?
- 하나의 회사에서 두 개의 꿈을 꾸는 이유
직원경험은 인사 부서의 문제가 아니다
- 고객을 위하듯이 ‘직원을 위해’ 일하라
- 직원경험은 조직 전체의 문제다
- ‘손님이 왕’이라는 낡은 격언에 속지 말 것
- 장기적인 성장을 원한다면 두려움 없이 질문하라
- 전환점은 이미 도래했다
[CASE STUDY] 스타벅스 – 하워드 슐츠가 세 번이나 CEO를 맡게 된 이유
3장. 최고의 조직은 직원에게 어떤 경험을 제공하는가?
[1단계. 사람] 조직은 목적이 같은 ‘사람’의 모임이다
- 급여 인상은 만능 해결사가 아니다
- 주인의식의 시작은 ‘잘 뽑고 잘 키우기’다
- 직원은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원한다
- 조직을 연결해 직원경험을 개선시켜라
- 정기적으로 질문하고 신속하게 대응하라
[CASE STUDY] 베스트바이 – 망하기 직전의 회사가 5년 만에 기사회생한 비결
[2단계. 사람] 직원이 아닌 프로세스를 뜯어고쳐라
- 프로세스는 어떻게 일을 더 꼬이게 하는가?
- 이상적인 기술 전환은 직원과 고객 모두 만족시킨다
- ‘담당 부서를 연결해 드리겠습니다’라는 굴레
- 유연하게 사업부의 경계를 넘어라
- 고객경험과 직원경험을 동시에 개선시키는 디자인 사고
- 화이자의 ‘대담한 미션’
[3단계. 기술] 그 기술은 정말 생산성을 높이고 있는가?
- 디지털전환이라는 동상이몽
- 기술은 개인도, 팀도 성장시킨다
- 제4차 산업혁명 시대에 왜 기술 문제에 시달릴까?
- 기술의 핵심은 첫째, 자동화다
- 기술의 핵심은 둘째, 팀 스포츠다
[CASE STUDY] 치폴레 – 기술혁신이 가져온 193%의 주가 상승
[4단계. 문화] 문화는 경영의 본질이다
- 컴퓨터 문외한 CEO가 IBM을 갱생시키다
- 제품은 모방할 수 있어도 문화는 모방할 수 없다
- 건강한 기업문화를 만드는 다섯 가지 요소
- ‘세계 최고의 직장’ 세일즈포스가 만든 가장 특별한 부서
[CASE STUDY] 폭스바겐 – 잘못된 기업문화가 야기한 디젤 스캔들
[부록] 고객경험과 직원경험 개선에 필요한 지표들
[부록] 주주 중심 회사의 말로
책속에서
경영자의 최대 관심사는 더는 엄청난 대가를 치르고서라도 이룩한 ‘성장’이 아니라 ‘탄력성resiliency’이다. 성장은 끊임없이 지장이 생기고 빠르게 변화하는 비즈니스 환경에서도 계속될 수 있을 만큼 강력하고 유연해야 한다. 오늘날의 경영환경에서 기업은 직원이나 고객을 희생시키며 힘들게 얻은 성장은 쉽게 깨지고 너무나도 덧없다는 것을 뼈저리게 깨달았다. 기업이 직원을 경시하고 무시하면서 얻어낸 수익 창출 동력은 결국 무너지고야 만다. 직원들의 노력과 주인의식, 회사의 목표 달성을 위한 헌신이 없으면 성장은 더욱 요원해질 뿐이다.
- 들어가며
결국 훌륭한 고객경험이란 기업이 제공하는 제품이 아니라 고객이 제품과 서비스, 직원, 브랜드와 상호작용을 하면서 무엇을 느끼는지, 고객이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결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기업이 얼마나 잘 지원하는지에 따라 결정된다. 직원과 고객이 상호작용을 하는 순간이야말로 고객의 결정을 좌우하므로 더할 나위 없이 중요하다.
- 서비스 포화 시장에서 조직을 구출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