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문제 > 청소년문제
· ISBN : 9791137200746
· 쪽수 : 675쪽
· 출판일 : 2020-03-16
목차
학교폭력
Ⅰ. 들어가는 글 19
Ⅱ. 오늘날의 가정과 학교현장 27
1. 욱하는 한국인, 자제력 잃은 한국 28
2. 부모 꾸중 몇 마디에... 순간적인 욕설· 흉기 31
3. 학부모 45%, 학교폭력 대책 효과 없었다 33
4. 왕따에 떨던 10대, 이젠 카타 공포 39
5. 사람이 무섭다. 운둔 생활, 또 당할라, 전학가도 외톨이 43
6. 대학 선수까지 성적 저조하면 코치·선배에게 매 맞기 다반사 46
7. 욕설·조롱 추행까지, 학교에서 동성애자 차별 여전히 심각 51
8. 지금 中 1 교실은 싸움판, 일진(一陣)가리자며 난투극 54
9. 대낮 운동장 집단 흡연, 낯 뜨거운 스킨 십, 아이들 어떻게 할 것인가 56
10. 학교폭력 가해 학생 3년 새 두 배로 늘어, 초등생은 3.6배 급증 58
11. 맞장 뜨자 해놓고 패버려요, 그럼 때린 게 아니라 싸운 게 되죠 60
12. 학교폭력 9명 소년부 송치 61
13. 학교폭력 침묵의 카르텔 깨자 66
14. 교단 떠나는 교사들 70
15. 추락하는 교권 71
16. 교권 三法, 정기국회에서 조속 개정해야 76
17. 악몽에 시달린 여학생 그림엔 피범벅 77
18. 법원, 부산 여중생 폭행 나머지 가해자 1명도 영장 발부 79
19. 사이버공간으로 숨어든 은밀한 학교폭력 82
20. 학교폭력의 현실 84
21. 운동선수 폭력문제 언제까지 87
22. 체육지도 현장의 폭력 89
23. 내 아이는 학교폭력 안전한가 90
23. 또래 성추행 학생, 피해자와 같은 학교 버젓이 91
25. 폭력과 섹스 말고 놀 줄 모르는 아이들, 방법은 93
26. 어른이 주는 한잔 술, 청소년 크게 망친다 94
27. 여중생 집단성폭행 가해자 미성년자라 등교정지 10일? 피해 부모·시민분노 95
28. 교사 성추행 파문 97
29. 도 넘은 10대 폭력 매스미디어 98
30. 인성교육 가정에서 먼저 100
31. 점점 낮아지는 연령대 학교폭력 발생 102
Ⅲ. 학교폭력의 이론적·실제적 배경 107
1. 학생 인권 변천사과 이론적 관점 108
2. 폭력이라는 윤리적 쟁점 111
3. 학교 폭력의 근원을 알기나 하나 113
4. 학교폭력과 인성교육 117
5. 일진학교 72% 중학교, 내달부터 전면 개조 프로젝트 118
6. 교사 99% 학생인권조례 보완·폐지해야 119
7. 입시 탓에 인권교육 뒷전, 학생 몰이해 속 교권 추락 논란 여전 121
8. 학생 인권조례 1년, 뿌리 내리려면 보완 필요 123
9. 자살은 개인 문제 아니다 125
10. 학생, 화를 표현하는 훈련 안됐고, 교사, 그런 학생 대하는 훈련 안 돼 128
11. 당신의 분노는 당신에게 돌아온다 131
12. 바로 잡아야 할 10대 성문화 133
13. 학교폭력 목격한 학생 44%, 얻어맞은 친구 못 본체 했어요 139
14. 상처 덧나게 하는 부모, 넌 맨날 그 모양, 마음의 문 더 닫아 140
15. 매우 복잡한 학교폭력 메커니즘 142
16. 소년법 논의 전에 수용시설부터 점검하라 144
17. 학교폭력이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145
18. 초·중·고 558만 명 중 130만 명만 응답했는데 그걸 왜 보도했느냐고 148
19. 학교폭력이 3년째 줄었다고 150
20. 학교폭력 가해 학생의 이야기 151
21. 체육계 내 폭력 발생의 배경 152
22. 폭력문화, 다양성 교육으로 넘어야 155
23.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156
24. 국제 비폭력의 날을 맞이하며 161
25. 이젠 인성교육이다 162
26. 학교폭력 예방의 이해와 관점 167
Ⅳ. 학교폭력 정책 추진의 실효성 169
1. 학교 폭력 기재 거부 강행, 위법성 새 논란 170
2. 학교폭력 실태, 모바일 조사도 추가해야 172
3. 학폭(學暴) 신고 늘었는데 징계건수 왜 줄었나 173
4. 학교폭력 실태 공개 신중하게 해야 174
5. 학생 폭력이 법리적 적절하다. 광범위한 개념 재정립 필요 175
6. 학교폭력 당사자간 화해하면 학폭위 안 간다 177
7.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실효적 대책을 178
8. 학교폭력, 교사가 적극적 예방자가 돼야 179
9. 부하 걸린 학교, 폭력 유형 분리 등 협력·지원 절실 180
10. 학교폭력, 칸트의 정언명령으로 접근하자 185
11. 다시 생각해 보는 학교폭력 원인론 186
12. 학교폭력과 자살태도 188
13. 재발한 학교폭력 투신, 4대악 근절 무색하다 190
14. 병영 내 폭력은 학교서 배운 것 191
15. 학교폭력과 집단 따돌림 예방을 위한 스포츠의 역할 194
16. 폭행 줄었지만 은따는 더 심해져, 교묘해진 학교폭력 196
17. 청소년 문제, 또래 문화 이해가 첫걸음이다 199
18. 학교체육 활성화가 성장기 폭력 줄이는 약 201
19. 청소년 정신건강 위험 수위 넘었다 202
20. 페르미의 역설 204
21. 학교폭력 추방, 현장성 더 강화해 효과 높여야 205
22. 학교 숲이 학생 폭력 성행 낮춘다 206
23.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밥상머리 교육 208
24. 체육계 내의 폭력에 대한 두 가지 방향의 해결 노력 제고 210
25. 자살예방 방지책이 절실하다 212
26. 인성교육 이젠 실천할 때다 216
27. 학교폭력, 제도적 장치가 요구된다 220
Ⅴ. 학교폭력에 대안에 대한 논의 222
1. 주5일 수업제 전면 시행할 준비돼 있었나 223
2. 인성·예체능 교육 소홀히 했던 게 이제야 곪아 터졌다 230
3. 폭력 학생, 어려도 잘못엔 책임지는 것 배워야 231
4. 학생부 기록과 대학 입학시험 232
5. 학교폭력 예방 모범학교가 이 지경이니 235
6. 가정폭력·학교 폭력 그 악순환의 법칙 236
7. 학교폭력, 우리 모두의 책임 237
8. 청소년 비행의 원인은 어른에게 있다 239
9. 학교폭력 기준 고시 제정 240
10. 스마트폰 청정학교를 바라며 242
11. 새학기 학교폭력 공포 244
12. 새학기 되면 등교거부하는 우리 아이 뭐가 문제일까 245
13. 학교폭력 근절, 정부 의지가 안 보인다 248
14. 학교체육이 인성교육의 자양분이 되려면 249
15. 애도 없는 사회 250
16. 학교폭력과 왕따로 죽음을 생각하는 동생에게 252
17. 충분히 반성한 학생에 빨간줄 그어야 하나 253
18. 누가 중학교를 이토록 망쳤나 255
19. 학교 안전강화 6개월, 교문은 여전히 열려 있었다 257
20. 학교폭력 누구를 탓해야 하나 259
21. 누가 아이들을 범죄자로 만들었나 265
22. 폭력의 암흑시대, 부모교육에 방점을 266
23. 조폭 빰치는 학교폭력 서클 269
24. 건전한 학교운동부 문화를 만들어야 한다 271
25. 폭력 없는 학교, 아직 갈길 멀다 272
26. 왕따 피해·가해자 모두 자살률 2∼9배 높아져요 273
27. 교권 회복해야 학교폭력 해결할 수 있어 275
28. 美 열혈맘 선생님에게 배우는 0교시 체육의 기적 278
Ⅵ. 학교폭력 대처 방안과 제안 282
1. 10대들에게 소통하는 법을 가르치자 283
2. 자살 충동 청소년 상담 프로그램 확충하라 284
3. 소년범 수사, 딜레마 빠진 경찰 287
4. 이 시대 진정한 스승 다 어디 갔어 289
5. 교권을 살려야 학교와 교육이 산다 293
6. 국회 교원지위법 개정안 조속 처리를 294
7. 선생님의 길, 교원(敎員)의 길 295
8. 학교에 경찰 常駐해서라도 학교폭력 잡아달라 296
9. 침묵하는 다수를 깨운 창조적 학교폭력 예방법 299
10. 학교폭력, 피해자 보호장치 마련돼야 300
11. 노스페이스 내놔, 역할극으로 학교폭력 예방 301
12. 학교폭력, 스포츠활동이 해법이다 302
13. 행복한 학교, 스포츠에서 길을 찾자 303
14. 학교폭력 없는 청청 강원만들기 304
15. 학교폭력 괴물이 대물림하지 않으려면 306
16. 착한 대학입시가 해법이다 307
17. 학교폭력 근절 인성교육에 달렸다 309
18. 학교폭력, 인성교육으로 예방하자 312
19. 학교폭력 근절이라...... 314
20. 학교폭력 중요하다면 상담교사 뽑아라 318
21. 학교폭력, 전수조사가 끝 아니다 320
22. 새학기, 폭력 없는 학교를 위해 322
23. 학교폭력 국가가 막아야 한다 323
24. 학교폭력 해법은 건강한 소통 325
25. 본분 다하는 선생님이 우리 교육의 희망 326
26. 남교사 증원대책이 시급하다 327
27. 성평등 제도와 현실의 간극 331
28. 진정한 행복을 위한 교육 332
29. 학교폭력 대책 언제까지 겉돌게 할 텐가 333
30. 학교폭력 예방, 워크숍의 교훈 335
31. 체육지도 현장의 폭력 근절을 위하여 337
32. 학교폭력 근절을 위한 우리의 대안은 338
33. 범죄 흉포화...형사免責 12세로 낮추자 vs 처벌보다 재활 프로그램 343
34. 청소년 사고 막을 안전센터 설립 시급하다 348
35. 효과적인 학교폭력 근절책 349
36. 손톱 밑 가시 학교폭력 근절에 힘 모아야 352
37. 학교 스포츠활동으로 폭력 없는 행복한 학교를 354
38. 0교시 체육수업, 학교폭력 줄이고 성적 올려 355
39. 청소년의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방과 후 학교 스포츠프로그램 활성화 357
Ⅶ. 학교폭력 근절을 위한 담론 360
1. 학교폭력 예방장치 법제화를 해야 한다 360
2. 학교폭력 추방 모두가 나설 때, 학교폭력 추방 운동 말뿐인가 363
3. 학교폭력을 없애려면, 부모 의식이 가장 중요한 때이다 364
4. 학교폭력 어른들이 눈 부릅뜹시다 366
5. 위험 수위 다다른 여학생 폭력, 스쿨 폴리스까지 부르는 학교폭력 367
6. 청소년 문제는 사회 공동책임이다 369
7. 전문 상담교사 배치 미룰 일 아니다. 문제학생 범죄자 취급, 해결책 못돼 371
8. 청소년 집단 성폭행 여성의 위기냐, 10대의 위기냐 372
9. 전국 최고의 청소년 음주·흡연율 374
10. 학교가 폭력 산실되어서는 안 된다 376
11. 잘못된 성역할론의 문제 378
12. 주5일 수업, 스포츠데이 성공 요건 379
13. 교육의 필요성이란 명분으로 체벌이 가능한가 380
14. 운동선수 구타 이대로 방치할 것인가 382
15. 학교폭력 숨기는 게 능사인가, 교원이 나서자 383
16. 학교폭력 해소를 위한 체육프로그램 개발 절실하다 385
17. 운동선수의 성희롱 및 성폭력에 대한 주관적 인식 어떻게 386
18. 고등학교 운동선수들의 폭력 행위를 이대로 둘 것인가 387
19. 학교폭력을 심각한 눈으로 봐야한다 389
20. 학교폭력의 특징을 이해하고, 다인적 요소로 접근하자 390
21. 게토(ghetto) 속의 아이들 392
22. 학교폭력 해법 394
Ⅷ. 나가는 글 398
참고문헌/416
(부록 1) 학교폭력 대처 사례/433
(부록 2) 학교폭력 가해학생 징계처분 취소 행정심판/439
(부록 3)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 운영 계획/442
(부록 4) 밀알학교 폭력 예방교육 계획/451
(부록 5)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464
(부록 6)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 시행령/472
학교 밖 청소년
Ⅰ. 들어가는 글 490
1. 연구의 의의 492
2. 연구의 목적 496
3. 연구 문제 및 연구 과제 498
Ⅱ. 이론적 배경 500
1. 학교 밖 청소년의 개념 501
2. 학교 밖 청소년에 대한 관점 및 당면 과제 503
가. 청소년 복지권 보장 504
나. 비행 확대 및 재발 방지 505
다. 사회적 비용 절감 505
라. 가족 기능의 회복 및 강화 505
마. 인적 자원 개발 505
3. 학교 밖 청소년의 실태와 문제점 505
가. 우리나라 학교 밖 청소년의 현황 및 실태 505
나. 학업 중단한 이후의 생활 실태 506
다. 학교 중퇴의 문제점 507
라.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심리적 특성과 욕구 507
마. 학교 밖 청소년에 대한 사회적 지원 실태 507
4. 학교 밖 청소년을 위한 사회적 지원 방안 508
가. 기본 방향 508
나. 제도적 접근 509
5. 학교 밖 청소년의 학업 중단 원인 509
6. 학교 밖 청소년의 유형 512
7. 학교 밖 청소년의 이용 집단 516
가. 대안학교 이용 청소년 517
나. 보호 시설 청소년 518
다. 청소년 복지 시설 청소년 519
8. 학교 밖 청소년 환경 520
가. 청소년을 둘러싼 사회 환경 520
나. 학교 밖 청소년과 주위 환경요인 521
다. 학교 중단 후 청소년의 경험 525
9. 학교 밖 청소년 주변의 자원 526
가. 학교 밖 청소년 사회적 지지 526
나. 학교 밖 청소년의 멘토링 528
다. 학교 밖 청소년의 지원 기관 529
10. 지각된 낙인과 자아존중감, 그리고 사회 적응 531
가. 낙인의 개념 531
나. 자아존중감 개념 534
다. 적응과 사회 적응 535
라. 지각된 낙인과 사회 적응 및 자아존중감 관계 536
11. 선행연구의 검토 540
Ⅲ. 학교 밖 청소년 이해와 정책 적용 546
1. 학교 밖 청소년 프로그램 밀알 청소년 센터 운영에 앞서 546
2. 학교 밖 청소년에 대한 개념을 알아보자 548
3. 학교 밖 청소년의 특성과 유형을 알아보자 552
가. 학교 밖 청소년의 유형을 알아보자 55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