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이론/경제사상
· ISBN : 9791139138580
· 쪽수 : 192쪽
· 출판일 : 2024-09-03
책 소개
목차
시작하며
프롤로그 ① 『자본론』을 쓴 마르크스는 어떤 인물인가?
프롤로그 ② 지금, 다시 주목받는 마르크스 『자본론』
프롤로그 ③ 이 책에서 다룰 『자본론』은 어떤 내용인가?
Chapter 1 자본주의 사회는 상품과 노동으로 넘쳐난다
01 자본주의 경제의 해명은 상품을 아는 것에서 시작한다
02 자본주의 사회의 부는 상품의 집합체이다
03 자본주의 사회는 분업에 기초한다
04 사용가치와 교환가치라는 두 가지 가치 ①
05 사용가치와 교환가치라는 두 가지 가치 ②
06 상품의 가치는 소비된 노동의 양에 의해 결정된다
07 노동에도 이중성이 있다
08 노동가치는 사회 전체의 평균이라는 관점에서 볼 필요가 있다
09 타인에게 유용해야 상품이 될 수 있다
10 노동력도 상품이다
11 상품은 어디에서 왔을까?
마르크스 인물상 ① 헤겔 철학의 변증법이 마르크스 철학의 중심이 되다
Chapter 2 화폐는 상품에서 탄생했다
01 화폐의 시초는 천과 소금이었다
02 화폐로서의 우월한 지위를 확립한 것은 금이다
03 이 세상은 상품-화폐-상품의 반복이다
04 상품의 목숨을 건 비약이란?
05 화폐의 기능
06 사람들은 왜 돈을 원하는가?
마르크스 인물상 ② 청년 마르크스, 자본주의 체제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며 노동 방식을 설파하다
Chapter 3 자본은 증식을 멈출 수 없다
01 자본 = 끊임없는 가치증식
02 자본은 운동이다
03 자본가는 인격화된 자본이다
04 불변자본과 가변자본
05 노동이라는 특수한 상품이 잉여가치를 창출한다
06 자본가는 잉여가치를 얻기 위해 노동자를 고용한다
07 노동자는 잉여가치 때문에 착취당한다
08 자본가는 노동자와의 관계가 평등하다고 편의적으로 생각한다
마르크스 인물상 ③ 자본주의 사회에 대한 공감대로 뜻을 함께하게 된 두 사람
Chapter 4 자본은 노동자를 어떻게 착취하는가
01 노동자의 임금은 노동 재생산 비용과 같다
02 노동자는 노동력 외에는 팔 수 있는 상품이 없다
03 노동자는 생산물을 소유할 수 없다
04 노동자는 최대한 많이 일하도록 강요받는다
05 노동일 연장
06 노동자는 돈 때문에 연장근로를 감수한다
07 자본가는 아동과 여성도 착취한다
08 자본은 노동자의 신체 성장과 발달을 위협한다
09 자본가는 노동력의 소모와 사멸을 생산하고 있다
10 노동시간은 투쟁의 초점이다
11 자본가를 위한 노동 방식 개혁
마르크스 인물상 ④ 확고한 주장과 영향력이 국가를 움직이다
Chapter 5 자본은 사회 전체와 자연도 착취한다
01 자본가는 노동자의 미래에 전혀 관심이 없다
02 자본은 사용가치에 무관심하다
03 자본은 소비자도 속인다
04 자본은 자연도 착취한다
05 자본은 물질대사를 장악하고 교란한다
마르크스 인물상 ⑤ 거점을 옮겨 다니며 사회주의 운동을 이어간 마르크스
Chapter 6 기술 진보와 자본주의
01 자본주의는 왜 생산력을 비약적으로 증가시켰는가?
02 생산성 향상으로 인한 끝없는 가격 경쟁
03 협업이 생산성을 높이는 두 가지 이유
04 공장제 수공업에서 기계제 대공업으로의 전환
05 기계는 사람이 아닌 자본을 위해 사용된다
06 기계화는 노동을 비인간적으로 만든다
07 기계화로 인해 여성과 아동이 노동에 투입되었다
08 기계는 노동의 가치를 낮추고 가족 총동원 노동의 시대를 이끌었다
09 기계는 노동자의 지위를 약화시킨다
10 기계에 일자리를 빼앗긴 노동자들은 만성적인 빈곤에 시달리고 있다
11 과학기술의 발달로 노동인구가 감소하고 있다
12 실업자가 늘어날수록 자본가는 기뻐한다
13 죄는 기계 자체가 아닌 자본가의 사용 방식에 있다
마르크스 인물상 ⑥ 도서관에서 경제학을 연구하며 『자본론』 집필을 시작하다
Chapter 7 자본주의 사회의 불합리한 구조
01 모두가 자본주의에 휩쓸려간다
02 많은 노동자가 함께 일하는 협업이 시작되었다
03 협업을 통해 이득을 보는 사람은 노동자가 아니라 자본가이다
04 협업으로 막대한 잉여가치를 획득하는 사람은 자본가이다
05 단순 작업이 늘어날수록 노동력의 가치는 하락한다
06 자본이 축적되어도 노동자는 궁핍할 수밖에 없다
07 노동자 스스로 목을 조르는 것과 같다
08 노동자들끼리 경쟁하며 서로를 위협한다
09 노동자 스스로 자본가의 대변인이 된다
마르크스 인물상 ⑦ 뼈를 깎는 심정으로 『자본론』 집필에 전념하다
Chapter 8 자본주의의 미래는 혁명이다
01 자본주의의 시작과 폭력
02 쫓겨난 사람들
03 자본 경쟁과 자본 집중
04 세계적 규모로 확대되는 자본
05 자본주의의 위기
06 자본주의의 종말을 알리는 종이 울린다
마르크스 인물상 ⑧ 흩어진 노트를 모아 마르크스의 연구를 구체화한 프리드리히 엥겔스
카를 마르크스 연표
마치며
참고문헌
리뷰
책속에서
마르크스는 다양한 상품에 공통으로 존재하는 사회적 가치의 실체를 인간노동의 생산물로 설명했다. 사회적 가치는 상품이 실제로 판매(교환)되지 않으면 실현될 수 없다. 즉, 상품은 노동이 투입되었기 때문에 가치가 있어야 하지만, 교환되지 않으면 실제로는 가치가 형성되지 않는다. 그러나 그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상품의 가치량을 비교 가능하게 하는) 것은 바로 노동이다. 교환가치에는 이러한 역설이 내포되어 있다.
마르크스는 자본가를 ‘의사와 의식을 부여받은 자본으로 기능하는 존재’라고 묘사했다. 자본가는 벌어들인 돈으로 사적 욕망을 채우기도 하지만, 순수한 자본의 운동은 증식한 모든 가치를 재투입하여 가치증식을 더욱 극대화하라고 지시한다. 자본가에게는 풍요를 누리기 위해 돈을 버는 것을 넘어, 최대 이익을 내는 것이 자기 목적화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