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사/경제전망 > 한국 경제사/경제전망
· ISBN : 9791155423400
· 쪽수 : 188쪽
· 출판일 : 2015-09-1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장. 중국의 소프트웨어 굴기 vs 한국의 소프트웨어 홀대
- 중국의 폭풍성장
- 중국의 소프트웨어 육성 정책
[인터뷰] 쯔앙 보위 엔코어 중국법인 지사장
- 소프트웨어 개발자, 중국 최고의 직업이 되다
- 실리콘밸리로 떠나는 한국의 인재들
- 이중고에 빠진 한국 소프트웨어 시장
[인터뷰] 박상민 HP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2장. 소프트웨어 발전 가로막는 5적(敵)
- 소프트웨어 산업 발전을 가로막는 5가지 장애물
1적. 주먹구구식 정부의 잘못된 정책
2적. 소프트웨어에 대한 잘못된 사회인식
3적. 협소하고 미성숙한 시장
4적. 20세기에 머문 낡은 교육
5적. 하드웨어 중심의 기업문화
- 소프트웨어 강국으로 가기 위한 해결 과제
[현황분석] 국내 소프트웨어 산업 들여다보니
- 낙제 수준인 한국 소프트웨어
3장. 제조업 발목 잡는 한국의 소프트웨어
- 비상등 켜진 한국 제조업
[인터뷰] 윤종록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원장
4장. 미국이 소프트웨어 강국 된 비결
- 미국의 국가적 소프트웨어 열기
- 소프트웨어로 무게중심 이동하는 미국 기업들
[인터뷰] 우베 하겐 BMW 실리콘밸리 테크 오피스 대표
[인터뷰] 샘 우 ACE프렙 부사장의 가족
- 능력중심 문화와 능동적인 프로젝트 진행
5장 소프트웨어에 올인하는 유럽
- 오픈소스를 통한 생태계 구축
- 핀란드의 소프트웨어 교육 정책
[인터뷰] 린다 리우카스 ‘헬로루비’ 제작자
- 영국의 소프트웨어 전문가 육성 정책
[인터뷰] 빌 미첼 영국컴퓨터협회(BCS) 교육총괄
[인터뷰] 허그 밀러드 마이크로소프트 글로벌 정보격차해소 담당자
6장 소프트웨어가 선사할 미래 사회
- 소프트웨어로 해결 가능한 과제 10선
1. 제2의 메르스를 막는다
2. 소프트웨어 활용하면 독감 전파도 분석
3. 사이버해킹은 보안코딩으로
4. 싱크홀 막자
5. 소프트웨어로 범죄예방
6. 배추가격 폭등도 소프트웨어가 막아준다
7. 장애인과 비장애인 장벽 낮추자
8. 언어 장벽 낮추는 소프트웨어
9. 중고차 매매 사기 해결사
10. 공장과 사무실 간의 벽을 깨라
- 소프트웨어 오프라인 접목 성공사례
- 청년실업 해소의 실마리 소프트웨어 교육
7장 ‘소프트웨어 강국’ 매일경제 10대 제언
- ‘소프트웨어 강국’을 위한 10대 제언
1. 정책 총괄할 소프트웨어위원회 설립
2. 소프트웨어 인재 병역특례
3. 오픈소스로 소프트웨어 경쟁력 증대
4. 정부의 소프트웨어벤처 M&A 활성화 지원
5. 코딩의 토익 시험 만들자
6. 개발자에게 투트랙을 허하라
7. 소프트웨어 명장 제도 도입
8. 정부 취업 재교육에 고급 소프트웨어 포함
9. 소프트웨어 게임 키워 ‘제2의 김정주’ 만들자
10. 공무원시험 소프트웨어 과목 포함
[인터뷰] 소프트웨어 전문가 5인의 제언
부록 취재후기_소프트웨어 강국을 꿈꾸며
저자소개
책속에서
한국이 소프트웨어 인재를 홀대하는 사이 중국은 소프트웨어 강국으로 변모하고 있다. 소프트웨어 굴기다. 중국 소프트웨어 시장은 연평균 30%씩 성장하고 있다. 시가총액 기준으로 10 대 글로벌 IT 기업 중 무려 4곳이 중국 업체다. 4대 천왕으로 불리 는 알리바바, 텐센트, 바이두, JD닷컴은 이미 한국 기업을 능가하는 소프트웨어 경쟁력을 갖췄다는 평가를 받는다.
최근에는 샤오미까지 가세했다. 2015년 기준 창업한 지 6년밖에 되지 않은 샤오미가 초고속 성장하는 요인 중 하나가 강력한 소프트웨어 덕분이다. 안드로이드를 변형해 독자적으로 만든 운영체제(OS)인 미유아이(MIUI)가 샤오미 성장에 로켓엔진을 달아준 셈이다.
-- 중국의 소프트웨어 굴기 vs 한국의 소프트웨어 홀대 中 (p.17)
국내 소프트웨어 산업 발전을 가로막는 가장 큰 장애물로 정부 의 잘못된 정책과 행태가 꼽혔다. 소프트웨어는 복제해서 쓰면 된 다는 잘못된 사회 인식과 관행도 뿌리 뽑아야 할 적(敵)으로 지목 됐다. 전문가들은 정부의 소프트웨어 정책에 대한 평가로 낙제점인 평균 64점을 줬으며, 한국이 소프트웨어 강국으로 거듭나기 위한 골든타임은 3~5년밖에 남지 않았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 소프트웨어 발전 가로막는 5적(敵) (p. 49)
시장조사업체 VDC 의 조사도 이를 뒷받침한다. 2008년 기준 자동차 개발비의 절반 인 52.4%가 차량 전자제어 등 소프트웨어 관련 비용, 가전제품 개 발 원가의 53.7%, 산업자동화 분야의 51.5%, 통신 산업의 52.7% 도 소프트웨어 비용으로 나타났다. 이미 산업계 평균은 51.2%로 소프트웨어가 하드웨어를 앞섰다. 전통적인 제조업에 소프트웨어가 융합된 새로운 경제 패러다임이 열리고 있는 것이다.
- 제조업 발목 잡는 한국의 소프트웨어 (p. 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