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필원산어 : 글밭에 흩어진 이야기

필원산어 : 글밭에 흩어진 이야기

성섭 (지은이), 장유승, 부유섭, 백승호 (옮긴이)
성균관대학교출판부
3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6,100원 -5% 0원
1,900원
34,2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필원산어 : 글밭에 흩어진 이야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필원산어 : 글밭에 흩어진 이야기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91155503461
· 쪽수 : 792쪽
· 출판일 : 2019-11-15

책 소개

조선후기 문인이자 영남 남인이었던 성섭의 시화인 『필원산어』를 세 명의 젊은 고전문학자가 함께 현대어로 옮기고 주해와 서설을 단 것이다.

목차

서설

<필원산어 상편 1>
글밭에 흩어진 이야기|최치원, 박인범, 박인량의 시|최해의 시|최해와 조맹부의 시|김약수, 정윤의의 시|이인로와 한유의 시|이색의 시|정지상의 시|김부식과 정지상의 시|성삼문의 시|최치원의 시|이제현의 중국 여행|이제현의 시|노수신의 시|오상렴의 시|요체|불교어를 사용한 시|승려의 시|정이오의 시|강백년의 시|임춘의 시|박치안의 시|이나의 시|송도 제영시|목만중의 시|이길상의 시|왕백의 시|백원항의 시|백원항, 최사립의 시|정몽주의 시 1|이혼의 시|이규보의 시|이제현의 시|이견간의 시|정몽주의 시 2|정몽주의 시 3|권한공의 시|한종유와 이암의 시|이색의 시|전유의 시|조준의 시|권근의 시|이숭인의 시|이인로의 시|이인복의 시|유숙의 시|오순의 시|성석린의 시|이규보와 진화의 시|허종의 시|차천로의 시|권응인의 시|채응일의 시|문익점이 목면 씨를 얻어오다|심 진사의 시|최해의 시|소응천의 시|이희사의 시|신광수의 시|권근의 시|이숭인의 시|점철성금|김태현의 시|정지상의 시|시능살인|시능생인|정인홍을 비난한 시|탄금대 시|이명한의 시|회고시|권필의 시|이달의 시|성삼문과 최립의 시|오도일의 시|홍사묵의 시|목만중의 시|이황의 시|영남루 시|성사홍의 시|김이만과 권만의 시|이서우가 오상렴에게 준 시|박손경의 시|김이만과 박손경의 시|권응인의 이황 만시|정경세의 유성룡 만시|이안눌의 정구 만시|채팽윤의 이서우 만시|대궐에서 조회하고 지은 시|충선왕의 시|이존오의 시 1|이존오의 시 2|이숭인의 시|권필의 정철 만시|홍주원의 영창대군 만시|이달의 남사고 만시|이황이 이자현을 평하다|이황의 시 1|이황의 시 2|이달의 금강정 제영시|단종과 이옥봉의 시|명종 필적의 영사시|목시경의 시|조태억의 시|오수엽의 시|김안로의 시|두류산 화개동 바위에 새겨진 시|김방걸의 시|남인이 지은 만시|성안의의 총명|성이성의 호남 암행어사 시|김일손과 박은의 시와 문장|임숙영과 이안눌의 시|이제현의 시|김상헌의 시|권만의 시|이헌경의 시|강한의 시|정범조의 시|소식 삼부자의 시문|이준과 채팽윤의 시안|우리나라 사부|이홍덕의 문장|길재의 묘와 비석|유성룡의 지주중류비|성삼문의 무덤|허목의 「동해송」|조경과 임나산의 편지|신광한의 공부|김일손의 문장과 박은의 시|조선 중기 문장가|장유의 문장|강백년의 문장|김창협의 문장|허목의 「노량의총비문」|『퇴계언행록』 이본|이황과 조식의 관계|정인홍이 이황을 배척하다|이준민이 이황, 조식, 이항을 평하다|정인홍이 이황을 모함하다|이황의 학문|조식과 정인홍의 관계|유성룡에 대한 변호|강박이 지은 이인복 묘비명|우리나라 문장의 흐름|주자학의 도입|명나라 문장의 영향|정범조의 문장|이덕주의 문장|이민구의 문장|김시빈의 재주 1|김시빈의 재주 2|이복후의 문장과 학문|남구만, 남학명, 남극관 3대의 문명|이중광의 행적|김성탁의 운명을 예고한 시|송익필과 박형의 사람됨|홍여하와 그의 저술

<필원산어 상편 2>
신유한이 권만의 시를 보고 붓을 놓다|맹숙경의 시|채제공의 시|정구가 김우옹에게 준 시|성삼문의 「몽유도원도」|유성룡의 고난|성안의의 생애|단양의 운암|유성룡이 임금의 마음을 돌리다|김성일의 강직한 말|최영경의 과격한 말|강서의 감식안|성제원의 시화를 첩으로 만든 춘절|이항복의 감식안|이덕형이 산송을 해결하다|허엽을 위로한 심대부의 시|신원되지 못한 백유양|허적이 이인을 만나다|허적의 어린 시절|당쟁을 조정한 이이|이홍업이 송시열을 만나 『주역』을 묻다|송시열의 글 1|송시열의 글 2|김강한의 생애 1|김강한의 생애 2|경전 독서법|김낙행의 생애|채제공 사건을 계기로 역사를 읽고|김시습의 행적|사추와 김후직|경상도 출신 정승|경상도 출신 대제학 1|경상도 출신 대제학 2|경상도 출신 독서당 학사|경상도 출신 청백리|조선의 역대 대제학|『주역』에 밝은 이세형|강해의 변려문|노인의 생애|성제원의 예언|자라를 살린 이공린|관리의 능력이 부족한 신광한|사초를 불태운 사관|아들을 선발하지 않은 정승|연산군이 중종을 미워하다|성종의 판결|선조가 왕위를 계승하다|홍계관의 점술|조양래의 예언|충성스러운 김우추의 여종|절개 있는 무당|효자담의 유래|신유한의 판결|식견 있는 박필위 아내|조덕건의 집안 다스림|신유한과 최성대의 허풍|박진귀의 예언|언어유희|소인은 등용하지 않는다|역적은 아무데서나 나오지 않는다|신선은 존재하는가|이준민이 술을 좋아하다|흰머리를 뽑는 이유|송찬의 일화|윤효언의 몸가짐|우리나라 상수학|이서우의 「환호설」|이찬이 귀신을 쫓아내다|여효사의 환술|서경덕이 전우치를 굴복시키다|『대학』과 『중용』|정종로와 임영의 편지글|과문의 명인|귀신을 만난 정석유|시마|윤회|살인사건을 밝혀낸 이세재와 구봉서|홍석무의 용맹|윤탁연이 보은단을 받다|이현중의 문장|이세황이 술을 마신 뜻|이달중과 이학중의 문장|조덕린의 문장|이광정의 인물평|김창문의 시|성석하의 시|손덕승의 시|대구 백일장

<필원산어 하편 1>
말조심|여수|주령|짐승의 말을 이해한 백귀년|욕심 없는 이사형|이동양의 생애|육지의 생애|소식의 생애|소식의 시 1|소식의 시 2|소식의 시 3|주돈이를 존경한 소식|황정견의 전생|조맹부를 비난한 시|악비 묘소 제영시|송 고종의 죄과|악비의 문장|가계지의 청렴|누비의 시|진랍국의 석탑|천자의 기운|천문으로 명 태조의 동태를 살피다|진경의 직필|음덕을 쌓아 잃어버린 아이를 찾다|청렴한 동사의|백성의 노래로 시대를 읽다|시인의 자부심|방불형용격|가도와 맹교의 시|시 때문에 곤궁해진 사람|설령지와 현종의 시|상장의 생애|주자의 호승심|육구연이 문인에게 모욕을 당하다|왕세정의 시론|시서 짓는 법|소식의 판결문|설날 시|수도는 아름다우면 안 된다|송 고종을 비판한 시|남송 유민의 시|송 고종의 시|성조 강희제 1|송나라 황릉의 운명|성조 강희제 2|5대조모 김씨의 청렴|꿈에서 지은 시|여동빈의 시|왕수인의 시|평수길의 공과|평수길의 생애|『법언』을 읽고|생쥐 이야기|시화설|명나라 황제가 환술에 속다|전당 천축사|건주 여진과 홍타이지의 조선 침략|왕세정의 후회|왕안석과 소식이 서로의 재주를 아끼다|건륭제가 조선 문인을 칭찬하다|진회가 지장보살에게 벌을 받다|왕안석의 그릇된 자식 사랑|황겸제와 주희의 백성 구휼|성기인의 교화|용을 본 경험담|한 문제와 가의가 귀신에 대해 문답하다|소옹의 「무명공전」|전극항의 운명|고유의 죽음을 애도한 만시|채제공이 유승현과 권만의 공로를 아뢰다|김항광이 잉어의 보은으로 과거에 합격하다|이산두, 홍중징, 이태화의 관상|이세황의 생애|이학중의 학문|영랑의 단서(丹書)와 허목의 동해비|성기인이 이구의 딸을 구하다|김인후가 저승의 재상이 되다|월오의 대나무|김시민의 신이한 행적|상주 공갈못 전설|강박이 아들을 곡한 시|이상발의 시

<원문>
필원산어 상편 1|필원산어 상편 2|필원산어 하편 1

찾아보기

저자소개

성섭 (지은이)    정보 더보기
본관은 창녕(昌寧), 자는 중응(仲應), 호는 교와(僑窩)이다. 성주(星州) 출신으로, 현령을 지낸 성기인(成起寅)의 아들이다. 조덕린(趙德?), 이광정(李光庭)에게 수학했다. 누차 과거에 도전했으나 실패하고 시작(詩作)과 산수유람에 몰두했다. 만년에 칠곡(漆谷) 월오(月塢)에 은둔하여 성리학에 잠심했다. 저술로 『필원산어(筆苑散語)』, 『교와문고(僑窩文稿)』가 있다. 영남 남인으로서의 뚜렷한 정체성과 폭넓은 독서에 바탕을 둔 독특한 시각으로 조선후기 남인 문단을 조명했다.
펼치기
백승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정조시대 정치적 글쓰기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남대학교 국어국문창작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전통시대 문학과 정치라는 주제로 정조 연간 한문학을 연구하고 있다. 주요 논저로 〈번암 채제공 문학 연구〉, 〈정조시대 정치적 글쓰기 연구〉, 《정조의 비밀 어찰, 정조가 그의 시대를 말하다》(공저), 《정조의 신하들》 등이 있고, 역서로 《정조어찰첩》(공역), 《소문사설, 조선의 실용지식 연구노트》(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부유섭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문학(한국한시) 전공,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 『형설기문』(공역, 2016), 『금환긔봉·뎡슈졍젼·홍백화뎐』(공역, 2017), 『필원산어』(공역, 2019), 『창해시안』(공역, 2020) 등
펼치기
장유승 (엮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을 거쳐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 《일일공부》, 《쓰레기 고서들의 반란》, 《조선잡사》(공저), 《하루한시》(공저), 《동아시아의 문헌교류》(공저) 등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 《서경시화 : 평양의 시와 인물들》, 《동국세시기》, 《한국산문선》(공역) 등이 있다. 《쓰레기 고서들의 반란》으로 한국출판문화상 편집상, 《동아시아의 문헌교류》로 한국출판학술상 우수상을 받았다.
펼치기

책속에서



옛사람도 한가로이 지내면서 기록한 말이 있었던 것이다. 내가 문장에 능하지는 못하지만 노닐고 쉬었던 곳은 서적의 동산이었고, 깊이 탐구한 것은 모두 괴이한 이야기였다. 옛 책에서 찾기도 하고 견문에서 뽑기도 하여 산어(散語)라고 이름하였다.
― ‘글밭에 흩어진 이야기’ 중에서


옛사람이 말하기를, “시는 사람을 곤궁하게 할 수도 있고 사람을 현달하게 할 수도 있다.” 하였다. 나는 시가 사람을 죽일 수도 있다고 여긴다.
― ‘시능살인(詩能殺人)’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