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91155503461
· 쪽수 : 792쪽
· 출판일 : 2019-11-15
책 소개
목차
서설
<필원산어 상편 1>
글밭에 흩어진 이야기|최치원, 박인범, 박인량의 시|최해의 시|최해와 조맹부의 시|김약수, 정윤의의 시|이인로와 한유의 시|이색의 시|정지상의 시|김부식과 정지상의 시|성삼문의 시|최치원의 시|이제현의 중국 여행|이제현의 시|노수신의 시|오상렴의 시|요체|불교어를 사용한 시|승려의 시|정이오의 시|강백년의 시|임춘의 시|박치안의 시|이나의 시|송도 제영시|목만중의 시|이길상의 시|왕백의 시|백원항의 시|백원항, 최사립의 시|정몽주의 시 1|이혼의 시|이규보의 시|이제현의 시|이견간의 시|정몽주의 시 2|정몽주의 시 3|권한공의 시|한종유와 이암의 시|이색의 시|전유의 시|조준의 시|권근의 시|이숭인의 시|이인로의 시|이인복의 시|유숙의 시|오순의 시|성석린의 시|이규보와 진화의 시|허종의 시|차천로의 시|권응인의 시|채응일의 시|문익점이 목면 씨를 얻어오다|심 진사의 시|최해의 시|소응천의 시|이희사의 시|신광수의 시|권근의 시|이숭인의 시|점철성금|김태현의 시|정지상의 시|시능살인|시능생인|정인홍을 비난한 시|탄금대 시|이명한의 시|회고시|권필의 시|이달의 시|성삼문과 최립의 시|오도일의 시|홍사묵의 시|목만중의 시|이황의 시|영남루 시|성사홍의 시|김이만과 권만의 시|이서우가 오상렴에게 준 시|박손경의 시|김이만과 박손경의 시|권응인의 이황 만시|정경세의 유성룡 만시|이안눌의 정구 만시|채팽윤의 이서우 만시|대궐에서 조회하고 지은 시|충선왕의 시|이존오의 시 1|이존오의 시 2|이숭인의 시|권필의 정철 만시|홍주원의 영창대군 만시|이달의 남사고 만시|이황이 이자현을 평하다|이황의 시 1|이황의 시 2|이달의 금강정 제영시|단종과 이옥봉의 시|명종 필적의 영사시|목시경의 시|조태억의 시|오수엽의 시|김안로의 시|두류산 화개동 바위에 새겨진 시|김방걸의 시|남인이 지은 만시|성안의의 총명|성이성의 호남 암행어사 시|김일손과 박은의 시와 문장|임숙영과 이안눌의 시|이제현의 시|김상헌의 시|권만의 시|이헌경의 시|강한의 시|정범조의 시|소식 삼부자의 시문|이준과 채팽윤의 시안|우리나라 사부|이홍덕의 문장|길재의 묘와 비석|유성룡의 지주중류비|성삼문의 무덤|허목의 「동해송」|조경과 임나산의 편지|신광한의 공부|김일손의 문장과 박은의 시|조선 중기 문장가|장유의 문장|강백년의 문장|김창협의 문장|허목의 「노량의총비문」|『퇴계언행록』 이본|이황과 조식의 관계|정인홍이 이황을 배척하다|이준민이 이황, 조식, 이항을 평하다|정인홍이 이황을 모함하다|이황의 학문|조식과 정인홍의 관계|유성룡에 대한 변호|강박이 지은 이인복 묘비명|우리나라 문장의 흐름|주자학의 도입|명나라 문장의 영향|정범조의 문장|이덕주의 문장|이민구의 문장|김시빈의 재주 1|김시빈의 재주 2|이복후의 문장과 학문|남구만, 남학명, 남극관 3대의 문명|이중광의 행적|김성탁의 운명을 예고한 시|송익필과 박형의 사람됨|홍여하와 그의 저술
<필원산어 상편 2>
신유한이 권만의 시를 보고 붓을 놓다|맹숙경의 시|채제공의 시|정구가 김우옹에게 준 시|성삼문의 「몽유도원도」|유성룡의 고난|성안의의 생애|단양의 운암|유성룡이 임금의 마음을 돌리다|김성일의 강직한 말|최영경의 과격한 말|강서의 감식안|성제원의 시화를 첩으로 만든 춘절|이항복의 감식안|이덕형이 산송을 해결하다|허엽을 위로한 심대부의 시|신원되지 못한 백유양|허적이 이인을 만나다|허적의 어린 시절|당쟁을 조정한 이이|이홍업이 송시열을 만나 『주역』을 묻다|송시열의 글 1|송시열의 글 2|김강한의 생애 1|김강한의 생애 2|경전 독서법|김낙행의 생애|채제공 사건을 계기로 역사를 읽고|김시습의 행적|사추와 김후직|경상도 출신 정승|경상도 출신 대제학 1|경상도 출신 대제학 2|경상도 출신 독서당 학사|경상도 출신 청백리|조선의 역대 대제학|『주역』에 밝은 이세형|강해의 변려문|노인의 생애|성제원의 예언|자라를 살린 이공린|관리의 능력이 부족한 신광한|사초를 불태운 사관|아들을 선발하지 않은 정승|연산군이 중종을 미워하다|성종의 판결|선조가 왕위를 계승하다|홍계관의 점술|조양래의 예언|충성스러운 김우추의 여종|절개 있는 무당|효자담의 유래|신유한의 판결|식견 있는 박필위 아내|조덕건의 집안 다스림|신유한과 최성대의 허풍|박진귀의 예언|언어유희|소인은 등용하지 않는다|역적은 아무데서나 나오지 않는다|신선은 존재하는가|이준민이 술을 좋아하다|흰머리를 뽑는 이유|송찬의 일화|윤효언의 몸가짐|우리나라 상수학|이서우의 「환호설」|이찬이 귀신을 쫓아내다|여효사의 환술|서경덕이 전우치를 굴복시키다|『대학』과 『중용』|정종로와 임영의 편지글|과문의 명인|귀신을 만난 정석유|시마|윤회|살인사건을 밝혀낸 이세재와 구봉서|홍석무의 용맹|윤탁연이 보은단을 받다|이현중의 문장|이세황이 술을 마신 뜻|이달중과 이학중의 문장|조덕린의 문장|이광정의 인물평|김창문의 시|성석하의 시|손덕승의 시|대구 백일장
<필원산어 하편 1>
말조심|여수|주령|짐승의 말을 이해한 백귀년|욕심 없는 이사형|이동양의 생애|육지의 생애|소식의 생애|소식의 시 1|소식의 시 2|소식의 시 3|주돈이를 존경한 소식|황정견의 전생|조맹부를 비난한 시|악비 묘소 제영시|송 고종의 죄과|악비의 문장|가계지의 청렴|누비의 시|진랍국의 석탑|천자의 기운|천문으로 명 태조의 동태를 살피다|진경의 직필|음덕을 쌓아 잃어버린 아이를 찾다|청렴한 동사의|백성의 노래로 시대를 읽다|시인의 자부심|방불형용격|가도와 맹교의 시|시 때문에 곤궁해진 사람|설령지와 현종의 시|상장의 생애|주자의 호승심|육구연이 문인에게 모욕을 당하다|왕세정의 시론|시서 짓는 법|소식의 판결문|설날 시|수도는 아름다우면 안 된다|송 고종을 비판한 시|남송 유민의 시|송 고종의 시|성조 강희제 1|송나라 황릉의 운명|성조 강희제 2|5대조모 김씨의 청렴|꿈에서 지은 시|여동빈의 시|왕수인의 시|평수길의 공과|평수길의 생애|『법언』을 읽고|생쥐 이야기|시화설|명나라 황제가 환술에 속다|전당 천축사|건주 여진과 홍타이지의 조선 침략|왕세정의 후회|왕안석과 소식이 서로의 재주를 아끼다|건륭제가 조선 문인을 칭찬하다|진회가 지장보살에게 벌을 받다|왕안석의 그릇된 자식 사랑|황겸제와 주희의 백성 구휼|성기인의 교화|용을 본 경험담|한 문제와 가의가 귀신에 대해 문답하다|소옹의 「무명공전」|전극항의 운명|고유의 죽음을 애도한 만시|채제공이 유승현과 권만의 공로를 아뢰다|김항광이 잉어의 보은으로 과거에 합격하다|이산두, 홍중징, 이태화의 관상|이세황의 생애|이학중의 학문|영랑의 단서(丹書)와 허목의 동해비|성기인이 이구의 딸을 구하다|김인후가 저승의 재상이 되다|월오의 대나무|김시민의 신이한 행적|상주 공갈못 전설|강박이 아들을 곡한 시|이상발의 시
<원문>
필원산어 상편 1|필원산어 상편 2|필원산어 하편 1
찾아보기
책속에서
옛사람도 한가로이 지내면서 기록한 말이 있었던 것이다. 내가 문장에 능하지는 못하지만 노닐고 쉬었던 곳은 서적의 동산이었고, 깊이 탐구한 것은 모두 괴이한 이야기였다. 옛 책에서 찾기도 하고 견문에서 뽑기도 하여 산어(散語)라고 이름하였다.
― ‘글밭에 흩어진 이야기’ 중에서
옛사람이 말하기를, “시는 사람을 곤궁하게 할 수도 있고 사람을 현달하게 할 수도 있다.” 하였다. 나는 시가 사람을 죽일 수도 있다고 여긴다.
― ‘시능살인(詩能殺人)’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