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동양철학 일반
· ISBN : 9791155504352
· 쪽수 : 712쪽
· 출판일 : 2020-12-30
책 소개
목차
책을 열면서
<제1부 철학에 나타난 광견관>
|제1장| 광자정신에 관한 기초적 이해
1. 지언(至言)으로서 광언(狂言)
2. 광(狂)자 용례와 광자정신
3. 성(聖)과 광(狂)의 관계성
4. 광자에 대한 다양한 이해
|제2장| 유가의 광견관
1. 공자의 광견관
2. 유소의 중용을 기준으로 한 광견관
|제3장| 도가의 광언과 광자정신
1. 노자의 정언약반(正言若反)식 광언
2. 장자의 소요물화(逍遙物化)적 광언과 광자정신
3. 장자의 진아(眞我) 추구와 광자정신
|제4장| 음주문화와 위진의 임탄적 광
1. 음주문화의 긍정과 광기
2. 통음(痛飮)과 예술의 광기
3. 죽림칠현의 방외(方外)적 광기
|제5장| 송대 이학자들의 광자관
1. 광사 증점의 욕기영귀(浴沂咏歸)
2. 주희의 욕기영귀 평가와 광자관
3. 증점의 광자 성향과 심광(心狂)
|제6장| 양명학의 광견관
1. 왕수인의 광자흉차(狂者胸次)의 광자정신
2. 이지의 애광(愛狂)의 광자관
3. 원굉도의 대용(大用)의 신광자관
4. 광선(狂禪), 광과 선의 결합
|제7장| 조선조 유학자들의 광견관
1. 조선조 학문 경향과 광견인식
2. 성(聖)과 광(狂)에 관한 견해와 광견인식
3. 광자보다 견자를 중시하는 사유
|제8장| 조선조 유학자의 욕기영귀 이해
1. 욕기영귀의 요순기상 적용에 관한 문제점
2. 시어에 나타난 욕기영귀
3. 신독(愼獨) 이후의 욕기영귀 추구
<제2부 동양예술에 나타난 광기>
|제9장| 서화 도통론과 광견에서 중행으로
1. 유가 중화미학의 지향점
2. 서예의 도통론(道統論)과 광견관
3. 회화의 정파론과 광견관
|제10장| 광견미학의 문예적 적용
1. 발분의식과 광
2. 도연명의 심원(心遠)적 광자정신
3. 문文의 독자성과 광기
4. 성령설(性靈說)과 문예적 광기
|제11장| 중국회화에 나타난 광견미학
1. 양해의 발묵과 광기화풍
2. 서위 대사의화(大寫意畵)의 광기
3. 화은(畵隱) 예찬의 견자화풍
|제12장| 중국서예에 나타난 광견미학
1. 장욱 광초(狂草)의 표일(飄逸)적 광기
2. 회소의 신선풍 광초(狂草)
3. 정섭의 육분반서(六分半書)와 광괴(狂怪)미학
4. 항목의 중행(中行) 중심주의 광견관
|제13장| 조선조 회화에 나타난 광견미학
1. 이단화풍과 주광(酒狂) 김명국
2. 광초희작(狂草戱作) 화풍과 최북
3. 장승업의 해의반박(解衣般礴)과 광기
4. 임희지의 광탄한 삶과 광기
5. 조희룡의 아법(我法)과 노장철학
6. 이인상의 도광닉영(韜光匿影)과 견자화풍
7. 예찬을 닮고자 한 전기의 견자화풍
|제14장| 조선조 서예의 광견미학
1. 정주이학 중심주의와 조선조의 서풍 경향
2. 양사언의 유선(遊仙)적 광기서풍
3. 유몽인의 자휴광일(恣睢狂佚)의 광자서풍
4. 이광사의 전광기도(顚狂敧倒)적 광기서풍
5. 이삼만의 우졸(愚拙)적 광기서풍
6. 성수침의 남산유연(南山悠然)적 견자서풍
7. 황기로의 은일 지향적 광견서풍
책을 마치며
|보론| 광견정신을 이해하기 위한 자료
참고문헌ㆍ주ㆍ찾아보기
총서 ‘知의회랑’을 기획하며
저자소개
책속에서
광자와 견자는 어떤 관점에서 보느냐에 따라 역사적으로 다양한 이해로 나타났다. 현대적 의미로 해석하자면, 광자는 기운이 진취적이면서 아울러 자유의지의 기운이 강한 자를 의미한다. 견자는 자신이 옳다고 여기는 것을 견지하면서 독립적으로 자신만의 세계를 살고자 하는 독립성이 강한 기운을 가진 자를 의미한다. 독립은 자유의 근간이고 자유는 독립의 확장이기 때문에 두 가지를 분명하게 나눌 수 없다는 점에서 광과 견은 함께 말해지는 경우가 많다.
― ‘제1장 광자정신에 관한 기초적 이해’ 중에서
광으로 변할 수 있는 자질의 기본은 굳센 것이다. 하지만 그 굳센 자질이 구체적인 행동으로 나타났을 때 사회적 차원에서 올바로 기능하려면 먼저 배워야 한다. 유가에서 ‘호학(好學)’의 근본 위상은 여기에 놓인다.
― ‘제2장 유가의 광견관’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