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동양문화읽기
· ISBN : 9791155505328
· 쪽수 : 548쪽
· 출판일 : 2022-02-28
책 소개
목차
서문: 다양한 경계를 넘나드는 ‘열린’ 동아시아를 바라보는 시각_박이진·이영호
1부 길찾기
1장 고전학 연구의 새로운 가능성, 출토자료라는 동아시아 공통 문명의 세계_김경호
1. 출토문헌과 고전학 연구
2. 중국 고전학 연구의 변천
3. 호남 장사의 출토자료 개황(槪況)
4. 마왕퇴백서(馬王堆帛書)의 내용과 새로운 이해
5. 맺음말
2장 이미지의 선입견을 넘어서, 세한삼우(歲寒三友)’와 ‘매죽(梅竹)’의 정치성을 읽다_고연희
1. 이미지의 도덕성에 대한 선입견
2. 중국의 송, 원대, ‘세한삼우’ 활용의 변주
3. 명대 초기, ‘세한삼우도(歲寒三友圖)’의 부각
4. 한국의 수용과 전변(轉變)
5. 이미지의 정치성과 세속성
1부
3장 ‘일(逸)’ 개념의 미학 계보와 미학사적 의의_임태승
1. 미학개념의 계보학적 이해
2. 일(逸)의 어의와 파생 개념
3. 일(逸)의 파생개념 계보
4. 일(逸) 개념의 파생어 계보
5. 일(逸) 개념의 미학사적 의미
4장 동아시아의 소설 개념 다시 생각하기_박소현
1. 소설 개념과 허구성
2. 허구성에 관한 열 가지 명제들 - 소설과 허구성의 관계
3. 허구성 이론을 통해서 본 동아시아 소설의 개념
4. 맺음말
5장 동학에서 보이는 ‘전통’과 새로운 사유-유학과의 관계를 중심으로_배항섭
1. 동학과 동학농민전쟁에 대한 다양한 이해들
2. 동학경전과 유학
3. 최시형의 포교활동과 유학
4. 동학농민전쟁과 유학
5. 유고의 전유를 통한 ‘반란’의 정당화
6장 한문학 연구와 젠더적 시각_김용태
1. 한문학은 남성중심주의의 산물이 아니다
2. ‘한문학’을 소수자의 시각으로 연구할 수 있을까?
3. ‘한국한문학’은 ‘어문생활사’를 포괄할 수 있는가?
4. 맺음말
7장 한국 근대문학사 서술에서 번역(주체)의 자리를
다시 생각한다_손성준
1. ‘이식문학론’의 쟁점에서 탈각된 것
2. 노정된 불균형들: 전통 우위·비교 경시
3. 주변부로 밀려난 번역문학
4. 문학사의 심부(深部)에 ‘번역’을 불러오기
5. 번역과 창작의 한국 근대문학사
8장 동아시아 북방학의 가능성_임우경
1. 잊혀진 연대, 〈폴란드로 간 아이들〉
2. 1989년의 희망과 북방관계연구의 등장
3. ‘탈냉전’ 이데올로기와 탈정치화의 정치
4. ‘냉전’/‘탈냉전’을 해체하기
5. 방법으로서의 동아시아 북방학
9장 디지털 경전주석학의 모색—한국경학자료시스템을 중심으로_이영호·함영대
1. 디지털 경전주석학의 모색
2. 『한국경학자료집성』과 한국경학자료시스템
3. 그 외의 디지털 경학자료
4. 디지털 경학자료의 연구방법론
5. 디지털 경전주석학의 과제
2부 횡단하기
1장 허신이 동아시아 서예 이론에 미친 영향_조민환
1. ‘허신’의 서예사적 위상
2. 관물취상, 법상으로서 서예
3. 후대 서예사에 전개된 ‘서자, 여야’에 대한 사유
4. ‘저어죽백위지서’의 심화적 전개와 문자의 정치·교육적 효용성
5. 선후본말론의 ‘군자무본’ 사유와 바람직한 서예창작 조건
6. 나아가며
2장 동전을 중심으로 본 전근대 동아시아의 화폐—송(宋)과 일본의 사례를 중심으로_고은미
1. 지불수단으로서의 동전
2. 동전과 명목화폐
3. 동전발행과 재정이익
4. 동전과 계수화폐
5. 동전 주조와 군사 재정
3장 호적과 족보의 자료적 특성, 지역공동체 연구의 새로운 지평_손병규
1. 17C~20C 초 단성지역(丹城地域) 합천이씨(陜川李氏)들을
추적하며
2. 20세기 초 ‘培養洞’에 대한 인식의 변화
3. 대한제국기의 ‘가호(家戶)’ 파악방법
4. 호적과 족보 기록의 크로스체킹; 이주와 신분
5. 동성촌락(同姓村落)과 동족집단(同族集團)의 구상
4장 남·북의 ‘민족’ 구상과 아리랑 표상체계_정우택
1. 백두산의 아리랑
2. 평창동계올림픽 개회식 공연 〈아리랑: 시간의 강〉
3. 고난 극복의 민족서사와 〈아리랑〉
4. 대집단체조와 예술공연 〈아리랑〉
5. 남·북의 아리랑 표상과 그 간격
6. 남·북 아리랑 표상과 상상된 ‘민족’의 차이를 넘어
5장 남·북한의 고전문학사 인식과 ‘겨레 문학사’_진재교
1. 분단 체제에서의 문학사 인식
2. 겨레의 문학사, 두 개의 고전문학사
3. 하나의 고전문학사를 위한 인식, ‘겨레 문학사’
4. 겨레 문학사를 위한 장
6장 한중일 3국 협력 제도화 전망과 과제_장무휘
1. 한중일협력의 제도화 452
2. 한중일 협력: 부침 속 발전한 20년 453
3. 3국 협력의 딜레마와 도전과제 461
4. 3국 협력의 가능성과 미래 464
5. 전망과 정책건의 468
7장 편견에 맞서다, 근대 일본 여성 운동가의 삶과 사상_박은영
1. 간노 스가?
2. 『오사카조보』 시대
3. 일본기독교부인교풍회 활동
4. 사회주의의 영향
5. 간노의 기독교 이해
6. 적기사건에서 대역사건까지
7. ‘운동가’ 간노 스가
8장 ‘신-인종주의’ 시대의 차별화 전략, 혼혈·혼종의 인식론적 문제_박이진
1. 탈인종화 시대의 ‘미해결’ 문제
2. 혼혈아의 외부화 프로세스
3. 하프, 또 하나의 일본인론
4. 인종주의의 일본식 계층화
5. ‘인종화’ 전략과 일본적 인종주의의 결합
저자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