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박세당 사변록 연구

박세당 사변록 연구

김형찬, 이영호, 강지은, 김태년, 한재훈, 김용흠, 신창호, 김용재, 정일균, 함영대, 이희재, 부성성 (지은이)
태학사
3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8,800원 -10% 0원
1,600원
27,2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2,400원 -10% 1120원 19,040원 >

책 이미지

박세당 사변록 연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박세당 사변록 연구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철학
· ISBN : 9791190727518
· 쪽수 : 440쪽
· 출판일 : 2020-12-30

책 소개

서계 박세당의 주요 저작인 『사변록』에 대한 최신 연구 성과를 집성한 것이다. 지금까지의 학술계의 연구가 하나의 저작물인 『사변록』에 대한 전체적인 접근이었다면, 이 책에 담긴 논문들은 『사변록』에 수록된 개별 경전 관련 내용에 대한 연구 성과라는 데 큰 차이가 있다.

목차

책머리에 / 박용우

서론(緖論)
사문난적(斯文亂賊) 논란과 사서(四書)의 재해석: 박세당의 『사변록』과 김창협의 비판을 중심으로 / 김형찬

사서부(四書部)
『대학 사변록』에 대한 연구 / 이영호
『대학 사변록』에 대한 새로운 정의: 주자학(朱子學)으로써 주자주(朱子註)를 수정한 저술 / 강지은
『사변록』 저술 동기와 『대학』 본문 재배열 문제에 대한 검토 / 김태년
『대학 사변록』에 나타난 박세당의 ‘격물치지’ 해석과 주희 비판의 성격 / 한재훈
『대학 사변록』에 보이는 박세당의 ‘경세(經世)’ 지향 학문관 / 김용흠
『중용 사변록』의 이해와 학문적 특징 / 신창호
『논어 사변록』에 대한 일고(一考) / 김용재
박세당의 『논어』론: 『논어 사변록』을 중심으로 / 정일균
박세당의 학술 정신과 『맹자 사변록』 / 함영대

삼경부(三經部)
『상서 사변록』의 특징 / 이희재
『시경 사변록』 소고(小考) / 付星星

참고문헌
수록 논문 출처

저자소개

정일균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학과 졸업(문학학사)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대학원 사회학과 졸업(문학석사·문학박사) 주요 저서 『茶山 四書經學 硏究』 『葛川 林薰의 생애와 사상』 『조선시대 충청지역의 예학과 교육』(공저) 『전통 예교와 시민 윤리』(공저) 『인본주의와 지식정보사회』(공저) 『고종시대 공문서 연구』(공저) 『유학이 오늘의 문제에 답을 줄 수 있는가』(공저) 등
펼치기
이희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원광대학교 대학원 철학과(문학석사, 철학박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윤리학(석사) 동국대학교 불교철학(문학사), 현재 광주대학교 교수 현재 광주대학교 호남전통문화연구소 소장, 현재 아시아문화교류재단 이사 현재 한국공자학회 회장 저술 : <한국의 전통의례>, 한국학술정보(주), 2006, <동양문화론>, 형설출판사, 2007 공저 : 「전통사상과 환경」, 경기대학교 출판부, 2004, 「율곡학과 한국유학」, 예문서원, 2007 「초월과 보편의 경계에서」, 동국대학교 출판부, 2008
펼치기
김형찬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철학과 교수이자 민족문화연구원 원장. 고려대 국어국문학과와 철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지곡서당芝谷書堂(태동고전연구소)에서 한학을 공부했으며, 《동아일보》 학술전문기자, (사)미래전략연구원 원장 등을 지냈다. 저서로 『율곡이 묻고 퇴계가 답하다』, 『오래된 꿈』, 『조선유학의 자연철학』(공저), 『논쟁으로 보는 한국철학』(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이영호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문학박사. 동아시아학술원 교수, 한국경학학회 회장. 한국경학 및 중국 주자학파와 양명좌파의 경학을 연구하였다. 근래 유교와 불교의 회통적 사유가 『논어』에서 구현된 양상을 연구하였다. 저서로 『조선중기경학사상연구』, 『동아시아의 논어학』, 역서로 『이탁오의 논어평』, 『일본논어해석학』 등이 있으며, 약 70여 편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펼치기
신창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서양 고전을 현대적 시각으로 해석하며 고전 읽기의 새로운 지평을 여는 대한민국 대표 인문학자. 고려대학교에서 교육학과철학을 전공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사서(四書)의 수기론」으로 석사학위, 고려대 일반대학원에서 「중용(中庸)의 교육철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고려대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한국학중앙연구원 이사로 활동 중이다. 한중철학회와 한국교육철학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논저로는 동양학 및 교육학과 관련한 연구논문 150여 편과 100여 권의 저술이 있다. 한글을 주요 언어로 사용하는 세대의 시대정신을 담은 한글 사서(四書) 시리즈, 『한글 논어』 『한글 맹자』 『한글 대학·중용』을 완간하고, 정조의 78가지 정책 질문을 담은 『정조 책문, 새로운 국가를 묻다』를 비롯해 『진시황평전』 『공자평전』 『노자평전』 『관자』 『주역절중』(전12권), 『칠서상설』(전42권) 등 동양적 사유의 핵심을 담은 저작들을 번역하였다. 인문학 대중화를 위한 활동으로 15년 넘게 매주 일반 시민을 대상으로 ‘동양고전특강’을 이어오고 있다. 현재는 꼬레아아테나고등교육원에서 『사기』를 강독하고, 독서문화연구원 연구소장으로서 청소년 독서교육에도 힘쓰고 있다. 또한 ‘한글 사서’에 이어 ‘한글 삼경(三經)’과 기독교 성경에까지 관심을 넓히며, 고전의 현대적 해석과 확장에 몰두하고 있다.
펼치기
김용흠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학사, 연세대학교 대학원 문학석사․박사. 현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연구교수 주요논저|《조선후기 정치사 연구Ⅰ-인조대 정치론의 분화와 변통론》(2006), 《목민고․목민대방》(역서, 2012), 《조선의 정치에서 무엇을 볼 것인가-탕평론․탕평책․탕평정치》(2016), 《형감》(역서, 2019), 《대백록》(역서, 2020), 《조선후기 실학과 다산 정약용》(2020), 《동남소사》(역서, 2021), 《수문록》 1‧2(역서, 2021‧2022), 《황극편》 1~5(역서, 2022~24), 《연려술속》 1~2(역서, 2025), 〈조선후기 노론 당론서와 당론의 특징-《형감(衡鑑)》을 중심으로〉(2016), 〈《경세유표》를 통해서 본 복지국가의 전통〉(2017)
펼치기
함영대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상국립대학교 한문학과 부교수 저서로 『성호학파의 맹자학』, 『외재 정태진의 생애와 학문』(공저), 『한중일 동양 3국의 혁신유학』(공저) 등이 있고, 논문으로 「수당 이남규의 학문적 지향과 비판의식」, 「연민 이가원의 학문연원과 외재 정태진」, 「회봉 하겸진의 경학」 등이 있다.
펼치기
김용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유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유학과 대학원에서 ‘한국경학(양명학)’으로 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BK21 동아시아 유교문화권 교육연구단에서 박사후연구원을 거쳤으며, 현재는 성신여자대학교 사범대학 한문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논어입문》 《전습록: 실천하는 지식인, 개혁을 외치다》 《강화 양명학 연구서 1, 2, 3》(공저) 《한국유학과 열린 사유》(공저) 등이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는 〈제주석을 통해 본 '논어' 경문의 해석학적 이해〉 〈유교 경전 교육의 필요성과 새로운 교육방법론 모색〉 등이 있다.
펼치기
한재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한국유가철학 박사 연세대학교 연구교수 「퇴계 예학사상 연구」(2012), 『서당공부, 오래된 인문학의 길』(갈라파고스, 2014)
펼치기
김태년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高麗大學校 한문학과 졸업 고려대학교高麗大學校 대학원 철학과 철학박사 인하대학교仁荷大學校 한국학연구소韓國學硏究所 HK교수 역임 한국고전번역원韓國古典飜譯院 선임연구원先任硏究員 역임 퇴계학연구원退溪學硏究院 연구원 역임 논저 및 역서 〈‘正典’ 만들기의 한 사례, ≪율곡별집≫의 편찬과 그에 대한 비판들〉, 〈학안에서 철학사로 : 조선 유학사 서술의 관점과 방식에 대한 검토〉, 〈17-18세기 율곡학파의 사단칠정론〉 등 ≪조선 유학의 개념들≫(공저), ≪자료와 해설, 한국의 철학사상≫(공저), ≪중국 없는 중화≫(공저) ≪외암유고巍巖遺稿≫(공역) 등
펼치기
강지은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립대만대학 국가발전대학원 교수
펼치기
부성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貴州大學 文學與傳媒學院 敎授(귀주대학 문학여전매학원 교수)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68102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