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유교철학/주역 > 유교철학 일반
· ISBN : 9791155505427
· 쪽수 : 648쪽
· 출판일 : 2022-06-30
책 소개
목차
서언 유학 오천 년
제1부 진의 통일과 멸망
제1장 진의 통일과 진 문화의 성격
제1절 진의 통일과 중앙집권제의 확립
제2절 진나라 문화의 성격
제3절 분서갱유로 인한 동이족 문화의 말살
제2장 역사의 꽃샘추위 법칙과 진의 멸망
제1절 역사의 꽃샘추위 법칙
제2절 진의 멸망과 초한의 쟁패
제2부 한나라의 성립과 한대의 유학사상
제1장 한나라 문화의 특징
제2장 한나라 초기 맹자 유학의 미동
제1절 육가의 유학
제2절 가의의 유학
제3절 한나라 정치에 대한 백성들의 반발
제3장 한나라의 유학사상
제1절 동중서의 등장과 삼강의 세뇌정치
제2절 금고문 논쟁
제3절 양웅의 유학사상
제4절 전한의 멸망과 왕망의 신
제5절 광무제의 동한과 금문 고문 경합
제6절 왕충의 유학사상
제7절 한나라 말기의 금고문 논쟁과 순자 철학의 한계
제8절 황건적의 난과 한나라 멸망
제9절 위진남북조시대의 혼란
제3부 수・당시대의 유학
제1장 수나라 문제의 불교 장려와 수나라 건국
제2장 당나라의 건국과 불교문화의 개화
제1절 당나라의 정치이념과 불교의 개화
제2절 유교의 지위 상실과 공영달의 오경정의
제3장 불교의 폐단과 유학의 반성
제1절 불교의 폐단
제2절 유학 측의 반성
제4장 당나라의 멸망과 오대의 혼란기
제1절 당나라의 멸망
제2절 오대십국시대의 혼란과 유학적 분위기
제4부 북송시대의 유학
제1장 조광윤의 송나라 건국과 신유학의 개화
제2장 북송시대 유학의 발전
제1절 구양수의 한유 사상 계승
제2절 주렴계의 이고 사상 계승
제3절 사마광의 역사학과 명분론
제4절 장재의 기 중심적 세계관
제5절 정호의 도가적 유학
제6절 정이천의 인성론과 이기론
제7절 북송의 멸망과 남송으로의 이동
제5부 남송시대와 주자학의 완성
제1장 남송시대의 개막과 시대적 상황
제2장 주자에 의한 주자학의 완성
제1절 주자의 생애와 학문의 길
제2절 북송 유학의 중용적 집대성
제3절 주자학의 내용
제3장 주자의 말년과 주자 이후의 유학
제1절 주자의 탄압과 명예 회복
제2절 육구연의 생애와 철학
제6부 원나라의 출범과 원나라의 유학
제1장 원나라의 건국과 원나라의 정치이념
제2장 허형의 유학사상
제3장 오징의 유학사상
제4장 원나라의 멸망
제7부 명나라의 유학
제1장 주원장의 명나라 건국과 주자학적 정치철학
제1절 명나라의 건국
제2절 주자학적 정치이념의 계승
제2장 왕수인의 유학
제1절 왕수인의 생애와 학문 여정
제2절 왕수인의 공부론
제3절 왕수인의 철학사상
제4절 유불도 삼교의 동이
제5절 양명학의 성격과 한계
제3장 양명의 후학들
제1절 왕기
제2절 전덕홍
제3절 추수익
제4절 섭표
제4장 양명학의 변질
제1절 왕간의 보신철학
제2절 하심은의 욕구 긍정 철학
제3절 이지의 철학사상
제4절 유종주의 철학사상
제5장 명나라 말기의 도덕재건운동과 동림당
제6장 명말 청초의 실학사상과 양명학 비판
제1절 황종희의 철학사상
제2절 고염무의 철학사상
제3절 왕부지의 철학사상
제7장 명나라의 멸망과 중국의 행운
제1절 정신철학의 실종
제2절 청나라에 의한 멸망과 중국의 행운
제8부 청나라의 중국 정복과 실학의 정착
제1장 청나라의 중국 정복과 정치이념
제1절 청나라의 중국 정복
제2절 청나라 조정의 실학 장려
제2장 청나라 학술계의 흐름
제1절 염약거와 호위의 문헌 비판
제2절 대진의 고증학과 주자학 비판
제3절 강유위의 금문경학과 공자교
제4절 신해혁명과 중화민국
제5절 신문화운동과 공맹 유학 비판
제3장 장제스의 국민당 정부
제1절 쑨원의 후계자 장제스
제2절 장제스의 실패와 그 원인
제9부 중화인민공화국의 현재와 미래
제1장 마오쩌둥의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제1절 마오쩌둥의 승리
제2절 공산 중국의 건국
제2장 공산주의 철학과 시장경제의 병행
제3장 공산 중국의 한계
제1절 마르크스 철학의 한계
제2절 중국의 딜레마
제4장 중국 유학의 현재와 미래
제1절 중국의 선택
제2절 순자 철학을 통한 공산주의 체제의 극복
제3절 맹자 철학의 보조적 역할
제4절 집대성을 통한 중용철학의 출현
제5장 세계사의 흐름과 중국적 현실의 괴리
결어 유학의 미래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동아시아 대륙에서 출발한 유학은
중국・한국・일본・베트남이라는 산맥으로 뻗으면서 오천 년을 이어왔다.
유학자의 유학사상은 수많은 산에 서식하고 있는 나무들과 같아서,
단편적인 연구를 통해서는 제 모습을 알기 어렵다.
먼저 각각의 유학사상이 소속되어 있는 유학의 산맥을 조망한 뒤에라야
유학의 산이 보이고, 그 산에 들어 있는 유학의 나무들이 제대로 보인다.
―‘서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