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91155505717
· 쪽수 : 344쪽
· 출판일 : 2022-12-31
책 소개
목차
서문
일러두기
제1장 고려문인의 백거이 수용
1. 백거이 문학의 전파 상황과 위상
2. “天涯流落老潯陽”-전기·일화의 시화
3. “秋雨梧桐葉落時”-“雜集古句”의 유희
4. “樂天曾唱吾追和”-시공초월의 문학교류
5. “閑居覽閱·樂天忘憂”-인식과 평가
6. 소결
제2장 조선문인의 백거이 수용
1. 백거이 인식과 평가
2. 전기 사실과 일화
3. 집구시와 화운시
4. 사회풍유와 향산체
5. 국문문학과 백거이
6. 소결
제3장 조선문인의 白詩 수용과 변용-「何處難忘酒」를 중심으로
1. 백거이 「하처난망주」와 모작의 효시
2. 형식의 수용과 변용
3. 주제의 수용과 변용
4. 여론: 「하처난망주」와 「불여래음주」
5. 소결
제4장 고려문인과 백거이의 창화 연구 서설
1. 창화와 추화
2. 고려시대 창화 풍조와 인식
3. 고려문인의 화백시 개황
4. 고려문인과 백거이의 창화시 복원
5. 소결
제5장 고려문인과 백거이 창화의 제양상과 의미
1. 고려문인과 중국문인의 창화 개황
2. 고려문인과 백거이 창화의 성립 배경
3. 고려문인과 백거이 창화의 용운 양상
4. 고려문인과 백거이 창화의 의미
5. 소결
제6장 고려문인 이규보의 和蘇詩
1. 이규보와 화소시 개황
2. 소식의 창시와 용운 양상
3. 이규보 화소시의 제작배경과 의의
4. 소결
제7장 조선전기 문인과 백거이의 창화 예술
1. 조선문단의 창화 인식
2. 조선전기 화백시 개황
3. 조선전기 화백시의 제작 배경
4. 조선전기 화백시의 시제와 용운
5. 조선전기 화백시의 유형과 의미
6. 소결
참고 문헌
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