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생명과학 > 생물학
· ISBN : 9791155815601
· 쪽수 : 396쪽
· 출판일 : 2022-11-30
책 소개
목차
추천의 글
들어가며
서론 | 더넷 박사의 풀머갈매기
1부 하늘의 오래 사는 동물들
1장 | 비행의 기원
2장 익룡 | 하늘을 난 최초의 척추동물
3장 새 | 가장 오래 산 공룡
4장 박쥐 | 가장 오래 산 포유류
2부 땅의 오래 사는 동물들
5장 땅거북과 투아타라 | 섬의 장수 생물들
6장 개미 | 일생을 여왕으로 살기
7장 두더지쥐, 휴먼피시 | 터널, 동굴에서의 분투
8장 코끼리 | 거대한 동물의 생
9장 영장류 | 뇌 크기와 수명의 관계
3부 바다의 오래 사는 동물들
10장 | 성게, 관벌레, 백합조개
11장 | 물고기와 상어
12장 | 고래 이야기
4부 인간의 장수
13장 | 인간의 수명 이야기
14장 | 므두셀라 동물들의 미래
부록 | 등장하는 동물들의 최대 장수기록
주석
리뷰
책속에서
어째서 어떤 종은 빨리 늙어 빨리 죽고, 겉보기에는 비슷해 보이는 다른 종은 늦게 늙어 늦게 죽을까? 자연은 수정란을 건강한 개구리, 물고기, 흰담비 성체로 바꾸어 놓는 거의 기적 같은 일을 매일 밥 먹듯이 해낸다. 그에 비하면 성체의 건강을 유지하는 일은 훨씬 쉬울 것 같은데 어째서 그건 못하는 걸까? 야생 동물들의 실제 삶에 대해 알게 되면 노화라는 이 신비로운 과정에 대해서도 더 잘 이해할 수 있지 않을까? 들어가며
몇몇 조류는 수명이 아주 길다. 뒤에서 살펴보겠지만 어떤 것은 이 풀머갈매기보다도 수명이 더 길다. 그런데 이들의 긴 수명보다 훨씬 더 놀라운 것은 따로 있다. 이 새들이 고령의 나이가 되어서도 장거리 바다 비행 등 삶을 이어가는 데 필요한 엄청난 에너지 요구량을 계속해서 채울 수 있다는 점이다. 야생의 새들은 어쩐 일인지 생명이 다하는 순간까지 육체적 건강을 유지해나가는 것처럼 보인다. 사람도 그럴 수 있다면 정말 좋지 않을까? 서론|더넷 박사의 풀머갈매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