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문학으로 바라보는 재난의 현대사

문학으로 바라보는 재난의 현대사

(역사 속 타자들)

유인실, 이숙, 최은영, 최정, 김은혜 (지은이)
신아출판사(SINA)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10% 0원
1,000원
17,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문학으로 바라보는 재난의 현대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문학으로 바라보는 재난의 현대사 (역사 속 타자들)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91156052777
· 쪽수 : 327쪽
· 출판일 : 2021-11-25

책 소개

신진 여성문학연구자들이 모여 만든 독립연구집단 ‘지식공동체 지지배배’의 연구 성과이다. 과거 한국 사회가 통과해 온 재난 현장을 소설, 시, 영화, 만화 등 대중 예술의 프리즘으로 통찰하는 연구이다.

목차

책머리에

1부 전쟁과 디아스포라

들어가며
고려인 디아스포라, 떠도는 자들의 이야기·이숙 - 김숨의 《떠도는 땅》
부유하는 경계인의 삶, 재일한인 극작가의 역사 쓰기·최정 - 정의신의 《야끼니꾸 드래곤》
다시 써야 할 근현대사, 잔류일본 여성이라는 표상 너머·김은혜 - 김진의 《숲의 이름》
차마 따라 죽지 못한 여성 ‘미망인(未亡人)’·최은영 - 박남옥의 〈미망인〉과 신상옥의 〈동심초〉

2부 분단 이후, 독재와 산업화

들어가며
문학적 기억으로 추념하는 실향민의 이야기·이숙 - 김원일의 〈도요새에 관한 명상〉, 《마당깊은집》, 〈마음의 감옥〉, 〈비단길〉
호스티스, 도시의 주변부를 떠도는 훼손된 육체·최은영 - 이호선의 〈영자의 전성시대〉
산업화의 그늘, 타자화된 여공들의 주체적 삶의 재현·유인실 - 석정남의 《공장의 불빛》, 장남수의 《빼앗긴 일터》, 송효순의 《서울로 가는 길》
검열의 시대, ‘부랑 고아’와 ‘가난’의 형상화·김은혜 - 황미나의 《우리는 길 잃은 작은 새를 보았다》

3부 사회적 참사와 트라우마

들어가며
피폭과 고통의 과거-미래들, 공포의 트라우마와 그 침묵의 소리들·유인실 - 허수경의 〈원폭수첩〉, 이성교 〈광도(히로시마) 연가〉
서사의 그물망으로 끌어올린 ‘생존’의 시간과 재현의 불/가능성·김은혜 - 한상훈·손영수의 《삼풍》
대구지하철 참사와 유족, 사회적 애도의 부재와 방치된 슬픔·최정 - 배삼식의 《먼 데서 오는 여자》
자본의 음험한 욕망과 생명 존중 안전불감증이 빚은 세월호 참사·유인실 - 강은교 외 《우리 모두가 세월호였다》, 방민호의 《내 고통은 바닷속 한 방울의 공기도 되지 못했네》, 《세월호는 아직도 항해 중이다》

4부 재난 ‘이후’, 은유되는 미래의 타자들

들어가며
감염의 불안과 공포의 현재성·이숙
혐오의 시대를 뚫고 나온 ‘이상한 몸’들·최정
새로운 생명의 출현·최은영

저자소개

유인실 (지은이)    정보 더보기
문학연구자, 시인, 문학평론가 현대문학 시를 전공했으며 전북대학교에서 강의를 하고 있다. 시, 수필, 평론 등을 통해 문단 활동을 하고 있으며 여성 문제, 생태 문제, 노동 문제에 관심이 많다. 저서로 『환상, 실재 그리고 문학』, 『4차 산업혁명 시대 교양 글쓰기』 , 『사랑의 시 여행에서 만나다』(공저)등이 있으며, 시집으로 『신은 나에게 시간을 주었다』, 『바람은 바람으로 온다』 외, 평론집으로 『문학과 커먼즈』, 번역서로 『인지문체론』(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김은혜 (지은이)    정보 더보기
글쓰기 강사, 만화 연구자, 여성주의 교육 활동가 전북 전주에서 다섯 명의 여성 문학박사들이 모여 만든 독립연구단체인 ‘지식공동체 지지배배’와 민주주의와 여성주의의 합일을 도모하는 (유)전북민주시민교육센터 ‘바스락’의 일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글쓰기와 만화, 여성주의를 하나로 잇는 작업에 가장 관심이 많다. 저서로 만화웹툰작가평론선 ��신일숙』(2019)을 썼고, ‘지식공동체 지지배배’의 일원과 『(공감에서 통감으로) 문학으로 잇다��(2020), 『문학으로 바라보는 재난의 현대사 : 역사 속 타자들』(2021) 등을 함께 썼다. ‘바스락’의 일원과 전주시사회혁신센터 성평등 생활연구 「전주시 중학교 학교생활규정에 나타난 젠더레짐」(2019)를 함께 진행하고 썼다.
펼치기
이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문학연구자 현대문학 소설(비평)을 전공했다. 전북대학교와 군산간호대학교에서 강의하고 있다. 논문 「예술가의 사회적 책무: 폭력의 기억과 인간의 본질-한강 『소년이 온다』(2014)」, 「김원일 소설에 나타난 에코페미니즘적 사유」, 「『생의 이면』의 모티프와 서사적 역능-소문과 운명의 문제를 중심으로」, 평론 「자유를 위한 항변의 수사학ꠓ마광수론」등을 발표했다. 저서 『문학의 위무–소설 속 세상 읽기』, 『통감의 시대와 호흡하기–우리 시대의 소설과 드라마』가 있다.
펼치기
최은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영상문학 연구자. 영상이론과 현대소설을 전공하고, 영화와 문학, 영화와 지역, 영화와 대중문화를 연구하고 있다. 독립연구단체 ‘지식공동체 지지배배’의 일원으로 활동하며, 지역·여성·대중문화를 연구하고 강의한다. 현재 전북 지역 영화사를 지역 신문 자료로 정리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펼치기
최은영의 다른 책 >
최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80년 전주에서 태어났다. 희곡의 매력에 빠져 극작과 극문학 연구를 병행하고 있으며, 지식공동체 지지배배의 일원으로도 활동 중이다. 전북대 국문과에 재학 중이던 2002년 데뷔작 '숨길 수 없는 노래'를 발표하며 희곡작가로서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이후 성균관대와 전북대 대학원에서 공연예술학과 한국희곡을 공부하였고, 2009년 전북지역 젊은 연극인들과 함께 T.O.D랑을 창단하여 소리연극, 카페연극 등 관객과 새롭게 소통할 수 있는 연극 작업들을 시도하였다. 주요 작품으로는 모노드라마 '여자, 마흔'(2018), '불꽃처럼 나비처럼'(2013), '그것은 꿈이었을까'(2011), '모두 다 사라진 것은 아닌 달'(2009), '이화만발'(2006), '안녕, 오아시스!'(2006), '부치지 못한 편지'(2005), '이화우 흩날릴 제'(2003) 등이 있으며, 2005년 고마나루 전국향토연극제 희곡상, 2002년 전북연극제 특별상 등을 수상하였다. 지금도 여전히 ‘메이드 인 전주’의 연극을 꿈꾸며, 전주에서의 새로운 연극 작업을 모색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기록에 의하면, 1937년 9월 21일부터 11월 15일까지 고려인들은 소설 속 인물들처럼 가축 싣는 화물열차를 타고 시베리아를 횡단하여 한 달 넘은 수난의 시간을 보내고 카자흐스탄과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등에 강제이주됐다. 당시 연해주에 살았던 3만 6천442가구의 17만 1천781명 중 10만여 명은 카자흐스탄으로, 7만여 명은 우즈베키스탄으로 강제이주당했다고 한다.
이 비극의 역사가 문학적, 예술적으로 재현되어 후대에 고스란히 기억될 수 있다는 사실은 무척이나 다행스럽다. 그러나 동시에 안타깝게도 1991년 소련 해체 후 고국에 돌아온 고려인 후손들이 이방인으로서 한국 사회에서 다시 겪었던 애환을 떠올리지 않을 수 없다. 그렇기에 《떠도는 땅》에서 문학적으로 재현된 고려인 강제이주는 망각하지 않아야 할 역사적 재난이며 아직 끝나지 않은 디아스포라의 역사로서, 현재를 사는 우리들은 기억해야 할 것이다.


역사 속에 존재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과 일본 그 어디에서도 역사의 주체로 기억되지 못한 ‘재일한인’, 역사의 언술 주체로 자리를 점유하지 못했기에 오랜 시간 발화되지 못했던 소수자의 목소리, 공식적인 일국사(一國史)에서 배제되고 소외된 역사 속 타자들의 삶을 한일 양국의 무대 위에 복원하고 있는 정의신의 작업은 그 자체로 디아스포라 작가로서 정체성을 잃지 않기 위한 치열한 실존적, 문학적 응전(應戰)인 동시에 재일한인 후세대로서 새롭게 써나가고 있는 ‘변방의 역사 쓰기’라고도 명명할 수 있을 것이다.
디아스포라의 삶은 먼 곳에 있는 역사가 아니며,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전 지구적인 문제이기도 하다. 그런 의미에서 오랜 차별과 배제, 보이지 않는 그 경계를 넘어 치열하게 써나가고 있는 변방의 역사, 소수자의 문학은 ‘우리’의 사유를, ‘우리’의 존재를 확장시킬 수 있는 귀중한 다성적(多聲的) 목소리인 동시에 누락된 역사의 한 부분임을, 새롭게 써나가야 할 역사의 가능성임을 재인식할 필요가 있다. 오랜 시간 그 어디에서도 환대 받지 못한 유랑의 삶, 여전히 진행형인 흩어진 역사 속 타자들의 삶을 우리는 어떻게 마주하고, ‘잇고’, 사유할 것인가. 여전히 부유하는 디아스포라의 목소리를 우리는 어떻게 듣고, 응답할 것인가. 역사의 변방을 떠돌았던 그들의 말을 “경청하기 위해서, 그리고 그것에 응답하기 위해서 우리는 물을 수 있어야 하고 기꺼이 물어야 한다."


《숲의 이름》에 등장하는 ‘계양리’는 실재하지 않은 허구적 장소다. 이곳은 마을을 헤치는 지네에게 처녀를 제물 삼아 갖다바치며 마을의 안위를 도모했다는 인신공희의 전설이 내려오는 곳이자, 조선 말에는 마을 지주에게 여성을 보쌈해 바치는 일이 빈번히 이뤄졌던 곳이었다. 일제 식민지 시기에는 산채로 사람을 해부해 묻은 생체 실험의 장소로 마을 사람 다수가 이곳에 묻혔고, 전쟁 이후에는 얼굴이 까맣거나 하얀, 버려진 혼혈아들이 이곳의 고아원에서 길러졌다가 화재로 불타 없어졌다. 폭력과 비극의 장소인 이곳을 배경으로 권노식 일가의 만행과 이 만행을 지켜본 윤과 그 만행을 들추는 그의 손자 권영희의 서사가 펼쳐진다. 그리고 고통스러워하는 이들의 기억을 매개로 이들의 엄마인 나나미의 서사도 묻어나온다. 작품에서는 그려지지 않았던, 그녀의 목소리를 들어보기 위해 작품 너머, 역사적 진실을 찾아보는 행위도 작품을 읽는 하나의 방향일 것이다. 미야모토 나나미의 삶이 한국 근현대사의 어떤 지점과 접촉하고 있을지를 어림짐작해보는 것, 그리하여 서사 너머, 이들의 이야기를 나눌 감수성을 키우는 것, 이것 또한 서사적 상상력의 한 쓸모가 될 터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