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단한권] 아시아, 젠트리피케이션을 말하다](/img_thumb2/9791156756743.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91156756743
· 쪽수 : 432쪽
· 출판일 : 2016-12-23
책 소개
목차
서문 아시아 도시에서 서울의 젠트리피케이션을 고민하다 -5
서장 젠트리피케이션과 대안적 도회주의:‘글로벌 도시’에서 ‘아시아 도시’로
들어가며: 아시아 도시는 무엇으로 움직이나 - 28
지구화와 탈식민화를 겪는 아시아 글로벌 도시 - 31
아시아 스타일 젠트리피케이션? - 41
아시아의 대안적 도회주의: 국가주도 개발은 유효한가? - 51
나가며: 다양한 젠트리피케이션의 실험 무대 - 64
1부 베이징, 방콕: 젠트리피케이션과 도시재생, 아시아적 특징의 통치 또는 협치
1장 베이징 중국의 문화창의산업과 스펙터클한 장소만들기
들어가며: 정치자본, 경제자본, 문화자본이 만나다 - 72
도시재생 전략으로 스펙터클한 장소를 만든다 - 76
중국 특유의 공공 · 사영 합작 - 78
첸먼다제: 하늘 아래 첫 번째 거리 - 80
다스랄: 철거와 이전이 남긴 폐허들 - 87
중국의 문화주도 도시재생: 정치적인 것을 배제하다 - 92
후토폴리스: 정부가 무대를 짓고, 디자이너는 쇼에서 노래 부른다 - 101
계급적 · 계몽적 · 유교적 협치 - 107
나가며: 국가가 좁은 골목길까지 바꿀 수 있는가 - 111
2장 방콕 라따나꼬신 국가가 젠트리피케이션을 후원하다
들어가며: 위태로운 태국 정부의 선택지 - 118
라따나꼬신: 태국 정치 · 행정 중심지 - 121
랏차담는 종합개발계획: 국가 후원의 젠트리피케이션 - 131
랏차담는 가를 둘러싼 사회적 기억과 권력 - 137
정치 이데올로기 투쟁: 민주주의를 폄하하고 왕정을 강화하다 - 138
나가며: 젠트리피케이션을 명목으로 벌이는 권력투쟁 - 149
2부 도쿄, 타이베이, 하노이: 문화와 창의성을 통한 장소만들기, 장소없애기 또는 다시 만들기
3장 도쿄 무코지마 탈공업화 이후 도쿄 도시공간 재편과 마을만들기 운동
들어가며: 도쿄 구도심에서 일어난 마을만들기 운동 - 156
도쿄의 도시공간 재편과 젠트리피케이션 - 161
무코지마 마을만들기: 다양한 사람들, 다양한 욕망 - 167
매력적인 옛 공장지대를 찾는 사람들 - 177
나가며: 현재 진행 중인 문화주도 젠트리피케이션 - 193
4장 타이베이 스다 공간을 둘러싼 주민의 대립과 문화정치
들어가며: 2007~2015, 스다를 둘러싼 논란과 투쟁 - 198
문화를 최전방에 배치하다 - 203
도시연구자의 부분적 시각, 주민과 상인이라는 이분법을 넘어 - 206
주거가 중요한 주민과 문화가 중요한 주민 - 209
스다 인디문화의 허브 언더월드와 인디 커뮤니티의 전치 - 216
스다 공간의 중심, 대학이 비판받는 이유 - 222
나가며: 젠트리피케이션, 도시운동, 그리고 지역공동체 - 229
5장 하노이 성당지역 포스트사회주의 사회에서 일어난 인민주도 도시재생
들어가며: 거대한 도시변화 속에서 일어난 인민주도 도시재생 - 236
한 발 늦은 국가주도 도시재생 - 245
성당지역: 하노이 시민이 사랑하는 독특한 열린 공간 - 251
꽁 까페: 사회주의 이데올로기를 활용한 핫 플레이스 - 263
리 꾸웍 스 예술구: 표현의 자유를 협상하다 - 266
나가며: 인민주도 재생은 이어질 수 있을까 - 271
3부 선전과 리수이, 도쿄, 자카르타: 아시아적인 장소들, 유토피아 또는 디스토피아
6장 선전과 리수이 끊임없이 이동하는 예술가들과 불안정한 노동조건
들어가며: 도시는 왜 문화에 집착하는가 - 278
도덕적 시민권을 도입해 신자유주의가 지배하는 영토를 만들다 - 280
불안정한 주체: 생존을 위해 멀티태스킹을 한다 - 283
중국의 문화·창조 공동체에서 나타난 불안정한 노동조건 - 289
중국에서 자격 있는 문화·창조 공동체의 영토화 - 294
다펀 유화촌: 승자만이 살아남는 세계 최대 상업미술 시장 - 295
다강터우 마을: 예술을 앞세워 고된 삶을 강요당하다 - 302
나가며: 도시와 제한적 복지 - 312
7장 도쿄 코리아타운 신오쿠보 소수민족 문화의 상업화와 정치적 반응
들어가며: 글로벌 도시 도쿄의 다양한 얼굴 - 316
도쿄와 신오쿠보의 젠트리피케이션 - 318
신오쿠보란 무엇인가: 위치와 약사 - 326
신주쿠의 다른 얼굴, 다문화타운 신오쿠보 - 331
신오쿠보 한류, 그리고 잊힌 식민주의 역사 - 336
신자유주의적 다문화주의: 상품화되는 문화만 인정한다 - 339
혐한시위에 맞선 반인종주의 집회 - 342
코리아타운에서 트랜스아시아타운으로 - 345
나가며: 신오쿠보의 미래를 그리는 세 시나리오 - 346
8장 자카르타 젠트리피케이션의 가장자리에서 공존하는 슈퍼블록과 빈민주거지 캄풍
들어가며: 자카르타에서 가장 열악한 곳 - 352
식민지배 시기에 젠트리피케이션을 겪다 - 356
탈식민적 도시화: 부동산 개발과 부유한 이웃 - 358
멘텡아타스 캄풍: 점점 좁아지는 하층민 주거지 - 364
슈퍼블록 라수나 에피센트럼이 캄풍을 부정하는 방법 - 368
캄풍과 슈퍼블록의 상호의존성: 돈, 물건, 사람이 오간다 - 376
나가며: 담장은 생존을 막을 수 없다 - 382
후기 아시아 도시라는 우툴두툴한 공간 - 384
참고문헌 - 3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