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단한권] 아시아, 젠트리피케이션을 말하다

[단한권] 아시아, 젠트리피케이션을 말하다

김선미, 모리 요시타카, 스테파니 누그로호, 스테파니 헤이르트만, 에바 차이, 예룬 흐루너베헌-라우, 왕쥔, 차뜨리 쁘라낏논타깐 (지은이), 신현준, 이기웅 (엮은이), 김지윤, 김필호, 양재영 (옮긴이), 성공회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기획)
푸른숲
3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8,000원 -0% 0원
1,900원
36,1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단한권] 아시아, 젠트리피케이션을 말하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단한권] 아시아, 젠트리피케이션을 말하다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91156756743
· 쪽수 : 432쪽
· 출판일 : 2016-12-23

책 소개

아시아 학자 8인은 한국, 일본, 대만, 네덜란드, 홍콩, 태국 출신으로 각 도시에 거주하는 주민이자 관찰자의 렌즈를 들고 다양한 젠트리피케이션 현장을 파고든다. 아시아 도시를 흔히 관광지아나 투자 가치가 있는 곳쯤으로 인식했던 우리에게 사람들의 다양한 시도와 삶을 생생히 비춘다.

목차

서문 아시아 도시에서 서울의 젠트리피케이션을 고민하다 -5

서장 젠트리피케이션과 대안적 도회주의:‘글로벌 도시’에서 ‘아시아 도시’로
들어가며: 아시아 도시는 무엇으로 움직이나 - 28
지구화와 탈식민화를 겪는 아시아 글로벌 도시 - 31
아시아 스타일 젠트리피케이션? - 41
아시아의 대안적 도회주의: 국가주도 개발은 유효한가? - 51
나가며: 다양한 젠트리피케이션의 실험 무대 - 64

1부 베이징, 방콕: 젠트리피케이션과 도시재생, 아시아적 특징의 통치 또는 협치
1장 베이징 중국의 문화창의산업과 스펙터클한 장소만들기
들어가며: 정치자본, 경제자본, 문화자본이 만나다 - 72
도시재생 전략으로 스펙터클한 장소를 만든다 - 76
중국 특유의 공공 · 사영 합작 - 78
첸먼다제: 하늘 아래 첫 번째 거리 - 80
다스랄: 철거와 이전이 남긴 폐허들 - 87
중국의 문화주도 도시재생: 정치적인 것을 배제하다 - 92
후토폴리스: 정부가 무대를 짓고, 디자이너는 쇼에서 노래 부른다 - 101
계급적 · 계몽적 · 유교적 협치 - 107
나가며: 국가가 좁은 골목길까지 바꿀 수 있는가 - 111

2장 방콕 라따나꼬신 국가가 젠트리피케이션을 후원하다
들어가며: 위태로운 태국 정부의 선택지 - 118
라따나꼬신: 태국 정치 · 행정 중심지 - 121
랏차담는 종합개발계획: 국가 후원의 젠트리피케이션 - 131
랏차담는 가를 둘러싼 사회적 기억과 권력 - 137
정치 이데올로기 투쟁: 민주주의를 폄하하고 왕정을 강화하다 - 138
나가며: 젠트리피케이션을 명목으로 벌이는 권력투쟁 - 149

2부 도쿄, 타이베이, 하노이: 문화와 창의성을 통한 장소만들기, 장소없애기 또는 다시 만들기
3장 도쿄 무코지마 탈공업화 이후 도쿄 도시공간 재편과 마을만들기 운동
들어가며: 도쿄 구도심에서 일어난 마을만들기 운동 - 156
도쿄의 도시공간 재편과 젠트리피케이션 - 161
무코지마 마을만들기: 다양한 사람들, 다양한 욕망 - 167
매력적인 옛 공장지대를 찾는 사람들 - 177
나가며: 현재 진행 중인 문화주도 젠트리피케이션 - 193

4장 타이베이 스다 공간을 둘러싼 주민의 대립과 문화정치
들어가며: 2007~2015, 스다를 둘러싼 논란과 투쟁 - 198
문화를 최전방에 배치하다 - 203
도시연구자의 부분적 시각, 주민과 상인이라는 이분법을 넘어 - 206
주거가 중요한 주민과 문화가 중요한 주민 - 209
스다 인디문화의 허브 언더월드와 인디 커뮤니티의 전치 - 216
스다 공간의 중심, 대학이 비판받는 이유 - 222
나가며: 젠트리피케이션, 도시운동, 그리고 지역공동체 - 229

5장 하노이 성당지역 포스트사회주의 사회에서 일어난 인민주도 도시재생
들어가며: 거대한 도시변화 속에서 일어난 인민주도 도시재생 - 236
한 발 늦은 국가주도 도시재생 - 245
성당지역: 하노이 시민이 사랑하는 독특한 열린 공간 - 251
꽁 까페: 사회주의 이데올로기를 활용한 핫 플레이스 - 263
리 꾸웍 스 예술구: 표현의 자유를 협상하다 - 266
나가며: 인민주도 재생은 이어질 수 있을까 - 271

3부 선전과 리수이, 도쿄, 자카르타: 아시아적인 장소들, 유토피아 또는 디스토피아
6장 선전과 리수이 끊임없이 이동하는 예술가들과 불안정한 노동조건
들어가며: 도시는 왜 문화에 집착하는가 - 278
도덕적 시민권을 도입해 신자유주의가 지배하는 영토를 만들다 - 280
불안정한 주체: 생존을 위해 멀티태스킹을 한다 - 283
중국의 문화·창조 공동체에서 나타난 불안정한 노동조건 - 289
중국에서 자격 있는 문화·창조 공동체의 영토화 - 294
다펀 유화촌: 승자만이 살아남는 세계 최대 상업미술 시장 - 295
다강터우 마을: 예술을 앞세워 고된 삶을 강요당하다 - 302
나가며: 도시와 제한적 복지 - 312

7장 도쿄 코리아타운 신오쿠보 소수민족 문화의 상업화와 정치적 반응
들어가며: 글로벌 도시 도쿄의 다양한 얼굴 - 316
도쿄와 신오쿠보의 젠트리피케이션 - 318
신오쿠보란 무엇인가: 위치와 약사 - 326
신주쿠의 다른 얼굴, 다문화타운 신오쿠보 - 331
신오쿠보 한류, 그리고 잊힌 식민주의 역사 - 336
신자유주의적 다문화주의: 상품화되는 문화만 인정한다 - 339
혐한시위에 맞선 반인종주의 집회 - 342
코리아타운에서 트랜스아시아타운으로 - 345
나가며: 신오쿠보의 미래를 그리는 세 시나리오 - 346

8장 자카르타 젠트리피케이션의 가장자리에서 공존하는 슈퍼블록과 빈민주거지 캄풍
들어가며: 자카르타에서 가장 열악한 곳 - 352
식민지배 시기에 젠트리피케이션을 겪다 - 356
탈식민적 도시화: 부동산 개발과 부유한 이웃 - 358
멘텡아타스 캄풍: 점점 좁아지는 하층민 주거지 - 364
슈퍼블록 라수나 에피센트럼이 캄풍을 부정하는 방법 - 368
캄풍과 슈퍼블록의 상호의존성: 돈, 물건, 사람이 오간다 - 376
나가며: 담장은 생존을 막을 수 없다 - 382

후기 아시아 도시라는 우툴두툴한 공간 - 384
참고문헌 - 392

저자소개

김선미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어과를 졸업하고 일본 히토츠바시대학교에서 사회학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연구주제는 현대 일본 사회의 도시문제와 지역사회변동이다. 주요 논문으로 〈현대 아트 프로젝트와 도쿄 시타마치의 지역 커뮤니티-젠트리피케이션인가, 지역문화의 다원화인가〉, 공저로 Global Cities, Local Streets: Everyday Diversity from New York to Shanghai, 《탈원전을 지향하는 시민운동-3.11 사회운동의 사회학》이 있다.
펼치기
모리 요시타카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도쿄예술대학교 사회학 및 문화연구 조교수. 포스트모던 문화, 미디어, 예술, 도시와 초국가주의가 주요 관심 분야이다. 저서 및 논문으로는 “Culture=Politics: The Emergence of New Cultural Forms of Protest in the age of Freeter”, “The Pitfall Facing the Cool Japan Project: The Transnational Development of the Anime Industry under the Condition of Post-Fordism”, 《ストリ?トの思想:?換期としての1990年代》가 있다.
펼치기
스테파니 누그로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브루나이 다루쌀람대학교 아시아학연구소 박사 후 과정. 싱가포르 국립대학교 사회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다민족 · 다인종인 동남아시아 국가들에서 어떻게 국가, 민족성, 종교 등이 하나의 집단적 정체성으로 구성되는지가 주요 관심사이다.
펼치기
스테파니 헤이르트만 (지은이)    정보 더보기
몬트리올 INRS대학교 박사 후 과정. 네덜란드 아인트호벤대학교에서 하노이 주거문화 변화를 연구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스위스 뇌사텔대학교와 INRS 연구자로, 유엔 인간주거계획 컨설턴트로 활동하고 있다. 하노이에서 살면서 글로벌화에 따라 변화하는 도시문화를 연구해왔다. 하노이 공공 공간 사용과 청소년 문화의 변화가 주요 관심 분야이다.
펼치기
에바 차이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립대만사범대학교 매스커뮤니케이션 대학원 부교수. 아이오와대학교에서 매스커뮤니케이션 박사학위를 받았다. 텔레비전 문화, 초국적 문화유통, 문화산업, 젠더, 청년문화, 스타덤, 대중음악이 주요 관심 분야이다.
펼치기
예룬 흐루너베헌-라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네덜란드 레이든대학교 중국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베이징에서 중국의 음악산업과 도시문화에 대해 글 쓰고 강의한다. 주요 논문으로는 “The Performance of Identity in Chinese Popular Music”, “Faye Wong: Stardom in Chinese popular music”, “Steel and Strawberries: How Chinese Rock Became State-Sponsored”가 있다.
펼치기
왕쥔 (지은이)    정보 더보기
홍콩 성시대학교 공공정책학과 조교수. 젠트리피케이션과 문화주도형 도시재생이 주요 관심 분야이다. 중국 문화도시 형성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으며 편저로 Making Cultural Cities in Asia: Mobility, Assemblage, and the Politics of Aspirational Urbanism이 있다.
펼치기
차뜨리 쁘라낏논타깐 (지은이)    정보 더보기
태국 실빠꼰대학교 건축학과 부교수. 건축사, 특히 정치가 건축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연구해왔다. 주요 저서로 The Art and Architecture of the People’s Party: Political Symbols in Ideological Aspect가 있다. 태국 예술의 역사학, 현대 태국 건축양식의 정치학, 구舊 방콕의 역사적 도시경관의 보전과 정치와의 관계 등이 주요 관심 분야이다.
펼치기
신현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공회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HK교수. 서울대학교 경제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싱가포르국립대학교 아시아연구소 방문연구원, 레이든대학교 방문교수를 역임했다. 국제 저널 《Inter-Asia Cultural Studies》의 편집위원, 《Popular Music》의 국제고문위원이다. 지은 책으로 《빽판 키드의 추억》, 《한국 팝의 고고학(전 4권)》(공저), 《글로벌, 로컬, 한국의 음악산업》 등이 있다.
펼치기
이기웅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공회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연구교수이다. 영국 런던 정경 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고 대중문화와 도시 문화에 관심을 갖고 연구와 저술 활동을 진행해 왔다. 주요 저서로는 『서울, 젠트리피케이션을 말하다』, 『아시아, 젠트리피케이션을 말하다』, 『변방의 사운드: 모더니티와 아시안 팝의 전개 1960~2000』(공저) 등이 있고 연구 논문으로는 「젠트리피케이션 효과: 홍대지역 문화유민의 흐름과 대안적 장소의 형성」, 「서울의 젠트리피케이션과 대안적 도시운동의 부상」, 「포스트지구화와 한류 어셈블리지」가 있다.
펼치기
이기웅의 다른 책 >
양재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공회대학교 신문방송학과와 상명대학교 교양학부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서울대학교 인류학과와 동대학원(석사과정) 뉴욕시립대학교 인류학과 대학원(박사과정)에서 수학했다. 대중음악과 문화, 그리고 대중문화 기획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 《힙합 커넥션?비트, 라임 그리고 문화》, 《서울, 젠트리피케이션을 말하다》(공저), Made in Korea: Studies in Popular Music (공저)이 있다.
펼치기
김지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공회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공동연구원. 연세대학교 문화학과에서 문화학 석사학위를, 싱가포르 국립대학교 사회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다문화주의와 도시, 고령화와 도시, 아시아 도시 간 비교 연구가 주요 관심 분야이다. 대표 논문으로 “Cultural entrepreneurs and urban regeneration in Itaewon, Seoul”이, 대표 저서로 《서울, 젠트리피케이션을 말하다》(공저)가 있다.
펼치기
김필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학교 동아시아학과 조교수. 위스콘신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은 후 한 국과 동아시아의 정치경제와 대중문화를 연구해왔다. 편저로 The South Korean Development Experience: Beyond Aid, 《서울, 젠트리피케이션 을 말하다》(공저)가 있다.
펼치기
성공회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기획)    정보 더보기
성공회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는 2003년 설립된 이래 비판적 문화정치학의 정립을 통해 학문과 현실에 개입하며 새로운 아시아의 지평을 열어가는 아제(Inter-Asia)적 지식·문화 생산의 거점으로서 연구에 힘써 왔다. 이론적·현실적 차원에서 ‘문화로서의 아시아’를 재구성함으로써 21세기 수평적 관계성이 구현되는 아시아상을 창출하는 데 주력하고 있으며, 그동안 문화 연구와 지역 연구를 생산적으로 결합하고 아시아의 문화적 구성 과정을 재조명하기 위해 많은 사업을 벌여 왔다. 이 책을 비롯한 성공회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교양총서는 인문한국(HK) 사업으로 2007년부터 ‘문화로서의 아시아: 사상·제도·일상에서 아시아를 재구성하기’라는 어젠다로 기획·연구한 성과의 한 결실이다.
펼치기

책속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