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안티 젠트리피케이션 무엇을 할 것인가?

안티 젠트리피케이션 무엇을 할 것인가?

신현방, 미류, 최소연, 이채관, 신현준, 달여리, 정용택, 김상철, 이강훈, 이영범, 조성찬, 전은호 (지은이), 신현방 (엮은이)
동녘
1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7,100원 -10% 0원
950원
16,1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안티 젠트리피케이션 무엇을 할 것인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안티 젠트리피케이션 무엇을 할 것인가?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문제 > 사회문제 일반
· ISBN : 9788972979029
· 쪽수 : 359쪽
· 출판일 : 2017-11-13

책 소개

젠트리피케이션에 대한 폐해가 날로 증가하는 상황에서 이에 어떻게 효과적으로 저항할 것인가? 젠트리피케이션에 저항하기 위해서는 자본의 성격 이해, 젠트리피케이션을 둘러싼 사회관계 이해, 지배 이데올로기에 대한 대항 이데올로기의 생산 등이 필요하다.

목차

머리말

1장 안티 젠트리피케이션, 무엇을 할 것인가? _ 신현방
2장 문제는 강제퇴거: 인간의 존엄을 박탈하는 폭력 _미류
3장 재美난학교: 재난 현장이 학교입니다 _ 최소연
4장 영욕의 도시, 홍대 앞: 지킬 것인가, 불태울 것인가 _ 이채관
5장 미술생산자, 신자유주의의 ‘미생’?: 잘려나가는 서울에서 예술가와 젠트리피케이션 _ 신현준
6장 젠트리피케이션, 그 보통의 장면 _ 달여리
7장 2009~2017 서울 젠트리피케이션 _ 정용택
8장 왜 정부의 임차상인 보호정책은 실패하는가: 투기를 부추기는 임차상인 대책 평가 _ 김상철
9장 젠트리피케이션과 법제도의 개선 방향 _ 이강훈
10장 지방도시, 소멸과 축소 그리고 재생의 갈림길 _ 이영범
11장 내쫓김을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도전: 토지가치 공유형 지역자산화 _ 조성찬
12장 젠트리피케이션의 대안: 토지의 본질 회복하기 _ 전은호


저자 소개

저자소개

이채관 (지은이)    정보 더보기
문화연구를 전공했다. 숙명여자대학교 정책대학원 문화행정 겸임교수이고 다사리학교 등에서 학생을 가르치고 있으며, 사단법인 와우책문화예술센터와 주식회사 시월의 대표이기도 하다. 문화기획이라는 큰 화두로 도시재생과 문화 예술, 그리고 사회혁신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동하고 있다. 서울와우북페스티벌을 기획했을 뿐 아니라 다양한 전시, 공연, 공공프로젝트 등을 수행했다. 머무르지 않고 옮겨가는 삶에 관심 있으며, ‘잡놈’의 철학을 믿고 살아가고 있다. 대표적인 저서로는 《도시기획자들》(공저), 《홍대앞으로 와》(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이영범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에서 건축을 공부하고 영국 런던 건축대학 Architectural Association School of Architecture의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경기대학교 건축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건축 분야 국책연구원인 건축공간연구원(auri)의 원장을 맡고 있다. 2002년부터 시민단체인 도시연대에서 커뮤니티디자인센터장을 맡아 참여디자인에 기반한 마을만들기 활동을 하였고 문화도시재생, 공동체 디자인, 공유공간과 시민자산화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도시의 공공성과 사회적 가치에 관심을 두고 연구와 현장을 넘나들며 활동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도시의 죽음을 기억하라』, 『뉴욕런던서울의 도시재생이야기』, 『우리 마을만들기』, 『건축과 도시 공공성으로 읽다』, 『당연하지 않은 도시재생』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정용택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도시 문제에 대한 다큐를 만들고 글을 쓴다. 제천국제영화제에서 <뉴타운 컬쳐 파티>, 전주국제영화제에서 <파티51>을 상영했다. <당신의 머리 위에, 그들의 발아래>, <박원순 개인전> 전시에 참여했다. ‘예술가, 젠트리피케이션 그리고 도시재생’ 국제심포지엄과 ‘도시플레이어 포럼’에서 젠트리피케이션을 주제로 발제했다. 저서로 전자책 『로컬 젠트리파이어 전성시대』, 『로컬 부동산 전성시대』가 있으며, 공저로 『안티 젠트리피케이션 무엇을 할 것인가?』가 있다.
펼치기
조성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공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에서 도시 및 지역계획학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중국인민대학교 토지관리학과에서 “中國城市土地年租制及其對朝鮮經濟特區的適用模型?究(중국 도시 토지연조제의 조선 경제특구 적용모델 연구)”(2010)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2010년부터 토지+자유연구소에서 활동하다가 2019년에 새로 출범한 하나누리 동북아연구원을 맡아서 일하고 있다. 하나누리 동북아연구원은 ‘동북아의 평화체제와 상생발전 모델 연구’를 목표로 (사)하나누리 부설로 설립되었다. 서울대학교 아시아도시사회센터 공동연구원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주요 연구로 『중국의 토지개혁 경험』(공저), 『상생도시』, 「북한 경제특구 공공토지임대제 모델 연구」 등이 있다. 2017년 제2회 김기원 학술상을 수상했다. 주요 연구분야는 공공토지임대제, 중국과 북한의 토지정책, 북한 지역발전 전략이다.
펼치기
전은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토지+자유연구소에서 시민자산화지원센터장을 맡고 있으며 국토연구원과 서울시사회적경제지원센터, 서울협치추진단의 경험을 바탕으로 도시정책과 사회적경제의 연계, 토지가치공유모델, 지불가능주택, 공동체토지신탁, 시민자산화와 관련한 강연과 현장 컨설팅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주요 논저로는 《전환의 키워드 회복력》(공역)이 있으며, 《공익법총서》(제4권), 《사회적경제법 연구편》을 공동으로 쓰고 있다.
펼치기
최소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술가. 예술감독. 현재는 제주 선흘 마을 작업실에서 ‘드로잉 스튜디오’를 운영하고 있다. ‘그림 그리는 인류’를 만나는 시간을 초콜릿만큼 좋아한다. 현장 연구를 통해 다양한 언어로 문화를 소개하며 워크숍, 전시, 포럼, 콘퍼런스, 예술가 레지던시 등을 설계하고 진행해 왔다. 2006년 문화예술위원회가 수여하는 ‘올해의 예술상’을 받았다. 대표작으로 〈접는미술관〉 〈명륜동에서 찾다〉 〈테이크아웃드로잉〉이 있다. 저서로 《난센여권》이 있으며, 《안티 젠트리피케이션》 《드로잉 괴물 정령》 《한남포럼》 등을 공동 집필했다. 2021년 제주 선흘 마을에서 진행한 드로잉 프로젝트 〈할머니의 예술 창고〉를 계기로 마을 할머니들에게 그림을 권하고 가르치게 되었다. 이렇게 시작된 그림 수업은 곧 마음과 우정, 삶의 희로애락을 나누는 환대와 다정의 공동체가 되었다.
펼치기
김상철 (정리)    정보 더보기
도시정치 활동가. 민주노동당, 진보신당, 노동당을 거치면서 오랫동안 정당의 정책담당자로 활동했다. 정당의 정책담당자가 지녀야 하는 덕목으로 모든 현안에 대한 해석 능력과 관점의 일관성이 중요하다는 것을 경험으로 배웠다. 이런 배움을 바탕으로 2014년 지방선거 시기에 《무상교통》과 《모두를 위한 마을은 없다》(공저)를 냈다. 그 뒤 한국 사회의 다양한 커먼즈운동 중 하나인 경의선공유지에서 소유하지 않더라도 필요에 따라 공간을 점유할 수 있으며, 그것이 배타성이 아니라 공통성을 통해서 더 많은 효용을 만들어낼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 경험은 동료들과 함께한 《커먼즈의 도전》, 《안녕, 경의성공유지》 출판과 커먼즈네트워크라는 커먼즈 활동가들의 느슨한 연대모임 참여로 이어졌다. 예술 노동을 통해서 예술인복지의 제도화를 꾀한 예술인소셜유니온 창립에 참여했고, 시민 주도형 재정연구를 전문적으로 하자는 의기투합 끝에 나라살림연구소를 함께 만들었다. 현재는 공공교통네트워크 정책위원장으로 활동 중이다.
펼치기
김상철의 다른 책 >
신현방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영국 런던정치경제대학교(London School of Economics and Political Science) 지리환경학과 부교수이며, 경희대학교 에미넌트스콜라(Eminent Scholar)이다. 도시학, 도시지리 전공이며, 동아시아 도시 경험연구를 바탕으로 도시화의 정치경제학, 젠트리피케이션, 메가이벤트, 철거, 도시권 등을 주제로 활발한 저술 활동을 하고 있다. 대표 논저로는 《Global Gentrifications: Uneven Development and Displacement(공편)》, 《Planetary Gentrification(공저)》 등이 있다. 현재 단독 저서 《Making China Urban》, 공동 편서《Contesting Urban Space in East Asia》 및 《The Political Economy of Mega Projects in Asia》를 저술 중이다.
펼치기
미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인권운동사랑방 상임활동가. 주거권 관련 활동을 하며 홈리스, 개발, 강제퇴거, 도시 등에 대해 고민하게 되었고, 점차 주제를 옮겨가면서도 문제의식을 이어가고 있다. 지금은 4.16인권선언 및 세월호 참사 진상규명, 차별금지법 제정 등을 위한 활동에 힘 쏟고 있다. 주거권운동네트워크가 발행하던 웹진 《진보복덕방》의 글을 엮어 《집은 인권이다》를 냈고, 《수신확인, 차별이 내게로 왔다》, 《밀양을 살다》 등의 기록 활동에도 참여했다.
펼치기
달여리 (지은이)    정보 더보기
기록자 달여리. 사진이나 영상, 글이나 그림으로 다양하게 삶의 기록을 이어오고 있습니다. 평범한 시민이자 마포구 주민이기도 합니다. 내가 사는 곳, 매일을 영위하는 곳인 동네야말로 이 세계에 대한 고민의 시작이자 중심이라는 생각으로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을 마주합니다. 현재는 안티-젠트리피케이션 캠페인 활동을 다양한 생산자들과 함께 진행하고 있습니다.
펼치기
이강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미국 미네소타대학교에서 법학대학원 LLM 과정을 수료하였다. 2001년 사법연수원을 수료하였고 법무법인 덕수의 구성원 변호사로 재직 중이다. 현재 참여연대 민생희망본부 부본부장, 민주화를 위한 변호사 모임의 민생위원회 부위원장, 대한변호사협회 법제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2015년 주거기본법 제정 과정에 깊숙이 관여하였고, 최근까지 주거단체 및 활동가들의 네트워크 조직인 주거권네트워크에서 주택임대차보호법 개정과 공공임대주택 확충 등 서민들의 주거권 보장을 위한 활동을 하고 있다.
펼치기
신현방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영국 런던정치경제대학교(London School of Economics and Political Science) 지리환경학과 부교수이며, 경희대학교 에미넌트스콜라(Eminent Scholar)이다. 도시학, 도시지리 전공이며, 동아시아 도시 경험연구를 바탕으로 도시화의 정치경제학, 젠트리피케이션, 메가이벤트, 철거, 도시권 등을 주제로 활발한 저술 활동을 하고 있다. 대표 논저로는 《Global Gentrifications: Uneven Development and Displacement(공편)》, 《Planetary Gentrification(공저)》 등이 있다. 현재 단독 저서 《Making China Urban》, 공동 편서《Contesting Urban Space in East Asia》 및 《The Political Economy of Mega Projects in Asia》를 저술 중이다.
펼치기

책속에서

이 책은 학술 논문집이 아니라, 실천적 활동을 통해 축적된 경험과 고민을 모은 것이다. 각 장의 개별 저자들은 젠트리피케이션이라는 도시형 ‘재난’의 당사자이거나, 연대 활동과 제도 개선을 위해 발 벗고 나섰던 이들이거나, 지역운동 역량 강화를 위한 자문과 조직 활동을 활발히 펼쳐왔던 이들이다.


젠트리피케이션이 주요 키워드로 부상한 게 최근 몇 년 사이지만, 한국의 도시화 과정에서 지난 몇 십 년 동안 무수히 많이 수행된 주택재개발 및 도심재정비의 역사가 바로 젠트리피케이션의 역사라고 할 수 있다. 토지 용도의 변경, 고밀도 개발을 통해 부동산 이익을 추구하고, 그 과정에서 기존 토지 이용자였던 수많은 저소득층 자가 소유주, 주거세입자, 상가임차인, 노점상 등이 개발 이후 재수용되지 못하고 쫓겨난 과정은 젠트리피케이션 그 자체이다. 단지 한국에서 이것이 재개발이나 재정비라고 하는, 마치 객관적인 도시 변화를 서술하는 듯한 언어로 표현되었을 따름이다.


간혹 ‘한국형’ 젠트리피케이션이라 해서 한국에서는 젠트리피케이션이 서구 도시처럼 주민들을 중심으로 발생하지 않고 임차 상인들을 대상으로 발생한다고 하는데, 이는 (...) 젠트리피케이션을 좁은 의미에서만 정의한 결론이라고 할 수 있다. 지난 1980~90년대에 재개발이라는 이름으로 신축 젠트리피케이션이 기승을 부릴 때 상업 공간의 젠트리피케이션이 없진 않았겠지만, 당시 상업적 젠트리피케이션은 신축 젠트리피케이션에 종속된 형태였다고 이해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2010년대 상업적 젠트리피케이션의 기승은 (...) 뉴타운 사업의 실패와 함께 신축 젠트리피케이션이 힘을 잃은 것에서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