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평화 오디세이

평화 오디세이

(한국 대표 지성 32인 압록에서 두만까지 북중 접경지대 1,400km를 가다)

고은, 김훈, 이인호, 정운찬 (지은이)
메디치미디어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평화 오디세이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평화 오디세이 (한국 대표 지성 32인 압록에서 두만까지 북중 접경지대 1,400km를 가다)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통일/북한관계 > 통일문제
· ISBN : 9791157060528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16-01-25

책 소개

남북문제, 통일문제에 관해서 다양한 입장과 비전, 경험을 가진 대한민국의 대표 명사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5박 6일 여정을 통해 이동 중의 버스에서, 압록강의 배 위에서, 끊어진 다리 위에서 진행된 불꽃 토론과 열띤 세미나, 그리고 이들이 도출해낸 화해와 협력의 통일론을 담아낸 책이다.

목차

‘평화 오디세이 2015’ 대장정을 시작하며·홍석현
권두시 백두산에 올라·고은
여는 글 천지에서 부른 노래·장사익

1부 여섯 가지 테마로 통일을 바라보다
1. 역사
진정으로 통일을 원한다면 주변국 설득부터·강원택 / 유리 동물원 안 포효하는 맹수 같았던 광개토대왕비·윤창현 / 맥아더는 왜 한국전쟁에서 추락했을까·이태식
2. 강江
강의 노래·김훈 / 서로 얼싸안고 춤추며 노래하라… 강이 우리에게 이른다·송호근 / 북한이 ‘대동강의 기적’ 이루도록 점진적 지원을…·나경원
3. 다리
남북을 연결해 한국을 동아 지중해의 중추로·임혁백 / 금강산 관광처럼 성과 검증된 사업을 제자리로 ·조건식 / 마음의 단교를 잇고 분열의 강을 건너자·장훈 / 남북 경협은, 늪에 빠진 한국 경제의 돌파구 ·이종화
4. 열차
한반도, 해양의 변두리를 넘어서라·송민순 / 경원선 복원은 네트워크 통일의 출발점·정종욱
5. 건넴
당장이라도 압록강 건너가 구호활동을 펼쳤으면·한비야 / 북한에 대한 의료 지원은 통일에 대한 투자· 정남식 / 국가의 통일 정책 독점은 이제 호소력을 잃었다·박재창 / 조용히 스며드는 것이 제대로 마음을 훔치는 길·김종민 / 평화를 통한 통일에 회복과 치유, 번영이…·김병연 / 남북은 평화공존해야 할 숙명의 동반자·백영철 /
6. 미래
한국다운 역동성으로 지도 없는 항해의 시대를…·신각수 / 북의 핵 집착은 국제사회 축복의 물줄기를 틀어막는 것·박인국 / 북한은 한민족 웅비를 기약할 뉴프런티어·천영우 / 절반의 평화에서 적극적이고 안정적 평화로·김근식 / 북한 땅은 동북아 제조업 생산 기지의 마지막 노른자위·지만수 / 북한의 뒷문을 두드리고 큰 그림을 그려나가자·김영희 / 개성공단을 남북 프로젝트에서 국제 프로젝트로·최병일 / 동맹을 넘어 협력과 통합의 새로운 지역질서를·문정인

2부 차중 토크, 생생한 목소리로 통일을 이야기하다
새로운 공동체 질서 구축을 과도기 전략으로 / 광개토대왕비가 남아 있는 지안을 고구려 테마파크로 / 통일 후를 위한 사회 안전망 구축의 필요성 / 과거의 죽음에 대한 이야기 / 기억하고 싶지 않은 북한의 실상 / 아카시아 향기에 실려왔던 씁쓸함 / 국력을 키우는 것이 선결 과제 / 햄버거에 얽힌 북 대표단과의 에피소드 / 저우언라이의 외교철학에서 배울 점 / 창밖을 바라보며 조상들의 흔적을 체험하자 / 공동 기반을 만드는 디딤돌이 되는 여행으로 / 대한민국 사회의 정상화를 위한 다섯 가지 제안 / 남북만의 화폐로 경협 자금을 / 통일의 혜안을 갖춘 리더십이 필요하다 / 내각제적인 권력구조의 개편을 고려하자 / 올바른 리더십이 경제 발전을 이끈다

3부 북중 접경지대에서 통일을 논하다
‘평화 오디세이 2015’ 1차 세미나 : 광복 70년, 평화통일을 생각한다
환영사·홍석현 / 축사·정운찬
1세션 - 주제 발표
평화, 공존, 통일의 길·송민순 / 한반도 평화와 통일 : 남북 관계 개선과 평화공존 시대를 모색하자·백영철
2세션 - 토론
‘평화 오디세이 2015’ 2차 세미나 : 광복 70년, 동북아 평화협력을 구상한다
축사·나경원 / 축사·사공일 / 격려사·정종욱
1세션 - 주제 발표
‘아래로부터의 데탕트’, 동북아 평화의 길 : 김영희 / 동북아 평화와 국제협력·신각수 /
1세션 - 토론
2세션 - 주제 발표 : 중국의 비상(飛上)과 한반도 : 박인국 299
1세션 - 토론
‘평화 오디세이 2015’ 3차 세미나 : 광복 70년, 평화와 공생 그리고 세계시민성이 길이다
축사·이홍구 / 환영사·홍석현
1세션 - 주제 발표 : 동북아시아 평화체제의 복원·정덕구·이어령
1세션 - 토론
2세션 - 토론

‘평화 오디세이 2015’ 대장정을 맺으며·이하경
‘평화 오디세이 2015’ 여정
‘평화 오디세이 2015’ 참가자 명단

저자소개

고은 (글)    정보 더보기
1933년 8월 전북 군산에서 태어나 18세의 나이에 출가하여 수도생활을 하던 중 1958년 『현대시』『현대문학』 등에 추천되어 문단활동을 시작했다. 첫 시집 『피안감성』(1960)을 펴낸 이래 고도의 예술적 긴장과 열정으로 작품세계의 변모와 성숙을 거듭해왔다. 연작시편 『만인보』(전30권), 서사시 『백두산』(전7권), 『고은 시전집』(전2권), 『고은 전집』(전38권), 『무제 시편』, 『초혼』을 비롯해 160여권의 저서를 간행했고, 1989년 이래 영미ㆍ독일ㆍ프랑스ㆍ스웨덴을 포함한 약 20여개 국어로 시집ㆍ시선집이 번역되어 세계 언론과 독자의 뜨거운 호응을 불러일으켰다. 만해문학상 대산문학상 중앙문화대상 한국문학작가상 단재상 유심작품상 대한민국예술원상 오상순문학상 등과 스웨덴 시카다상, 캐나다 그리핀공로상, 마케도니아 국제 시축제 ‘황금화관상’ 등을 수상했으며, 세계시단의 주요 시인으로 활동하고 있다. 민족문학작가회의 회장,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회 의장, 버클리대 한국학과 방문교수, 하버드 옌칭연구소 특별연구교수 등을 역임했다. 현재 ‘겨레말큰사전’ 남북공동편찬위원회 이사장이며, 서울대 초빙교수 및 단국대 석좌교수로 재직 중이다. ‘시로 쓴 한민족의 호적부’라 일컬어지는 연작시편 『만인보』는 시인이 1980년 신군부에 의해 남한산성 육군교도소 특별감방에서 수감되었을 때 구상한 것이다. 1986년 1권을 출간한 이래 25년 만인 2010년, 전30권(총 4,001편)으로 완간된 『만인보』는 한국문학사뿐만 아니라 세계문학사에서도 전례를 찾아볼 수 없는 기념비적인 역작이다. 2012년 10월, 55년간 써온 작품들 중 240편을 모은 대표 시선집 『마치 잔칫날처럼』을 출간했다.
펼치기
김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8년 서울 출생. 장편소설 『빗살무늬토기의 추억』 『칼의 노래』 『현의 노래』 『개』 『남한산성』 『공무도하』 『내 젊은 날의 숲』 『흑산』 『공터에서』 『달 너머로 달리는 말』, 소설집 『강산무진』 『저만치 혼자서』, 산문집 『풍경과 상처』 『자전거 여행』 『라면을 끓이며』 『연필로 쓰기』 등이 있다. 동인문학상, 이상문학상, 황순원문학상, 대산문학상, 가톨릭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펼치기
이인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서양사학과 명예교수. 1936년 서울에서 출생, 서울대 문리대 사학과 재학중 미국으로 유학, 웰슬리(Wellesley)대학을 졸업하고, 1967년 하버드 대학에서 「예카테리나 대제 시대의 러시아 프리메이슨 운동에 관한 재해석」으로 러시아 역사학 박사학위를 획득했다. 미국 컬럼비아대학과 럿거스대학 조교수를 역임하고, 1972년 귀국, 고려대 사학과 교수에 부임했다. 1979년부터 서울대 서양사학과로 옮긴 후 서울대 러시아연구소를 창립했고, 한국슬라브학회와 한국서양사학회장을 역임했다. 『지식인과 역사의식』, 『러시아 지성사 연구』 등의 저서와 『지식인과 저항』, 『인텔리겐찌야와 혁명』 등의 편역서를 낸 바 있다. 한국 최초의 여성 대사로서 주 핀란드 대사와 주 러시아 대사를 지낸 바 있고, KAIST 석좌교수, 국제교류재단 이사장, KBS 이사장 등을 역임했다.
펼치기
정운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조순 교수의 제자로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거쳐 미국 Princeton University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은 후 Columbia University에서 조교수로 강의와 연구를 시작하였다. 1978년부터 2009년까지 서울대학교 경제학과에 봉직하면서 거시경제학과 화폐금융론 분야에서 이론과 실제를 겸비한 학자로 자리매김하였으며, 우리나라의 경제학계와 민간부문 및 官界에서 일하는 수많은 후학을 양성하였다. 서울대학교 총장, 국무총리, 한국야구위원회 커미셔너를 역임하였으며, 현재 동반성장연구소 이사장을 맡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이번 오디세이에 참가한 대한민국 대표 지성들 30여 분의 생각이 같았습니다. 두 차례의 치열한 토론을 벌였던 국경 답사 일정과, 서울에서 가진 세 번째 마지막 세미나를 통해 모든 참가자가 동의한 두 가지 결론이 있습니다. 하루빨리 통일을 이루되 평화로운 방법으로 얻어내야 한다는 것과 우리가 통일의 주체가 돼야 한다는 것입니다. 어찌 보면 당연한 말 같지만 그것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굉장히 많은 노력과 엄청난 인내를 필요로 할 것입니다. 우리는 이번 오디세이를 통해서 그것이 필수지 선택이 아니라는 사실을 다시 한 번 확인했습니다.  _ 홍석현, ‘함께 걸어가며 길을 만들자’ 중에서


국토의 관능은 모든 아름다운 얼굴들 위에, 모든 산과 강과 바다에, 그리고 모든 나물과 무·배추·물고기 속에 살아 있었는데, 이 관능을 공감함으로써 화해를 이루자는 주장은 통일의 전략이 될 수 없는 것인지, 나는 답답했다. 나는 음식을 나누어 먹는 것 같은 사소한 일상에 자리 잡는 평화를 생각했다. 토론으로 뜨거운 버스 안에서 나는 숙박지의 저녁 밥상을 기다리고 있었다.  _ 김훈, ‘강의 노래’ 중에서


서울에서 독일의 베를린까지 1만 4,400km로 세계에서 가장 긴 이 철도는 냉전 시대의 종착역이자 우리의 네트워크 통일을 향한 대장정의 출발점이기도 하다. 철원의 백마고지에서 북한의 평강까지 불과 25.3km의 끊어진 경원선이 복원되면 한반도종단철도가 시베리아횡단철도와 연결된다. 이 철도를 따라 부산과 목포에서 출발해 신의주와 원산을 지나 중국의 동북 지방과 러시아의 연해주에 이르는 방대한 공간에서 주변 국가들과 함께 경제협력의 새 시대를 열어나가는 게 우리가 준비해야 할 통일 한국의 미래상이다. 그것이 대륙 안에 존재하면서도 대륙으로 연결되지 못한 우리의 물리적 한계를 극복하려는 부단한 몸짓의 기록이었던 지난 70년의 분단 역사에 종지부를 찍고 진정한 평화통일 한국의 새 역사를 시작하는 일이기도 하다. _ 정종욱, ‘경원선 복원은 네트워크 통일의 출발점’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