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고종과 일진회 (고종시대 군주권과 민권의 관계)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후기(영조~순종)
· ISBN : 9791157074150
· 쪽수 : 328쪽
· 출판일 : 2020-10-21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후기(영조~순종)
· ISBN : 9791157074150
· 쪽수 : 328쪽
· 출판일 : 2020-10-21
책 소개
대한제국 당시 고종과 일진회의 충돌 양상을 ‘엇갈린 근대국가 인식’이라는 측면에서 접근했다. 고종과 일진회의 관계에 주목하여 세계사적 맥락과 세력 간 상호 관계 속에서 그들에 대해 세밀하게 밝혀 보고자 한다.
목차
책머리에
1부 근대 동서양 군주권과 민권의 관계
1. 서양의 군주권 비판과 국가주의 문제
1) 영국·프랑스에서 군주권 비판 사상의 형성
2) 독일에서 군주권과 국가주의의 결합
2. 근대 동아시아의 민권론 대두와 군주권 인식
1) 중국의 민권론과 군주권 인식
2) 일본의 민권론과 군주권 인식
3. 19세기 한국 민권 의식의 성장 과정
1) 실학자들과 개신유학자들의 민권 인식
2) 동아시아 민권론과 공공성
2부 고종시대 군주권과 민권을 바라보는 역사적 시각
1. 고종시대 군주권의 위상과 민권 인식
1) 고종시대 군주권 관련 쟁점
2) 한국사 교과서의 대한제국기 입헌군주제 서술
3) 고종시대 군주권의 위상
4) 고종의 민권 인식
2. 한국 사회의 일진회 인식 비판
1) 역사교육의 목적과 역사의식의 문제
2) 한국사 교과서의 일진회 인식
3) 일진회에 관한 ‘통설’과 ‘이설’
3부 고종시대 군주권과 민권 관계의 재구성
1. 일진회의 군주권, 민권 및 자유 인식
1) 일진회 창립의 역사적 의미
2) 군주권 및 민권에 대한 언설들
3) ‘자유’에 대한 언설들
2. 고종과 일진회의 엇갈린 근대국가 인식
1) 고종과 일진회의 정치적 역학관계
2) 일본의 한국 군주권과 민권 인식
3) 일진회와의 대립과 고종의 국정 운영
글을 맺으며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리뷰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