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스마트 엣지북] 심리학의 즐거움 1 : 마음이란 무엇인가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91157790029
· 쪽수 : 280쪽
· 출판일 : 2015-01-02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91157790029
· 쪽수 : 280쪽
· 출판일 : 2015-01-02
책 소개
스마트 엣지북 시리즈 1권. 심리학은 우리가 세상을 살아가는 데 가장 필요한 학문으로 인기를 더해 가고 있다. 현대 사회는 인간관계뿐만 아니라 여러 영역에서 심리학이 절대적으로 요청되는 시대이다. 심리학은 사회 각 분야에서 활용되는 과학적 학문이다.
목차
머리말 | 심리학을 ‘성공적 삶’의 열쇠로 삼기를 … 4
‘심리학의 즐거움’ 맛보기
유혹의 장 심리가 보이면 성공도 보인다
1. 마음의 테크닉 … 15
처음 만나는데도 왠지 좋다?│어느샌가 호감을 품는 ‘단순접촉효과’│망각과 본심
2. 만남의 테크닉 … 19
당신과 있으면 왠지 설레인다│태도가 비슷하면 친해진다
3. 비즈니스의 테크닉 … 22
심리학을 활용한 바겐세일│쇼핑과 ‘느낌(feeling)’의 착각
4. 뇌의 테크닉 … 26
뇌는 10%밖에 사용되지 않는다?│머리가 좋아지는 진정한 비결
1장 마음의 심리학
1. 심리학의 탄생 … 31
마음은 어디에 있을까│심리학의 역사│철학자가 말하는 인간의 마음│마음의 과학적 연구
2. 사람의 마음은 성격으로 나타난다 … 37
행동에 나타나는 인간의 성격│사람의 성격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야생아 ‘아베롱’이 보여준 환경의 자극│술을 마시면 사람이 왜 달라지나
3. 마음의 눈으로 사물을 본다 … 43
지각도 마음과 통한다│똑같은 것을 보고도 사람들의 생각은 각각이다│신비로운 인상을 주는 잔상효과
4. 사회 속에 존재하는 인간의 마음 … 47
인간의 사회적 행동은 타인의 영향을 받는다│동조하는 사람과 영합하는 사람│심리학을 활용한 바겐세일
2장 감정의 심리학
1. 희노애락의 구조 … 55
희노애락은 어떤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가│감정이 사람을 만든다?│성격의 경향은 이렇게 만들어진다
2. 표정이 감정을 만든다? … 60
감정이 일어나는 구조│‘울어서 슬프다’ 제임스 랑게의 이론│얼굴 표정이 기분을 만든다?│톰킨스 가설 실험
3. 필링(Feeling)의 정체란? … 65
‘필링(feeling)’이라는 알 수 없는 존재│이것도 저것도 전부 다 멋져!
4. 기억의 장난 … 69
인생은 즐거운 기억으로 채색된다│행복한 기억이 남는 구조
5. 좋고 싫음의 구조 … 72
처음 보는데도 왠지 좋다?│깨닫지 못하는 사이에 전이는 일어나고 있다│어느샌가 호감을 품는 ‘단순접촉효과’
3장 인간관계의 심리학
1. 인간관계의 기본 … 79
인간관계의 기본은 모자관계
2. 왠지 피곤한 인간관계 … 81
왠지 상대방을 피곤하게 만든다?│대인관계의 기초는 신뢰│대인관계 패턴의 방향
3. 사람의 인상을 결정하는 것 … 86
사람의 취향을 좌우하는 ‘중요타자’│닮은 사람을 멋대로 끼워 맞춘다│자동적으로 사람을 판단하는 시스템
4. 친구 선택의 메커니즘 … 89
자리가 가까우면 친해진다│태도가 비슷하면 친해진다│비슷한 사람끼리인데도 사이가 안 좋아진다?│연인 선택은 좀 다르다
5. 연인 선택의 메커니즘 … 93
연애는 착각에서 시작된다?│당신과 있으면 왠지 두근두근거린다│‘누구든 상관없다’라는 셈이 아닌가?
4장 기억의 심리학
1. 자신의 존재 확인 … 101
기억이 없다면 어떻게 될까│기억할 수 없게 된 사람│‘나’는 ‘나의 기억’이다│기억의 구조는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가
2. 기억이란 무엇인가 … 106
작동 기억과 장기 기억│장기 기억의 종류
3. 인간은 왜 ‘잊어버리는’걸까 … 110
가장 최초의 기억은 무엇인가│망각은 왜 일어나는가│자연붕괴설│간섭설│억압설│검색 실패설
4. 기억을 고쳐 쓰는 방법 … 119
기억을 만드는 것은 무엇인가│어법 효과│기억은 일그러진다?
5. 기억력이 좋으면 행복할까? … 123
기억력이 너무 좋으면 불행하다
5장 감각의 심리학
1. ‘아픔’과 인간관계 … 129
느낀다는 것은 살아 있다는 것│‘아픔’은 무엇을 위해 존재하는가│아픔을 느끼지 못하는 병│아픔을 알지 못하면 타인에게 상처를 입힌다
2. 인간의 초능력 ‘감각대행’ … 134
손으로 소리를 듣는다?│손끝의 진동으로 문자를 읽는다?│혀로도 문자를 읽을 수 있다?│눈이 보이지 않는 사람의 초능력?
3. 감각은 변화해 간다 … 140
감각은 길들여진다│온도의 착각│사람은 어떤 냄새에도 익숙해진다?│인간에게도 페로몬이 있다?!│왜 순응은 필요한가
4. 오감의 한계 … 148
우리는 모든 것을 느낄 수는 없다│오감의 한계 ‘자극정’│빛 에너지(전자파)의 전역
6장 의욕의 심리학
1. 마음의 힘 … 155
동기부여란 무엇인가
2. 자극이 없으면 참을 수 없다? … 157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게으름뱅이?│인간은 자극을 추구하는 존재다
3. 포기의 이유 … 161
학습성 무력감│결과 없는 노력
4. 의욕의 원동력 ‘인지 스타일’ … 164
원인 귀속│원인 귀속의 경향과 대책
5. 의욕을 만들어 내는 것 … 171
동기부여│하고 있는 동안 재미있어진다│보상이 의욕을 잃게 하는 경우
6. 의욕의 원천 ‘자기 효력감’ … 176
할 수는 있는데, 좀처럼 몰두할 수 없다?│‘자기 효력감’ 향상법
7장 선악의 심리학
1. 선악의 판단 … 181
‘마음’의 정체는 무엇인가
2. 범죄자는 타고난다? … 183
죄를 저지르는 사람은 천성?│범죄자는 외관을 보면 알 수 있다?│범죄자의 뇌에는 특징이 있다?│범죄자는 환경에 의해 결정된다?│환경 때문에 죄를 저지르는 것은 아니다
3. 사람은 왜 죄를 저지르는가 ‘강화이론’ … 189
선악의 판단 기준이란 무엇인가│벌이 있어서 하지 않는다│선악의 판단 기준은 경험으로부터 형성된다│범죄를 방지하는 방법이란?
4. 사람은 왜 죄를 저지르는가 ‘모델링’ … 194
타인의 행위를 보고 기억한다│모델링의 억제 효과
5. 사람은 왜 죄를 저지르는가 ‘상황의 힘’ … 198
사람은 어디까지 잔혹해질 수 있는가│대리 상태에서는 잔인해질 수 있다
6. 사람은 왜 죄를 저지르는가 ‘익명성’ … 201
누구인지 알 수 없기 때문에 한다
7. 사람은 왜 죄를 저지르는가 ‘사회의 룰’ … 204
‘보통 사회’란 무엇인가│‘왜 살인이 안 된다는 거지?’
8장 뇌의 심리학
1. 뇌의 작용이란 무엇인가 … 211
뇌와 행동│24시간 일하고 있는 뇌│‘칵테일파티 효과’│행동의 계획에 맞춰 생각해 낸다
2. 인간은 뇌의 10%밖에 사용하지 않는다? … 215
뇌의 구조와 역할│뇌는 10%밖에 사용되지 않는다?
3. 우뇌와 좌뇌의 실체 … 220
좌뇌는 의식, 우뇌는 무의식?│분리뇌 환자 실험Ⅰ│분리뇌 환자 실험Ⅱ
4. 뇌의 능력을 올리는 비결 … 226
뇌의 능력을 업그레이드하는 비결이 있는가│근거가 없어도 효과가 오른다?│왼손을 사용하여 능력을 계발할 수 있다?│머리가 좋아지는 진정한 비결
9장 욕망의 심리학
1. 욕망의 정체는 무엇인가 … 233
왜 우리는 무언가를 원하는가│‘생리적 욕구’란 무엇인가│‘사회적 욕구’란 무엇인가
2. 브랜드가 좋은 이유 … 236
필요하진 않다, 그래도 갖고 싶다!│자신에게 부족한 것 ‘브랜드’
3. 욕망은 어떤 형태인가 … 241
매슬로의 ‘욕구 계층설’
10장 심리학사의 저명인사들
1. 분트 … 249
분트의 이력│심리학의 탄생│과학으로 마음을 알아낸다
2. 프로이트 … 253
프로이트의 이력│프로이트의 ‘무의식’│정신-성적 발달 이론│마음의 구조론
3. 융 … 259
융의 이력│‘개인적 무의식’과 ‘집단적 무의식’│융의 유형론
4. 에릭슨 … 266
에릭슨의 이력│라이프사이클 이론
5. 파블로프 … 270
파블로프의 이력│파블로프의 ‘조건반사’
6. 왓슨 … 274
왓슨의 이력│행동주의의 시초
7. 아들러 … 277
아들러의 이력│콤플렉스를 발판으로 삼는다
‘심리학의 즐거움’ 맛보기
유혹의 장 심리가 보이면 성공도 보인다
1. 마음의 테크닉 … 15
처음 만나는데도 왠지 좋다?│어느샌가 호감을 품는 ‘단순접촉효과’│망각과 본심
2. 만남의 테크닉 … 19
당신과 있으면 왠지 설레인다│태도가 비슷하면 친해진다
3. 비즈니스의 테크닉 … 22
심리학을 활용한 바겐세일│쇼핑과 ‘느낌(feeling)’의 착각
4. 뇌의 테크닉 … 26
뇌는 10%밖에 사용되지 않는다?│머리가 좋아지는 진정한 비결
1장 마음의 심리학
1. 심리학의 탄생 … 31
마음은 어디에 있을까│심리학의 역사│철학자가 말하는 인간의 마음│마음의 과학적 연구
2. 사람의 마음은 성격으로 나타난다 … 37
행동에 나타나는 인간의 성격│사람의 성격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야생아 ‘아베롱’이 보여준 환경의 자극│술을 마시면 사람이 왜 달라지나
3. 마음의 눈으로 사물을 본다 … 43
지각도 마음과 통한다│똑같은 것을 보고도 사람들의 생각은 각각이다│신비로운 인상을 주는 잔상효과
4. 사회 속에 존재하는 인간의 마음 … 47
인간의 사회적 행동은 타인의 영향을 받는다│동조하는 사람과 영합하는 사람│심리학을 활용한 바겐세일
2장 감정의 심리학
1. 희노애락의 구조 … 55
희노애락은 어떤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가│감정이 사람을 만든다?│성격의 경향은 이렇게 만들어진다
2. 표정이 감정을 만든다? … 60
감정이 일어나는 구조│‘울어서 슬프다’ 제임스 랑게의 이론│얼굴 표정이 기분을 만든다?│톰킨스 가설 실험
3. 필링(Feeling)의 정체란? … 65
‘필링(feeling)’이라는 알 수 없는 존재│이것도 저것도 전부 다 멋져!
4. 기억의 장난 … 69
인생은 즐거운 기억으로 채색된다│행복한 기억이 남는 구조
5. 좋고 싫음의 구조 … 72
처음 보는데도 왠지 좋다?│깨닫지 못하는 사이에 전이는 일어나고 있다│어느샌가 호감을 품는 ‘단순접촉효과’
3장 인간관계의 심리학
1. 인간관계의 기본 … 79
인간관계의 기본은 모자관계
2. 왠지 피곤한 인간관계 … 81
왠지 상대방을 피곤하게 만든다?│대인관계의 기초는 신뢰│대인관계 패턴의 방향
3. 사람의 인상을 결정하는 것 … 86
사람의 취향을 좌우하는 ‘중요타자’│닮은 사람을 멋대로 끼워 맞춘다│자동적으로 사람을 판단하는 시스템
4. 친구 선택의 메커니즘 … 89
자리가 가까우면 친해진다│태도가 비슷하면 친해진다│비슷한 사람끼리인데도 사이가 안 좋아진다?│연인 선택은 좀 다르다
5. 연인 선택의 메커니즘 … 93
연애는 착각에서 시작된다?│당신과 있으면 왠지 두근두근거린다│‘누구든 상관없다’라는 셈이 아닌가?
4장 기억의 심리학
1. 자신의 존재 확인 … 101
기억이 없다면 어떻게 될까│기억할 수 없게 된 사람│‘나’는 ‘나의 기억’이다│기억의 구조는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가
2. 기억이란 무엇인가 … 106
작동 기억과 장기 기억│장기 기억의 종류
3. 인간은 왜 ‘잊어버리는’걸까 … 110
가장 최초의 기억은 무엇인가│망각은 왜 일어나는가│자연붕괴설│간섭설│억압설│검색 실패설
4. 기억을 고쳐 쓰는 방법 … 119
기억을 만드는 것은 무엇인가│어법 효과│기억은 일그러진다?
5. 기억력이 좋으면 행복할까? … 123
기억력이 너무 좋으면 불행하다
5장 감각의 심리학
1. ‘아픔’과 인간관계 … 129
느낀다는 것은 살아 있다는 것│‘아픔’은 무엇을 위해 존재하는가│아픔을 느끼지 못하는 병│아픔을 알지 못하면 타인에게 상처를 입힌다
2. 인간의 초능력 ‘감각대행’ … 134
손으로 소리를 듣는다?│손끝의 진동으로 문자를 읽는다?│혀로도 문자를 읽을 수 있다?│눈이 보이지 않는 사람의 초능력?
3. 감각은 변화해 간다 … 140
감각은 길들여진다│온도의 착각│사람은 어떤 냄새에도 익숙해진다?│인간에게도 페로몬이 있다?!│왜 순응은 필요한가
4. 오감의 한계 … 148
우리는 모든 것을 느낄 수는 없다│오감의 한계 ‘자극정’│빛 에너지(전자파)의 전역
6장 의욕의 심리학
1. 마음의 힘 … 155
동기부여란 무엇인가
2. 자극이 없으면 참을 수 없다? … 157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게으름뱅이?│인간은 자극을 추구하는 존재다
3. 포기의 이유 … 161
학습성 무력감│결과 없는 노력
4. 의욕의 원동력 ‘인지 스타일’ … 164
원인 귀속│원인 귀속의 경향과 대책
5. 의욕을 만들어 내는 것 … 171
동기부여│하고 있는 동안 재미있어진다│보상이 의욕을 잃게 하는 경우
6. 의욕의 원천 ‘자기 효력감’ … 176
할 수는 있는데, 좀처럼 몰두할 수 없다?│‘자기 효력감’ 향상법
7장 선악의 심리학
1. 선악의 판단 … 181
‘마음’의 정체는 무엇인가
2. 범죄자는 타고난다? … 183
죄를 저지르는 사람은 천성?│범죄자는 외관을 보면 알 수 있다?│범죄자의 뇌에는 특징이 있다?│범죄자는 환경에 의해 결정된다?│환경 때문에 죄를 저지르는 것은 아니다
3. 사람은 왜 죄를 저지르는가 ‘강화이론’ … 189
선악의 판단 기준이란 무엇인가│벌이 있어서 하지 않는다│선악의 판단 기준은 경험으로부터 형성된다│범죄를 방지하는 방법이란?
4. 사람은 왜 죄를 저지르는가 ‘모델링’ … 194
타인의 행위를 보고 기억한다│모델링의 억제 효과
5. 사람은 왜 죄를 저지르는가 ‘상황의 힘’ … 198
사람은 어디까지 잔혹해질 수 있는가│대리 상태에서는 잔인해질 수 있다
6. 사람은 왜 죄를 저지르는가 ‘익명성’ … 201
누구인지 알 수 없기 때문에 한다
7. 사람은 왜 죄를 저지르는가 ‘사회의 룰’ … 204
‘보통 사회’란 무엇인가│‘왜 살인이 안 된다는 거지?’
8장 뇌의 심리학
1. 뇌의 작용이란 무엇인가 … 211
뇌와 행동│24시간 일하고 있는 뇌│‘칵테일파티 효과’│행동의 계획에 맞춰 생각해 낸다
2. 인간은 뇌의 10%밖에 사용하지 않는다? … 215
뇌의 구조와 역할│뇌는 10%밖에 사용되지 않는다?
3. 우뇌와 좌뇌의 실체 … 220
좌뇌는 의식, 우뇌는 무의식?│분리뇌 환자 실험Ⅰ│분리뇌 환자 실험Ⅱ
4. 뇌의 능력을 올리는 비결 … 226
뇌의 능력을 업그레이드하는 비결이 있는가│근거가 없어도 효과가 오른다?│왼손을 사용하여 능력을 계발할 수 있다?│머리가 좋아지는 진정한 비결
9장 욕망의 심리학
1. 욕망의 정체는 무엇인가 … 233
왜 우리는 무언가를 원하는가│‘생리적 욕구’란 무엇인가│‘사회적 욕구’란 무엇인가
2. 브랜드가 좋은 이유 … 236
필요하진 않다, 그래도 갖고 싶다!│자신에게 부족한 것 ‘브랜드’
3. 욕망은 어떤 형태인가 … 241
매슬로의 ‘욕구 계층설’
10장 심리학사의 저명인사들
1. 분트 … 249
분트의 이력│심리학의 탄생│과학으로 마음을 알아낸다
2. 프로이트 … 253
프로이트의 이력│프로이트의 ‘무의식’│정신-성적 발달 이론│마음의 구조론
3. 융 … 259
융의 이력│‘개인적 무의식’과 ‘집단적 무의식’│융의 유형론
4. 에릭슨 … 266
에릭슨의 이력│라이프사이클 이론
5. 파블로프 … 270
파블로프의 이력│파블로프의 ‘조건반사’
6. 왓슨 … 274
왓슨의 이력│행동주의의 시초
7. 아들러 … 277
아들러의 이력│콤플렉스를 발판으로 삼는다
저자소개
책속에서

‘그다지 좋아하지 않는 친구와의 약속을 어기려고 했던 건 아닌데도 그만 깜빡하고 잊어버렸다’와 같은 경우는 일상에서 자주 일어나는 듯하다. 이처럼 ‘자신에겐 왠지 싫은 것은 생각해내고 싶지 않기 때문에 잊어버린다’는 것이 억압설이다.
조금은 참을 수 있는 것이라면, 우리는 잊어버리거나 하진 않는다. 그런데 그 사람을 굉징히 싫어한다거나, 약속을 생각하면 불쾌해서 참을 수 없다거나 하는 등, 마음속으로 생각하고 있을 경우 자기 마음의 안정을 지키기 위해 저절로 망각이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이다.
- 망각과 본심 中
보통은 한번 상대방을 신뢰하고 관계가 구축되면, 그 신뢰는 어지간하지 않는 한 변함없이 지속된다. 연인으로부터 어제 사랑한다는 말을 들었다면, 다음 날에도 그것을 전제로 관계가 지속되는 것이다.
어린 시절에 어머니와의 사이에 안전한 애착이 형성된 사람이라면, 성인이 된 후의 대인관계도 안정된다. … 만약, 갓난아기 때부터 유아기에 걸쳐 어머니가 자신을 잘 보살펴 주지 않았다거나, 내버려졌다거나, 아이가 어머니를 필요로 할 때, 이에 답해 주지 않는 일이 반복된다면, 어떻게 될까?
- 대인관계 패턴의 방향 中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