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교양 심리학
· ISBN : 9791157846818
· 쪽수 : 380쪽
· 출판일 : 2023-07-24
책 소개
목차
추천의 글
1장 우리 머릿속의 노인
2장 오히려 좋아진 기억력
3장 날쌘 몸의 노인들
4장 유전자가 전부는 아니다
5장 좋아진다, 노년의 정신
6장 늘어나는 수명의 시대
7장 우리의 창조성은 별처럼 빛난다
8장 사악한 연령차별의 언어
9장 나이에서 해방된다는 것
10장 새로운 사회의 나이 문화
나가며 노인을 록스타처럼 보라
후기 연령차별이 없는 도시
부록 1 긍정적 연령 인식 강화를 위한 ABC 요령
부록 2 부정적 나이 고정관념을 깨부수는 무기
부록 3 구조적 연령차별 종식을 위한 호소
감사의 말
주
리뷰
책속에서
노화는 생물학적 과정이지만, 늙는다는 것의 의미를 둘러싼 우리의 인식이나 관행과 무관하게 생물학적 차원에서만 존재하 는 것은 아니다. 우리는 연령 인식이 과학적 사실보다는 문화적 편견의 산물임을 깨닫지 못할 때가 많다. 건강에 유전자가 주는 영향은 25퍼센트에 불과하다는 사실도 종종 잊는다.34 25퍼센 트라는 말은 건강의 4분의 3은 우리가 통제할 수 있는 환경 요 인으로 결정된다는 뜻이다. 내 연구에서 알 수 있듯이, 통제 가 능한 요인 가운데 하나는 연령 인식이다.
_1장 우리 머릿속의 노인
실제로 나이가 들면서 사람들의 뇌 기능에는 엄청난 변화가 생긴다. 뇌의 유연성을 유지하고 새로운 신경 연결을 형성하는 능력인 신경가소성은 오랫동안 젊은 뇌의 특징처럼 여겨졌지만 사실은 노화가 진행되는 내내 유지된다는 연구 결과가 속속 늘 고 있다. 그 말은 나이가 들수록 뇌는 퇴화할 수밖에 없다는 흔 한 고정관념이 알고 보면 거짓이라는 뜻이다
_2장 오히려 좋아진 기억력
한마디로 특정 유형의 기억력이 떨어지는 원인은 노화 그 자 체보다 우리가 노화를 대하고 바라보는 태도와 관계가 있다. 즉 어떻게 늙어가야 하는지에 대해 우리가 속한 문화가 가르쳐주는 방식, 우리 자신이 가진 믿음에 영향을 받는다. (중략)
이 분야의 연구를 시작한 초창기에, 나는 나이를 바라보는 문화 집단 간의 인식 차이가 노년기의 기억력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의문이 생겼다. ‘노인 건망증’이라는 용어가 널리 쓰이는 데서 짐작할 수 있듯이, 북미와 유럽에서 기억력 감퇴는 고령자에 대한 가장 흔한 고정관념이다.
_2장 오히려 좋아진 기억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