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역주 한시외전 1

역주 한시외전 1

한영 (지은이), 허경진, 구지현, 서현경 (옮긴이)
전통문화연구회
2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9,000원 -0% 0원
1,450원
27,550원 >
27,550원 -5% 0원
0원
27,5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역주 한시외전 1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역주 한시외전 1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시 > 외국시
· ISBN : 9791157942749
· 쪽수 : 352쪽
· 출판일 : 2021-01-31

책 소개

<한시외전>은 서한시대 초기에 연지역의 학자인 한영이 남긴 저술로, 고사를 소개하는 방식을 취하며, 주로 <시경> 등의 구절을 말미에 인용하는 것으로 결론을 내리는 형식을 보이고 있다.

목차

東洋古典譯註叢書를 발간하면서
解 題
凡 例
參考文獻

1. 韓嬰의 傳 本傳 / 43
2. 識 / 45
3. ≪韓詩外傳≫의 ≪漢書≫ <藝文志>의 6권본 설과 ≪隋書≫ <經籍志>와 ≪唐書≫ <藝文志>의 10권본 설 韓詩外傳漢志六卷隋唐志十卷 / 47
4. ≪韓詩外傳≫의 舊序 韓詩外傳舊序 / 54
5. ≪韓詩外傳≫ 舊序 韓詩外傳舊序 / 57
6. ≪韓詩外傳≫ 舊序 韓詩外傳舊序 / 59
7. 校刻≪韓詩外傳≫序 校刻韓詩外傳序 / 61

韓詩外傳 卷第一 / 65
韓詩外傳 卷第二 / 109
韓詩外傳 卷第三 / 170
韓詩外傳 卷第四 / 242
韓詩外傳 卷第五 / 296

[附 錄]
1. ≪韓詩外傳1≫ 圖版目錄 / 347
2. ≪韓詩外傳1≫ 總目次 / 348

저자소개

한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燕)나라 사람으로 생몰연대 미상. 서한(西漢) 초기의 금문경학자(今文經學者)로서 효문제(孝文帝) 때 박사가 되었고 경제(景帝)때 상산태전(常山太傳)의 벼슬을 지냈다. 특히 <시(時)>와 <역(易)에 밝았다. <시(時)>에 대한 내외전(內外傳) 수만 언을 지었는데 그중 <한시외전>만 오늘까지 전하고 있다.
펼치기
허경진 (옮긴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국문과를 졸업하고 「허균 시 연구」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목원대학교 국어교육과와 연세대학교 국어국문과 교수로 재직하였고, 지금은 한국기독교문화연구소 연구원으로 있습니다. 저서로 『허균평전』, 『한국 고전문학에 나타난 기독교의 편린들』, 『허난설헌 강의』 등이, 역서로는 ‘한국의 한시’ 총서 40여 권 외에 『삼국유사』, 『서유견문』 등이 있습니다.
펼치기
구지현 (역주)    정보 더보기
1970년 출생 延世大學校 國文科 大學院 문학박사 民族文化推進會 國譯硏修院 연수부 졸업 鮮文大學校 국어국문학과 교수(現) 論著 및 譯書 論著 ≪通信使 筆談唱和集의 세계≫, ≪癸未通信使 使行文學 硏究≫ 譯書 ≪懲毖錄≫, ≪滄?紀行≫, ≪雲養集≫(공역), ≪孔子家語≫(공역)
펼치기
서현경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69년 출생 延世大學校 國文科 大學院 문학박사 成均館翰林院 翰林階梯 졸업(한림원장상 수상) 한국고전번역원 校勘·標點 專門委員(現) 韓國古建築人文學硏究所 代表(現) 論著 및 譯書 論著 ≪열하일기 定本의 탐색과 서술분석≫, ≪서애 학맥의 역사와 공간≫(공저) 譯書 ≪峴首甲藁≫(공역), ≪한국의 옛집≫(공역)
펼치기

책속에서

5-24 하늘에는 四時가 있으니 봄.여름.가을.겨울과 그에 따른 바람.비.서리.이슬이 가르침이 아닌 것이 없다. 淸明한 덕이 몸에 있으면 그 기운과 뜻이 神明과 같아지기 때문에, 원하고 바라는 일이 장차 일어나려고 하면 반드시 그 조짐을 먼저 열어주니, 하늘에서 단비가 내리려고 하면 山川에서 먼저 구름이 이는 것과 같다.
그러므로 ≪詩經≫ <大雅 崧高>에 말하였다.
“높고 높은 산악이 우뚝하여 하늘에 닿으니 산악에서 신령한 기운을 내려 仲山甫와 申伯을 낳았도다. 이 중산보와 신백이 周나라의 根幹이 되어서 사방에 울타리가 되고 사방에 덕택을 베풀도다.”
이것은 文王과 武王의 덕이다.
三代가 왕 노릇할 때에는 반드시 훌륭한 명성이 먼저 있었다.
그러므로 ≪詩經≫ <大雅 江漢>에 말하였다.
“밝고 밝은 천하여! 훌륭한 소문이 그치지 않도다. 文德을 베풀어서 이 사방의 나라를 조화롭게 하였도다.”
이것은 太王의 덕이다.
天有四時하니 春夏秋冬①과 風雨霜露가 無非教也라 淸明在躬하면 氣志如神이라 嗜欲將至에 有開必先하니 天降時雨에 山川出雲하니라 詩曰 崧高維嶽이 峻極于天②하니 維嶽降神하여 生甫及申이로다 維申及甫가 維周之翰하여 四國于藩③하며 四方于宣이라하니 此文武之德也니라 三代之王也에 必先其令名④하니 詩曰 明明天子여 令聞不已이라 矢其文德하여 洽此四國⑤이라하니 此大王之德也라
①春夏秋冬:趙懷玉本에 ‘春秋冬夏’로 되어 있고, 그 교감한 내용에 “여러 本에 모두 ‘春夏秋冬’으로 되어 있으나 이제 ≪禮記≫ <孔子閒居>에 근거하여 고친다.” 하였다.
趙本에 作春秋冬夏요 校語에 本皆作春夏秋冬이나 今依禮記孔子閒居改라
②峻極于天:‘峻’은 <大雅 崧高>本에 ‘駿’으로 되어 있다. <孔子閒居>에서 인용한 글에는 또한 ‘峻’으로 되어 있다. 趙懷玉本에는 ‘駿極于天’으로 되어 있다.
峻은 大雅崧高本에 作駿이라 孔子閒居引亦作峻이라 趙本에 作駿極于天이라
③四國于藩:‘藩’은 ≪詩經≫과 ≪禮記≫에 모두 ‘蕃’으로 되어 있다.
藩은 詩禮竝作蕃이라
④必先其令名:‘名’은 ≪禮記≫에 ‘聞’으로 되어 있고, 趙懷玉이 교감한 내용도 같다.
名은 禮作聞이요 趙校語同이라
⑤矢其文德 洽此四國:‘矢’는 ≪禮記≫에서 ≪詩經≫ <大雅 江漢>을 인용한 글에는 ‘弛’로 되어 있고, ‘洽’은 ‘協’으로 되어 있다. ‘弛’와 ‘矢’는 모두 ‘施(베풀다.)’의 뜻이고, ‘協’과 ‘洽’은 ‘和(조화롭다)’의 뜻이다.
矢는 禮引江漢作弛이요 洽은 作協라 弛矢는 皆施也요 協洽은 皆和也라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