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역주 주례주소 譯註 周禮注疏 2

역주 주례주소 譯註 周禮注疏 2

김용천, 박례경 (지은이)
전통문화연구회
3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7,000원 -0% 0원
1,850원
35,1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역주 주례주소 譯註 周禮注疏 2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역주 주례주소 譯註 周禮注疏 2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동양철학 일반
· ISBN : 9791157944910
· 쪽수 : 400쪽
· 출판일 : 2022-04-15

책 소개

≪예기≫, ≪의례≫와 함께 ‘삼례’의 하나인 ≪주례≫의 주소注疏를 역주한 첫 번째 책이다. ≪주례≫는 중국 고대 주周나라의 왕실 제도와 열국의 제도를 기록한 책으로 정확한 성립 시기는 분명치 않으나 전국시대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목차

東洋古典現代化와 十三經注疏 譯註
凡 例

周禮注疏 제3권
天官
02.小宰(소재) / 11
03.宰夫(재부) / 61
04.宮正(궁정) / 94
05.宮伯(궁백) / 119

周禮注疏 제4권
天官
06.膳夫(선부) / 125
07.庖人(포인) / 161
08.內饔(내옹) / 179
09.外饔(외옹) / 194
10.亨人(팽인) / 201
11.甸師(전사) / 205
12.獸人(수인) / 221
13.䱷人(어인) / 231
14.鼈人(별인) / 237
15.腊人(석인) / 243

周禮注疏 제5권
天官
16.醫師(의사) / 252
17.食醫(사의) / 261
18.疾醫(질의) / 270
19.瘍醫(양의) / 288
20.獸醫(수의) / 297
21.酒正(주정) / 300
22.酒人(주인) / 341
23.漿人(장인) / 349
24.凌人(능인) / 355
25.籩人(변인) / 368

附 錄
1.≪周禮注疏2≫ 參考書目 / 391
2.≪周禮注疏2≫ 參考圖版 目錄 및 出處 / 397
3.≪周禮注疏≫ 總目次(QR코드) / 398
4.≪周禮注疏≫ 解 題(QR코드) / 398

저자소개

김용천 (옮긴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학교 대학원 사학과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대진대학교 역사문화콘텐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대의 종묘제·상복례를 중심으로 예학을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 『전한후기 예제담론』, 『중국 고대 상복의 제도와 이념』(공저) 등이 있으며, 역서로 『중국 전근대 사상의 굴절과 전개』, 『중국의 공과 사』, 『후한 유교 국가의 성립』, 『중국 사상문화 사전』, 『역주 주례주소 (1, 2, 3, 4)』(공역), 『의례 역주(1-8)』(공역), 『구당서 예악지(3)』, 『신당서 예의지(3)』 등이 있다. 「전한 원제기 위현성의 종묘제론」, 「『석거예론』의 분석과 전한시대 예치이념」, 「『순자』· 『예기』 「왕제」의 예치구상」, 「북위 효문제 ‘삼년상’의 실체와 그 성격」, 「양진시대 ‘위인후자’의 복제 담론」, 「기장 ‘수복’의 규정과 예학적 논쟁」 등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박례경 (옮긴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대학원 철학과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책임연구원, 대진대학교 인문학연구소 학술연구교수를 역임하였고, 현재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전문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동아시아 고대 예제의 예경학적 기초와 정현 예학 및 삼례학에 대한 연구와 역주를 진행해왔다. 논저에 「조선시대 국장에서 조조의 설행 논의와 결과」, 「규범의 근거로서 친친 존존의 정당화 문제」, 「주자가례 속의 인간과 사회-새로운 종법 이해와 재구성의 고례적 맥락에 대한 성찰」, 『의례 역주(5)』(공역), 「정현 예학의 이론 구성적 성격-정현 삼례학과 고례의 재구성」, 『역주 주례주소(1)』(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관료 평가의 6가지 기준
소재小宰는 관부官府를 공평하게 다스리는 육계六計 규정에 의거하여 태재大宰를 보좌하여 관리들의 치적을 평가한다. 첫째는 청렴하고 일을 잘하여 명성을 얻는 것이고, 둘째는 청렴하고 행정능력이 뛰어난 것이고, 셋째는 청렴하고 부지런한 것이고, 넷째는 청렴하고 행실이 방정한 것이고, 다섯째는 청렴하고 법을 잘 지키는 것이고, 여섯째는 청렴하고 판단력이 뛰어난 것이다.
- 제3권 <천관天官 소재小宰> 중에서


∙의사의 연봉 책정
의사醫師는 연말이 되면 의료 업무를 평가하여 그 봉록을 제정한다. 열 명의 병자를 모두 낫게 했다면 최상의 등급이 되고, 열 명의 병자 가운데 한 명을 낫게 하지 못했다면 그 다음이 되고, 열 명의 병자 가운데 두 명을 낫게 하지 못했다면 그 다음이 되고, 열 명의 병자 가운데 세 명을 낫게 하지 못했다면 그 다음이 되고, 열 명의 병자 가운데 네 명을 낫게 하지 못했다면 최하의 등급이 된다.
- 제5권 <천관天官 의사醫師> 중에서


∙술의 양은 어느 정도가 적당한가
주정酒正은 향례에 사용할 술을 모두 공급하는데, <술이 취할 때까지> 술동이에서 술을 뜨는 술국자의 수량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 제5권 <천관天官 주정酒正> 경문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