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중국철학
· ISBN : 9791157945610
· 쪽수 : 328쪽
· 출판일 : 2023-09-30
책 소개
목차
東洋古典譯註叢書를 발간하면서
凡 例
毛詩注疏 卷第十二(十二之二)
十月之交(시월지교) / 11
雨無正(우무정) / 50
小旻(소민) / 74
毛詩注疏 卷第十二(十二之三)
小宛(소완) / 96
小弁(소반) / 112
巧言(교언) / 140
何人斯(하인사) / 159
巷伯(항백) / 181
毛詩注疏 卷第十三(十三之一)
谷風之什詁訓傳 第二十 / 199
谷風(곡풍) / 199
蓼莪(육아) / 210
大東(대동) / 222
四月(사월) / 261
北山(북산) / 283
無將大車(무장대거) / 292
小明(소명) / 297
[附 錄]
1.≪毛詩正義8≫ 參考書目 / 319
2.≪毛詩正義8≫ 參考圖版 目錄 및 出處 / 324
3.≪毛詩正義≫ 總目次(QR코드) / 325
4.≪毛詩正義≫ 解題(QR코드) / 325
책속에서
올바르지 못한 정교政敎
“<우무정雨無正>은 대부大夫가 유왕幽王을 풍자한 시이다. 비는 위에서부터 내리는 것이니, 왕의 정교政敎와 명령命令이 비처럼 많았으나 정교의 도道가 될 만한 것은 없었기 때문이다.”
- 권12 <우무정雨無正> 중에서
혼란昏亂이 자라나는 요인
“높은 지위에 있는 군자가 자주 서로 맹약하면 혼란이 이 때문에 자라나고, 높은 지위에 있는 군자가 또 흉악한 도적인 참소하는 사람의 말을 믿으면, 혼란이 이 때문에 사납고 심해진다. 더욱 심해지는 까닭은, 이 위험한 도적은 그 말이 매우 달콤해서 사람들을 믿게 하는 데 그치지 않기 때문이니, 혼란이 이 때문에 더욱 진전되는 것이다.”
- 권12 <교언巧言> 중에서
지극한 효성孝誠
“‘내가 지금 부모께서 이처럼 고생한 은덕에 보답하려고 하니, 하늘이여 그 마음이 끝이 없구나.’라고 하였으니, 항상 은혜를 회상하면 그 마음이 끝이 없으므로 자기의 몹시 절실한 마음을 말해서 하늘에 호소한 것이다.”
- 권13 <육아蓼莪>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