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역주 모시정의 譯註 毛詩正義 7

역주 모시정의 譯註 毛詩正義 7

임재완, 김명환 (옮긴이), 오규근
전통문화연구회
3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2,000원 -0% 0원
1,600원
30,4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역주 모시정의 譯註 毛詩正義 7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역주 모시정의 譯註 毛詩正義 7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중국철학
· ISBN : 9791157945481
· 쪽수 : 332쪽
· 출판일 : 2022-12-30

책 소개

≪역주 모시정의 7≫은 수십 년간 고전번역에 종사한 번역 전문가와 연구자, 원로 한학자가 팀을 꾸려 협동연구번역으로 완성한 책이다. 이 책은 지난 6책에서부터 시작된 <소아小雅>를 이어서 다룬다.

목차

東洋古典譯註叢書를 발간하면서
凡 例

毛詩注疏 卷第十(十之二)
六月(유월) / 11
采芑(채기) / 43

毛詩注疏 卷第十(十之三)
車攻(거공) / 66
吉日(길일) / 94

毛詩注疏 卷第十一(十一之一)
鴻鴈之什詁訓傳 第十八 / 109
鴻鴈(홍안) / 109
庭燎(정료) / 123
沔水(면수) / 131
鶴鳴(학명) / 142
祈父(기보) / 149
白駒(백구) / 161
黃鳥(황조) / 169

毛詩注疏 卷第十一(十一之二)
我行其野(아행기야) / 177
斯干(사간) / 185
無羊(무양) / 226

毛詩注疏 卷十二(十二之一)
節南山之什詁訓傳 第十九 / 239
節南山(절남산) / 239
正月(정월) / 277

[附 錄]
1.≪毛詩正義7≫ 參考書目 / 321
2.≪毛詩正義7≫ 參考圖版 目錄 및 出處 / 326
3.≪毛詩正義≫ 總目次(QR코드) / 328
4.≪毛詩正義≫ 解題(QR코드) / 328

저자소개

임재완 (엮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 한문학과 석․박사 졸업 한림대 태동고전연구소(지곡서당) 수료 삼성미술관 Leeum 수석연구원 한림대 태동고전연구소 연구교수 국사편찬위원회 한문강사(現) 論文 및 譯書 論文 <浦渚 趙翼의 四書學 硏究> 譯書 ≪세 분 선생님의 편지글 三賢手簡≫, ≪조선시대 문인들의 초서 편지글≫,≪정조대왕의 편지글≫, ≪대각등계집≫ 共譯 ≪三經淺見錄≫, ≪爾雅注疏≫, ≪省齋集≫, ≪剛齋集≫, ≪明谷集≫ 編書 ≪옛 편지 낱말사전≫
펼치기
김명환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학중앙연구원 국문학과 박사과정 졸업 한림대 태동고전연구소(지곡서당) 수료 태동고전연구소 연구원 단국대 동양학연구소 연구원 한국국학진흥원 연구원 양평문화원 학예사(現) 論文 및 譯書 論文 <西溪朴世堂의 詩經思辨錄 硏究> 등 譯書 ≪兵經百字≫, ≪健元陵丁字閣重修都監儀軌≫,≪파수록:옛 선비들의 심심타파≫,≪古今名人讀書法≫ 등
펼치기
오규근 ()    정보 더보기
강원 평창 대화 출생 남산南山 정찬鄭鑽 선생, 조부 하서鳳西 선생, 가친 연청硏靑 선생에게 수학 민족문화추진회 국역연수원 졸업 민족문화추진회 국역연수원 강사 전통문화연구회 고전연수원 강사 [논문 및 역서] 역서 조선왕조실록 ≪선조실록≫, ≪광해군일기≫, ≪중종실록≫≪백호전서白湖全書≫, ≪순암집順庵集≫, ≪승정원일기≫(고종조高宗祖) 등 교감표점 ≪한국문집총간≫
펼치기

책속에서

선왕宣王의 신중함과 은혜
“<길일>은 선왕宣王의 사냥을 찬미한 시詩이다. 선왕이 하찮은 일도 신중히 하고 은혜로 아랫사람을 대하였으므로, 아랫사람이 스스로 성심誠心을 다하여 그 임금을 섬기지 않음이 없었다.”
- 권10 <길일吉日> 중에서


살 곳을 얻게 해주다
“<홍안>은 선왕宣王을 찬미한 시이다. 모든 백성이 뿔뿔이 흩어지고 그 거처를 평안하게 여기지 않았다. 그런데 왕이 고생하는 사람을 위로하고 그들이 돌아오자 거처를 정해주어 평안하고 화목하게 살 수 있도록 해주었다. 그래서 홀아비와 과부에 이르러서도 모두 제 살 곳을 얻지 못한 자가 없었다.”
- 권11 <홍안鴻鴈> 중에서


한 입에서 나오는 좋은 말과 나쁜 말
“좋은 말도 네 입에서 나올 때가 있고 나쁜 말도 네 입에서 나올 때가 있다. 네 입은 하나일 뿐인데 좋은 말과 나쁜 말이 진실로 그 입에서 나오니, 매우 미워하고 천하게 여길 만하다.”
- 권12 <정월正月>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