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소설론
· ISBN : 9791158485016
· 쪽수 : 506쪽
· 출판일 : 2020-07-07
책 소개
목차
머리말__나는 왜 자연주의를 연구하였는가?
서론
1. 한국 자연주의 연구의 문제점
1) 원천의 이중성
2) 연구의 대상과 범위
Ⅰ부 불·일 자연주의 비교 연구
1. 원형—불란서의 자연주의
1) 졸라와 자연주의
2) 졸라이즘과 리얼리즘
(1) 동질성
(2) 이질성
2. 일본의 자연주의—용어의 원형적 의미와 굴절
1) 수용과정에서의 의미굴절
2) 의미굴절의 원인 분석
(1) 일본 자연주의의 전개과정
(2) 명칭의 다양성과 개념의 애매성
(3) 외래 사조와 수신국의 적성
(4) 수용태도의 자의성恣意性과 무체계성
(5) 발신국의 다원성
(6) 전통문학과의 관계
3. 현실의 재현과 그 방법
1) 진실존중사상
(1) 불란서-진실존중의 예술관
(2) 일본-진실과 사실의 동일시 현상: 체험주의와 사소설
2) 미메시스의 대상
(1) 불란서-‘스크린論théories des écrans’: 可視的 현실 묘사
(2) 일본-내시경을 통한 내면 묘사
3) 선택권의 배제
(1) 불란서-형식과 제재의 금기 깨기
(2) 일본-형식면의 금기 깨기: 무각색, 배기교
4) 객관주의
(1) 불란서-현상現象의 사진사
(2) 일본-주체主體의 객관화
5) 방법면에 나타난 과학주의
(1) 불란서-관찰과 분석
(2) 일본-관조觀照와 방관傍觀의 과학주의
4. 스타일 혼합mixing of style의 차이
1) 인물의 계층
(1) 불란서-서민과 군중 중심
(2) 일본-중산층의 지식인
2) 배경의 당대성과 넓이
(1) 불란서-사회 전체의 벽화
(2) 일본-‘옥내屋內’에 갇힌 풍경
3) 인간의 하층구조의 부각
(1) 불란서-수성獸性의 서사시
(2) 일본-본능면 노출의 미온성
4) 플롯의 하향성下向性
(1) 불란서-비극적 종결법
(2) 일본-무해결의 종결법
5) 자연주의와 장르
(1) 불란서-20권의 연작소설
(2) 일본-중·장편의 사소설
5. 물질주의와 결정론
1) 물질주의적 인간관
(1) 불란서-친親형이하학
(2) 일본-친親형이상학
2) 인물의 예외성과 비정상성
(1) 불란서-제르미니형
(2) 일본-보바리형
3) 결정론
(1) 불란서
(2) 일본-「이불」과 「家」에 나타난 결정론
Ⅱ부 김동인과 자연주의
1. 시대적 배경—국권의 상실과 근대화의 갈등
2. 용어의 의미굴절
3. 의미굴절의 원인 분석
1) 명칭의 단일성과 개념의 애매성
2) 사조의 혼류
3) 수용태도의 무체계성
4) 발신국의 다원성
5) 전통문학과의 관계
4. 현실재현의 방법
1) 회화의 사실성
2) 반모사反模寫의 예술론
3) 간결의 미학과 언문일치
4) 액자 속의 객체
5) 화가의 과학주의
5. 스타일 혼합의 차이
1) 인물의 계층의 이중성
2) 배경의 협소성
3) 성의 추상성
4) 비극적 종결법
5) 단편소설과 순수소설의 동일시 경향
6. 물질주의와 결정론
1) 反형이상학
2) 제르미니형 인물들
3) 「감자」 계열의 소설에 나타난 결정론
결론
1. 자연주의의 불란서적 양상
1) 시대적 배경
2) 현실재현의 방법
3) 제재의 현실화
4) 스타일의 혼합
5) 물질주의적 인간관과 결정론
6) 장르
7) 진실을 우위優位에 두는 예술관
8) 작가의 계층
9) 인물형의 고정성
10) 통속성
2. 자연주의의 일본적 양상
1) 낭만주의와 자연주의
2) 불란서의 자연주의와의 이질성
3) 기법면의 사실주의
4) 용어의 굴절의 원인
3. 한국 자연주의와 김동인
1) 용어
2) 한국과 일본의 외래문화 수용의 여건의 차이
3) 외국문학과의 영향 관계
4) 자연주의의 발생 여건
5) 현실재현의 방법
6) 객관주의
7) 분석과 해부
8) 스타일 혼합의 양상
9) 물질주의적 인간관
10) 인물의 예외성과 비정상성
부록
1. 김동인과 불·일·한 작가 연보 대조표
2. 김동인 작품연보
3. 참고문헌
4. 강인숙 연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