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책으로 본 영조와 그의 시대

책으로 본 영조와 그의 시대

김덕수, 권기석, 김영진, 이근호, 이현진, 최주희, 임성수, 김우진, 박진성, 이재준 (지은이)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3,750원 -5% 0원
1,250원
22,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책으로 본 영조와 그의 시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책으로 본 영조와 그의 시대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후기(영조~순종)
· ISBN : 9791158667955
· 쪽수 : 384쪽
· 출판일 : 2024-12-30

책 소개

영조 시대를 책이라는 주제를 통해 그의 치세 52년의 흐름을 조망해 보려는 시도다. 한 시대를 살펴보는 방법은 다양하다. 대표적인 인물을 중심으로 시대적 흐름과 지식인의 대응을 살펴볼 수도 있고, 중요한 사건을 분석하여 시대적 특징과 전개 과정을 조망할 수도 있다.

목차

영조의 관찬 서적 간행 정책과 실행 방식_ 권기석
1. 머리말
2. 영조 대 관찬 서적의 내용과 시기별 추이
3. 간행 사업의 거점과 인쇄 방식
4. 서적의 배포와 장서 관리
5. 맺음말

영조 연간 팔도 감사의 서적 간행과 그 성격: 공적 간행물과 사적 간행물의 개관과 간극_ 김영진
1. 머리말
2. 영조 이전 팔도 감영 서적 출판의 사례와 특징
3. 영조 연간 팔도 감영 서적 출판의 사례와 특징
4. 영조 연간 출판문화를 주도한 대표적인 감사들
5. 맺음말

『봉교엄변록』의 편찬과 정치 의리_ 이근호
1. 머리말
2. 을해옥사 이후 정국 동향
3. ‘조재호사’와『 봉교엄변록』의 편찬
4. 맺음말

영조 대 국가의례 정비와『국조속오례의보』_ 이현진
1. 머리말
2. 편찬 배경과 경위
3. 구성과 의주 마련의 시점
4. 정조 대 국가전례서와의 관계
5. 맺음말

영조 대 중반 재정정책의 방향과 정례서의 편찬: 『각사정례』를 중심으로_ 최주희
1. 머리말
2. 영조 대 전반 중앙의 수입: 지출 구조와 재정적자의 요인
3. 영조 대 중반 정례서의 간행과 중앙 각사의 지출 구조
4. 맺음말

균역법의 전격적 시행과 후속 조치_ 임성수
1. 머리말
2. 여역의 확산과 균역법의 전격적 시행
3. 다양한 후속 조치와 그 흔적들
4. 맺음말

1771년 영조의‘ 명기집략 사건’ 처리와 조선 왕실 계통의 재정립: 『황명통기집략』·『속광국지경록』·『신묘중광록』을 중심으로_ 김우진
1. 머리말
2. ‘명기집략 사건’의 전개와 조경묘의 설립
3.『황명통기집요』의 개수와 『속광국지경록』·『신묘중광록』의 편찬
4. 조선 왕실 계통의 재정립과 그 성격
5. 맺음말

영조어제첩과 영조의 자전적 글쓰기_ 박진성
1. 머리말
2. 영조어제첩의 자전적 글쓰기 양상
3. 영조어제첩의 자전적 글쓰기 특징
4. 맺음말

영조 대 군신 수창과 갱진축 소장 현황_ 이재준
1. 머리말
2. 갱진첩의 현황과 형태적 특징
3. 갱진첩의 구성 체계
4. 갱진 사안과 규모
5. 맺음말

영조의 사친 추모와 소령원 어제어필 현판_ 김덕수
1. 머리말
2. 영조 대 어제어필 현판 제작의 개황
3. 기록으로 전하는 소령원 어제어필 현판
4. 문헌 속 현판과『 열성어제』 수록 작품
5. 맺음말

저자소개

임성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평택대학교 피어선칼리지 조교수. 고려대학교에서 「조선후기 호조의 재정운영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경복궁중건 천일의기록』 『다산학사전』 『쉽게 읽는 서울사: 조선편』 『北漢山城 연구 논문집』 외 다수의 공저가 있으며, 「大同法 시행 이후 軍器寺의 재정 변화」 「18세기 전반 廢錢論의 전개와 鑄錢 재개」 「19세기 還穀의 고갈과 高利貸的 운영 강화」 「仁祖 후반 鶴州 金弘郁의 현실인식과 재정개혁론」 외 다수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최주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덕성여자대학교 글로벌융합대학 사학 전공 조교수.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교육과(역사전공)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대학원 한국사학과에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UCLA Center for Korean Studies 방문학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전임연구원, 한국국학진흥원 책임연구위원을 지냈다. 저서로 『서울과 지방의 매개체, 경주인』(2024), 『한양의 여성공간』(공저, 2021), 『통계로 보는 조선후기 국가경제 : 18-19세기 재정자료의 기초적 분석』(공저, 2013)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공폐 - 조선 후기 공물 제도 운영의 병폐』(공역, 2019), 논문으로는 「대동법 시행기 進上制의 정비와 영조대 초반 『進上別單謄錄』의 작성」(2022), 『조선후기 宣惠廳의 운영과 中央財政構造의 변화 -재정기구의 합설과 지출정비과정을 중심으로-』(박사학위논문, 2014) 등이 있다.
펼치기
권기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조선시대사 전공, 동국대학교 문화학술원 HK+사업단 조교수. 『물품으로 읽는 동유라시아 세계의 역동성』(공저), 「木活字 사용과 족보 간행의 활성화: 조선시대 족보와 중국 明·淸代 족보의 비교」 등의 논저가 있다.
펼치기
김영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한문학 전공,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부교수. 『여항문학총서속집』, 「조선후기 사가(私家) 장서목록에 대한 일고」 등의 논저가 있다.
펼치기
이근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조선시대사 전공, 충남대학교 국사학과 부교수. 『조선 후기 문신 권상일의 관직 생활』, 『숙종 대 정국 운영과 대외관계』(공저) 등의 논저가 있다.
펼치기
이현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조선시대사 전공, 한국과학기술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연구부교수. 『조선과 대한제국 의례의 경계』, 『조선 왕실의 상장례』 등의 논저가 있다.
펼치기
김우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조선시대사 전공,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연구원. 「영조의 端敬王后 愼氏 復位와 의의: 復位 祔廟 의례를 중심으로」, 「숙종 대 왕비의 수고명의와 조·청관계」 등의 논저가 있다.
펼치기
박진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한문학 전공,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연구원. 「17세기 동아시아 자전의 장편화 양상 연구」, 『영재 유득공의 영재집』 2(공역) 등의 논저가 있다.
펼치기
이재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지학 전공, 한국학중앙연구원 책임사서원. 「장서각 도서의 성립과 전래 경위」, 「장서각 소장 적상산사고본 연구」 등의 논저가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