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후기(영조~순종)
· ISBN : 9791158667955
· 쪽수 : 384쪽
· 출판일 : 2024-12-30
책 소개
목차
영조의 관찬 서적 간행 정책과 실행 방식_ 권기석
1. 머리말
2. 영조 대 관찬 서적의 내용과 시기별 추이
3. 간행 사업의 거점과 인쇄 방식
4. 서적의 배포와 장서 관리
5. 맺음말
영조 연간 팔도 감사의 서적 간행과 그 성격: 공적 간행물과 사적 간행물의 개관과 간극_ 김영진
1. 머리말
2. 영조 이전 팔도 감영 서적 출판의 사례와 특징
3. 영조 연간 팔도 감영 서적 출판의 사례와 특징
4. 영조 연간 출판문화를 주도한 대표적인 감사들
5. 맺음말
『봉교엄변록』의 편찬과 정치 의리_ 이근호
1. 머리말
2. 을해옥사 이후 정국 동향
3. ‘조재호사’와『 봉교엄변록』의 편찬
4. 맺음말
영조 대 국가의례 정비와『국조속오례의보』_ 이현진
1. 머리말
2. 편찬 배경과 경위
3. 구성과 의주 마련의 시점
4. 정조 대 국가전례서와의 관계
5. 맺음말
영조 대 중반 재정정책의 방향과 정례서의 편찬: 『각사정례』를 중심으로_ 최주희
1. 머리말
2. 영조 대 전반 중앙의 수입: 지출 구조와 재정적자의 요인
3. 영조 대 중반 정례서의 간행과 중앙 각사의 지출 구조
4. 맺음말
균역법의 전격적 시행과 후속 조치_ 임성수
1. 머리말
2. 여역의 확산과 균역법의 전격적 시행
3. 다양한 후속 조치와 그 흔적들
4. 맺음말
1771년 영조의‘ 명기집략 사건’ 처리와 조선 왕실 계통의 재정립: 『황명통기집략』·『속광국지경록』·『신묘중광록』을 중심으로_ 김우진
1. 머리말
2. ‘명기집략 사건’의 전개와 조경묘의 설립
3.『황명통기집요』의 개수와 『속광국지경록』·『신묘중광록』의 편찬
4. 조선 왕실 계통의 재정립과 그 성격
5. 맺음말
영조어제첩과 영조의 자전적 글쓰기_ 박진성
1. 머리말
2. 영조어제첩의 자전적 글쓰기 양상
3. 영조어제첩의 자전적 글쓰기 특징
4. 맺음말
영조 대 군신 수창과 갱진축 소장 현황_ 이재준
1. 머리말
2. 갱진첩의 현황과 형태적 특징
3. 갱진첩의 구성 체계
4. 갱진 사안과 규모
5. 맺음말
영조의 사친 추모와 소령원 어제어필 현판_ 김덕수
1. 머리말
2. 영조 대 어제어필 현판 제작의 개황
3. 기록으로 전하는 소령원 어제어필 현판
4. 문헌 속 현판과『 열성어제』 수록 작품
5. 맺음말